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0 발행호수 제20권 제3호 저자 이진규, 변무웅
자료명 재건축상 관리처분계획에 관한 인가론적 고찰과 판례 비판
개요 재건축상 관리처분계획에 관한 인가론적 고찰과 판례 비판
Criticism of Judicial Decisions in Approval for management and disposal plan in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도시정비법상 재건축사업의 시행과정 중 발생하는 법적 분쟁은 행정행위를 해석하는 법적 견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재건축사업의 핵심에 속하는 관리처분계획 부분의 소송에 대한 판례는 그 본질상 행정법적 인가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종전 재건축사업상 분쟁에 관한 판례의 지배적 논리는 강학상 인가 이론이었다. 따라서 민사소송의 방식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2009년 도시정비법 제정 이후 대법원 판결(2008다60586, 2009두4845)은 기존 견해를 변경하였다. 즉 조합을 행정주체로, 조합이 행한 법률행위는 처분성을 갖춘 설권적 처분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재건축사업상 분쟁은 행정법원의 항고소송으로 다투어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민사소송을 통한 분쟁해결의 시도와 판결은 지속되고 있다. 도시정비법을 관통하고 있는 인가라는 행정작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부족의 결과이다.
인가는 법률행위를 대상으로 한다. 진정인가를 구별하기 위한 본질적 징표로 보충행위성, 완성행위성, 추인성, 법률행위로서의 사법행위, 먼저 성립한 법률행위의 효력요건 인정, 인가 이전의 법률행위의 효력이 (유동적으로) 발생하지 않은 법 상태를 그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특히 ‘공법적 성질의 고권작용(高權作用)’ 필요성 유무에 대한 구별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가의 본질과 그 내용을 파악하고, 행정법적 인가 관련 선행연구를 비교 검토한다. 또한 재건축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관리처분계획 및 인가에 관한 소송을 대하는 기존 판례의 논리와 입장을 재검토한다. 두 가지 검토 과정을 통해 법원의 모호한 인가 논리를 비판한다. 또한 소의 이익 차원에서 분쟁 당사자의 재판받을 권리를 강조한다. 나아가 행정법학의 司法法學化를 염려한다.
주제어 관리처분계획, 강학상 인가, 설권적 처분, 판례 비판, 소의 이익
다운로드

 06.이진규,_변무응.pdf (406.5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1039 2024 제24권 제4호 주식평등의 원칙에 관한 최근 논의의 비판적 검토 - 대법원 판례의 평석을 중심으로 - 정준우 532
1038 2024 제24권 제4호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진흥을 위한 법정책 고찰 - 소프트웨어진흥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승제, 정규 538
1037 2024 제24권 제4호 법정유언사항 이외의 사항에 대한 유언의 효력 박창욱 508
1036 2024 제24권 제4호 디젤게이트(Dieselgate)에서 자동차 제조사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독일 연방대법원의 최근 판례 동향 김성호 507
1035 2024 제24권 제4호 위기대응 경찰작용과 협력적 행정응원에 대한 소고 최정윤, 김형섭 585
1034 2024 제24권 제4호 연안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최석문 528
1033 2024 제24권 제4호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이상명 526
1032 2024 제24권 제4호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적용 판례에 관한 연구 이남윤, 강동욱 530
1031 2024 제24권 제4호 첨단재생의료 실시 및 안전관리 법제의 의의와 개선방안 윤진아 493
1030 2024 제24권 제4호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운영의 개선방안 박창석 502
1029 2024 제24권 제4호 현행 공기업규제에 대한 공기업법적 평가와 대안 - 성심당 사건으로 본 공기업의 영리성 한계 - 길준규 505
1028 2024 제24권 제4호 영국과 미국 경찰의 총기사용에 관한 연구 경재웅 529
1027 2024 제24권 제3호 법 구성에 있어서 타자와의 두 가지 관계방식: 배제와 공존 정병화, 김우섭 1070
1026 2024 제24권 제3호 온라인 플랫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바람직한 입법방안 김윤정 1180
1025 2024 제24권 제3호 다주택자에 의한 투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정우형 1164
1024 2024 제24권 제3호 사회통합을 위한 성소수자 보호 - 독일법상 동성혼 보호를 중심으로 - 이종덕 1177
1023 2024 제24권 제3호 폐교대학 구성원의 보호정책 및 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주용기 1129
1022 2024 제24권 제3호 식품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른 규제법제의 역사적 변화와 미래 전망 왕승혜 1159
1021 2024 제24권 제3호 인구소멸 고위험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관련 조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외국인주민 비중이 높은 4개 기초 지… 이은재 1191
1020 2024 제24권 제3호 위치정보법의 개정방안 연구 이부하 1140
1019 2024 제24권 제3호 동성혼과 조세 - Burden 판결・Windsor 판결을 중심으로 - 이기욱 1149
1018 2024 제24권 제3호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과제 노기호 1166
1017 2024 제24권 제3호 초연결·초지능사회에서 개인정보 보호규범의 법정책적 검토 김형섭 1138
1016 2024 제24권 제3호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법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일의 재생에너지 전략과 비교하여 - 길준규 1140
1015 2024 제24권 제3호 법정책학과의 만남, 그리고 남복현 1156
1014 2024 제24권 제2호 인공지능에 의한 사고발생 위험과 보험제도의 대응방안에 관한 소고 지광운 961
1013 2024 제24권 제2호 미국 회사법상 주주의 의결권 이기욱 924
1012 2024 제24권 제2호 오버투어리즘 문제의 해결을 위한 법정책의 방향 송호신 98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