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4 발행호수 제24권 제3호 저자 김윤정
자료명 온라인 플랫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바람직한 입법방안
개요

[목차]

. 문제의 제기

. 온라인 플랫폼 시장현황과 기존 규제체계의 한계

. 라인 플랫폼 규제 관련 국내외 입법

. 온라인 플랫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입법방안

V. 맺는말


[국문요지]

세계적으로 높은 전자상거래 침투율을 보이는 한국 시장에서 온라인 플랫폼의 영향력은 더욱 강해져 가고 소비자들과 소상공인들의 의존도도 더욱 높아져 가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은 시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플랫폼의 입점사업자에 대한 우월적 지위로 인해 불공정거래행위가 발생하는 갑을관계 문제와 플랫폼 독점화로 인해 시장 경쟁이 제한되어 소비자 후생이 하락하고 혁신이 저해되는 독과점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EU, 독일, 영국, 일본 등의 해외 주요국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규제 법률을 제정하였고, 한국의 경우에도 제21대 국회와 제22대 국회에서 온라인 플랫폼 거래 공정화법()’온라인 플랫폼 독과점규제법()’을 다수 발의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법률이 통과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전자의 경우 지금까지의 정부방침이 자율규제를 적용하기로 했기 때문이고, 후자의 경우 EU에서 채택한 사전지정 방식의 강력한 규제 수준을 한국에 그대로 도입한다면 우리 토종 플랫폼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과 우려를 극복할 수 있는 합리적 입법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먼저, 쿠팡 사건, 배달의 민족 수수료 일방적 인상 사건, 티몬위메프 사건 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과 입점사업자 간 갑을관계를 자율규제로 규율하는 정책에는 일정한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온라인 플랫폼 거래 공정화법제정을 통해 플랫폼과 입점사업자의 거래가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독과점 플랫폼은 네트워크 효과와 쏠림현상을 통해 시장을 빠르게 장악해버리기 때문에 완전한 사후개입 방식의 기존 경쟁법 체계에서는 조사 및 제재에 너무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경쟁과 혁신을 회복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에 관한 효과적 대안으로서 규제대상 플랫폼을 사전지정하는 방식의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규제법이 제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규제대상으로 사전지정된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서는 위법성에 대한 입증책임이 전환되어 행동의 제약이 크기 때문에, 사전지정 요건을 강화하여 규제대상 범위를 좁히고 지정에 매우 신중하도록 하는 등 엄격한 요건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i) 경쟁당국이 오랜 기간 신중하고 면밀한 시장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독과점 우려가 매우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ii) 경쟁에 미치는 해악이 명백한 경우(예컨대, 최근 몇 년 사이에 특정 사건 발생을 이유로 과징금 처분을 받았거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건에서 과징금 부과처분을 받게 되는 경우) 또는 iii) 경쟁에 미치는 해악의 가능성이 명백히 드러나는 경우(예컨대, 스마트폰 운영체제(OS), 앱스토어 등과 같이 독점이 매우 뚜렷한 영역)에 한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규제대상으로 사전지정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온라인 플랫폼, 전자상거래 침투율, 갑을관계, 독과점, 네트워크 효과, 쏠림현상, 자율규제, 사전지정, 입증책임 전환, 시장조사
다운로드

 12._기타__김윤정_완.pdf (469.6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1039 2024 제24권 제4호 주식평등의 원칙에 관한 최근 논의의 비판적 검토 - 대법원 판례의 평석을 중심으로 - 정준우 233
1038 2024 제24권 제4호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진흥을 위한 법정책 고찰 - 소프트웨어진흥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승제, 정규 253
1037 2024 제24권 제4호 법정유언사항 이외의 사항에 대한 유언의 효력 박창욱 229
1036 2024 제24권 제4호 디젤게이트(Dieselgate)에서 자동차 제조사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독일 연방대법원의 최근 판례 동향 김성호 230
1035 2024 제24권 제4호 위기대응 경찰작용과 협력적 행정응원에 대한 소고 최정윤, 김형섭 257
1034 2024 제24권 제4호 연안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최석문 230
1033 2024 제24권 제4호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이상명 232
1032 2024 제24권 제4호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적용 판례에 관한 연구 이남윤, 강동욱 232
1031 2024 제24권 제4호 첨단재생의료 실시 및 안전관리 법제의 의의와 개선방안 윤진아 220
1030 2024 제24권 제4호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운영의 개선방안 박창석 236
1029 2024 제24권 제4호 현행 공기업규제에 대한 공기업법적 평가와 대안 - 성심당 사건으로 본 공기업의 영리성 한계 - 길준규 219
1028 2024 제24권 제4호 영국과 미국 경찰의 총기사용에 관한 연구 경재웅 235
1027 2024 제24권 제3호 법 구성에 있어서 타자와의 두 가지 관계방식: 배제와 공존 정병화, 김우섭 649
1026 2024 제24권 제3호 온라인 플랫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바람직한 입법방안 김윤정 730
1025 2024 제24권 제3호 다주택자에 의한 투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정우형 703
1024 2024 제24권 제3호 사회통합을 위한 성소수자 보호 - 독일법상 동성혼 보호를 중심으로 - 이종덕 717
1023 2024 제24권 제3호 폐교대학 구성원의 보호정책 및 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주용기 686
1022 2024 제24권 제3호 식품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른 규제법제의 역사적 변화와 미래 전망 왕승혜 697
1021 2024 제24권 제3호 인구소멸 고위험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관련 조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외국인주민 비중이 높은 4개 기초 지… 이은재 732
1020 2024 제24권 제3호 위치정보법의 개정방안 연구 이부하 687
1019 2024 제24권 제3호 동성혼과 조세 - Burden 판결・Windsor 판결을 중심으로 - 이기욱 704
1018 2024 제24권 제3호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과제 노기호 709
1017 2024 제24권 제3호 초연결·초지능사회에서 개인정보 보호규범의 법정책적 검토 김형섭 692
1016 2024 제24권 제3호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법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일의 재생에너지 전략과 비교하여 - 길준규 691
1015 2024 제24권 제3호 법정책학과의 만남, 그리고 남복현 726
1014 2024 제24권 제2호 인공지능에 의한 사고발생 위험과 보험제도의 대응방안에 관한 소고 지광운 600
1013 2024 제24권 제2호 미국 회사법상 주주의 의결권 이기욱 598
1012 2024 제24권 제2호 오버투어리즘 문제의 해결을 위한 법정책의 방향 송호신 63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