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4 발행호수 제24권 제4호 저자 최정윤, 김형섭
자료명 위기대응 경찰작용과 협력적 행정응원에 대한 소고
개요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찰의 안전임무와 위기관리

Ⅲ. 협력적 행정과 행정응원

Ⅳ. 맺음말


[국문요지]

헌법국가의 대표적 임무는 국가 존속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 내·외적인 안전보장과 질서(유지)행정에서의 위험방지라는 전통적이고 고권적인 임무라고 볼 수 있다. 이들 임무를 통상 필수적인 핵심임무라 한다. 안전(Sicherheit)이라는 국가의 목적은 경찰의 위험방지라는 국가임무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질서행정과 관련되어 영업법 및 식품법, 건축법, 나아가 공교육제도에 이르기까지 포함한다. 현대국가의 안전임무는 위험방지임무의 관점에서 법질서의 불가침성 또는 객관적인 법질서의 보호, 개인의 주관적 권리와 법익, 국가 및 그 기관과 활동의 존속 및 기능성이라는 공공안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경찰의 안전임무는 시민의 법익이나 국가의 자기보호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시민 보호에 기여하는 현행법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는 사무를 의미한다. 특히 오늘날 사회적 법치국가로의 변모는 단순한 위험방지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사회국가적 의무를 지게 되기에, 안전임무를 담당하는 경찰은 기본적 임무로서 법집행, 평화 및 질서유지, 범죄 예방, 시민의 권리보호를 수행하고, 나아가 교통정보 제공, 응급구조, 사회적 약자 지원, 정신장애자 지원 등 급부행정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위기관리 영역에서 재난 등 발생가능한 위기를 예방하고 적절히 대응하며 신속하게 복구함으로써 위험방지라는 경찰기능을 통한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구조화된 경찰활동에 따른 업무내용의 체계화 및 관리자의 역량 강화, 위기관리매뉴얼 개선 등 대응체계 구축와 함께 효율적 위기 대응 및 극복을 위해서는 관련기관과의 협력적 행정대응이 신속히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오늘날 행정의 복잡성 및 전문성을 고려할 때 적극적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기에 관할 행정청의 요청에 따른 다른 행정청의 지원이라는 행정응원은 협력적 행정의 수행방안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행정응원의 법적 근거로 마련된 ⌜행정절차법⌟의 일반법과 개별법령을 들 수 있는데, 이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협력적 행정활동의 법체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제어 안전임무, 위기관리, 경찰의 위기대응, 행정응원, 협력적 행정
다운로드

 08._공법__최정윤,김형섭.pdf (383.0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1039 2024 제24권 제4호 주식평등의 원칙에 관한 최근 논의의 비판적 검토 - 대법원 판례의 평석을 중심으로 - 정준우 89
1038 2024 제24권 제4호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진흥을 위한 법정책 고찰 - 소프트웨어진흥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승제, 정규 101
1037 2024 제24권 제4호 법정유언사항 이외의 사항에 대한 유언의 효력 박창욱 83
1036 2024 제24권 제4호 디젤게이트(Dieselgate)에서 자동차 제조사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독일 연방대법원의 최근 판례 동향 김성호 81
1035 2024 제24권 제4호 위기대응 경찰작용과 협력적 행정응원에 대한 소고 최정윤, 김형섭 84
1034 2024 제24권 제4호 연안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최석문 85
1033 2024 제24권 제4호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이상명 85
1032 2024 제24권 제4호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적용 판례에 관한 연구 이남윤, 강동욱 84
1031 2024 제24권 제4호 첨단재생의료 실시 및 안전관리 법제의 의의와 개선방안 윤진아 83
1030 2024 제24권 제4호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운영의 개선방안 박창석 86
1029 2024 제24권 제4호 현행 공기업규제에 대한 공기업법적 평가와 대안 - 성심당 사건으로 본 공기업의 영리성 한계 - 길준규 86
1028 2024 제24권 제4호 영국과 미국 경찰의 총기사용에 관한 연구 경재웅 81
1027 2024 제24권 제3호 법 구성에 있어서 타자와의 두 가지 관계방식: 배제와 공존 정병화, 김우섭 414
1026 2024 제24권 제3호 온라인 플랫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바람직한 입법방안 김윤정 470
1025 2024 제24권 제3호 다주택자에 의한 투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정우형 461
1024 2024 제24권 제3호 사회통합을 위한 성소수자 보호 - 독일법상 동성혼 보호를 중심으로 - 이종덕 464
1023 2024 제24권 제3호 폐교대학 구성원의 보호정책 및 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주용기 440
1022 2024 제24권 제3호 식품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른 규제법제의 역사적 변화와 미래 전망 왕승혜 453
1021 2024 제24권 제3호 인구소멸 고위험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관련 조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외국인주민 비중이 높은 4개 기초 지… 이은재 467
1020 2024 제24권 제3호 위치정보법의 개정방안 연구 이부하 437
1019 2024 제24권 제3호 동성혼과 조세 - Burden 판결・Windsor 판결을 중심으로 - 이기욱 456
1018 2024 제24권 제3호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과제 노기호 452
1017 2024 제24권 제3호 초연결·초지능사회에서 개인정보 보호규범의 법정책적 검토 김형섭 447
1016 2024 제24권 제3호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법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일의 재생에너지 전략과 비교하여 - 길준규 445
1015 2024 제24권 제3호 법정책학과의 만남, 그리고 남복현 481
1014 2024 제24권 제2호 인공지능에 의한 사고발생 위험과 보험제도의 대응방안에 관한 소고 지광운 427
1013 2024 제24권 제2호 미국 회사법상 주주의 의결권 이기욱 415
1012 2024 제24권 제2호 오버투어리즘 문제의 해결을 위한 법정책의 방향 송호신 443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