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4 발행호수 제24권 제3호 저자 왕승혜
자료명 식품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른 규제법제의 역사적 변화와 미래 전망
개요

[목차]

. 들어가며

. 식품법의 발전경로에서 기술발전과 규제의 관계

. 식품산업 영역에서 첨단디지털기술의 적용 현황

. 식품산업기술의 변화 경향에 따른 규제체계의 변화와 대응

.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식품산업에서 규제 방향과 미래 전망

. 마치며


[국문요지]

최근 정보통신기술을 매개하는 초고도화된 디지털기술과 데이터공학의 영향으로 식품산업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공학 등 차세대 산업발전을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디지털화라는 기술변화는 미시적인 차원에서 일반인의 식생활 양식과 소비자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거시적인 차원에서 식품산업에 대한 규제의 내용과 미래의 정책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유전공학 기술이 적용된 신소재 원료의 활용, 개인화된 바이오정보를 활용하는 맞춤형 식단, 지능화된 식품위생안전 정보관리시스템의 스마트화, 식품유통공급망 가치사슬의 질적 변화 등을 기술변화로 예시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농식품산업에서 글로벌유통까지 포괄하는 식품산업 분야를 소재로 정보화기술과 디지털기술에 기반하는 최근 변화하는 식품기술의 활용 영역을 개관하고, 첨단기술의 발전이 종래 식품산업 분야의 규제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역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식품안전과 기술혁신을 조화롭게 수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규제원칙과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문에서 먼저 식품법의 역사적 단계를 구분하고 시대변화와 기술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식품규제법을 관통하는 몇 가지 규제법원리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요컨대 국민건강 법익은 식품법 영역에서 최우선의 우위를 가진다는 점, 선도적 기술은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나 규제당국의 예측보다 앞서는 추진력을 갖고 산업발전을 추동하는 동력을 갖고 있다는 점, 이러한 상황변화에서 기술발전에 병행하는 법제도의 추격이 이루어지고 국제적인 차원에서는 규제 조화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식품산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유익한 기술발전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서는 혁신을 장려하고 불합리한 규제 장벽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기술발전으로 인한 이익과 건강보호를 위한 책무가 균형을 이루도록 최선의 규제를 설계하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는 규범적 과제를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의 과정에서 유럽법이 제안하는 신기술과 전통방식의 공존을 위한 법원칙으로부터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데, 공존의 원칙이란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자유로운 선택권을 부여하고(freedom of choice) 이와 동시에 그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도록(burden of choice) 하는 것이다. 식품기술의 변화경로에서 단기적으로 표출되는 결과를 충분히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기술발전에 따른 이익과 책임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합리적으로 수용가능한 책임원칙이라고 할 것이다.

주제어 디지털기술식품, 푸드테크, 식품유전공학, 식품바이오테크놀로지, 식품기술규제
다운로드

 08._공법__왕승혜_완.pdf (436.8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1039 2024 제24권 제4호 주식평등의 원칙에 관한 최근 논의의 비판적 검토 - 대법원 판례의 평석을 중심으로 - 정준우 233
1038 2024 제24권 제4호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진흥을 위한 법정책 고찰 - 소프트웨어진흥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승제, 정규 253
1037 2024 제24권 제4호 법정유언사항 이외의 사항에 대한 유언의 효력 박창욱 229
1036 2024 제24권 제4호 디젤게이트(Dieselgate)에서 자동차 제조사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독일 연방대법원의 최근 판례 동향 김성호 230
1035 2024 제24권 제4호 위기대응 경찰작용과 협력적 행정응원에 대한 소고 최정윤, 김형섭 257
1034 2024 제24권 제4호 연안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최석문 230
1033 2024 제24권 제4호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이상명 232
1032 2024 제24권 제4호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적용 판례에 관한 연구 이남윤, 강동욱 232
1031 2024 제24권 제4호 첨단재생의료 실시 및 안전관리 법제의 의의와 개선방안 윤진아 220
1030 2024 제24권 제4호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운영의 개선방안 박창석 236
1029 2024 제24권 제4호 현행 공기업규제에 대한 공기업법적 평가와 대안 - 성심당 사건으로 본 공기업의 영리성 한계 - 길준규 219
1028 2024 제24권 제4호 영국과 미국 경찰의 총기사용에 관한 연구 경재웅 235
1027 2024 제24권 제3호 법 구성에 있어서 타자와의 두 가지 관계방식: 배제와 공존 정병화, 김우섭 649
1026 2024 제24권 제3호 온라인 플랫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바람직한 입법방안 김윤정 729
1025 2024 제24권 제3호 다주택자에 의한 투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정우형 702
1024 2024 제24권 제3호 사회통합을 위한 성소수자 보호 - 독일법상 동성혼 보호를 중심으로 - 이종덕 717
1023 2024 제24권 제3호 폐교대학 구성원의 보호정책 및 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주용기 686
1022 2024 제24권 제3호 식품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른 규제법제의 역사적 변화와 미래 전망 왕승혜 697
1021 2024 제24권 제3호 인구소멸 고위험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관련 조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외국인주민 비중이 높은 4개 기초 지… 이은재 731
1020 2024 제24권 제3호 위치정보법의 개정방안 연구 이부하 687
1019 2024 제24권 제3호 동성혼과 조세 - Burden 판결・Windsor 판결을 중심으로 - 이기욱 703
1018 2024 제24권 제3호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과제 노기호 709
1017 2024 제24권 제3호 초연결·초지능사회에서 개인정보 보호규범의 법정책적 검토 김형섭 692
1016 2024 제24권 제3호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법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일의 재생에너지 전략과 비교하여 - 길준규 691
1015 2024 제24권 제3호 법정책학과의 만남, 그리고 남복현 726
1014 2024 제24권 제2호 인공지능에 의한 사고발생 위험과 보험제도의 대응방안에 관한 소고 지광운 600
1013 2024 제24권 제2호 미국 회사법상 주주의 의결권 이기욱 597
1012 2024 제24권 제2호 오버투어리즘 문제의 해결을 위한 법정책의 방향 송호신 62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