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0 발행호수 제20권 제2호 저자 윤현석
자료명 현행 조세범 처벌제도의 개선방안
개요 Ⅰ. 서론
Ⅱ. 조세범 처벌의 현황 및 문제점
Ⅲ. 주요국의 조세범 처벌제도
Ⅳ. 현행 조세범 처벌제도의 개선방안
Ⅴ. 결론


조세범 처벌법은 2010년 조세범죄를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부개정 되었지만, 조세범죄가 꾸준히 증가하여 그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 방법도 나날이 지능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조세범죄의 방치는 국고수입의 결함을 가져 오고, 특히 성실한 납세의무자는 손해를 보고 교활한 방법으로 탈세하는 자는 잘산다는 사회풍조의 만연으로 인해 건전한 납세의식을 해치고 있다.
이에 과세당국이 세무조사 및 조세범칙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세당국은 전문가집단의 치밀한 조력 하에 이루어지는 조세포탈행위를 적발하기 어렵다. 또한 과세당국이 조세포탈행위를 적발하여 고발하더라도 이들의 행위에 대한 처벌이 약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조세범 처벌제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문을 가지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세포탈범의 평균 형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이 중에서 집행유예가 50% 정도는 차지하고 있다. 집행유예가 많은 이유는 조세범죄의 형량에서는 포탈한 조세를 납부하게 되면 형량을 감경하도록 양형기준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고액?상습체납자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조세범죄에 대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세채권은 국가권력에서 나오는 사유재산의 침해하기 때문에 형량이 일반범죄 보다 감경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즉 조세포탈행위는 일반 사기범죄보다도 더욱 치밀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세포탈범의 형량은 최소한 사기범의 형량과 동일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악의적?상습적 조세포탈범의 경우에는 집행유예의 선고 보다는 자유형 중 실형으로 선고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역외탈세의 경우도 국내 조세포탈범과 동일하게 처벌하고 있으므로, 역외탈세에 대해서는 부과제척기간 등에서 달리 적용하고 있듯이 그 형량을 국내 조세포탈범 보다 강화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기업 임원 등 사업주들의 조세범죄행위에 대해 집행유예로 처벌하는 경우에는 취업제한 등과 같은 형벌을 부가한다면, 사업주들에게는 예방적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조세포탈범죄는 경제적 거래관계를 통해 발생하고 사기범죄와 유사하므로, 현재의 특가법 적용대상에서 특경법 적용대상으로 전환하여 형벌을 강화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
주제어 조세범, 조세범 처벌, 조세포탈, 조세포탈범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 집행유예, 역외탈세, 조세범칙조사
다운로드

 05.윤현석_수정_.pdf (486.2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1039 2024 제24권 제4호 주식평등의 원칙에 관한 최근 논의의 비판적 검토 - 대법원 판례의 평석을 중심으로 - 정준우 533
1038 2024 제24권 제4호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진흥을 위한 법정책 고찰 - 소프트웨어진흥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승제, 정규 538
1037 2024 제24권 제4호 법정유언사항 이외의 사항에 대한 유언의 효력 박창욱 510
1036 2024 제24권 제4호 디젤게이트(Dieselgate)에서 자동차 제조사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독일 연방대법원의 최근 판례 동향 김성호 509
1035 2024 제24권 제4호 위기대응 경찰작용과 협력적 행정응원에 대한 소고 최정윤, 김형섭 587
1034 2024 제24권 제4호 연안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최석문 529
1033 2024 제24권 제4호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이상명 527
1032 2024 제24권 제4호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적용 판례에 관한 연구 이남윤, 강동욱 531
1031 2024 제24권 제4호 첨단재생의료 실시 및 안전관리 법제의 의의와 개선방안 윤진아 496
1030 2024 제24권 제4호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운영의 개선방안 박창석 502
1029 2024 제24권 제4호 현행 공기업규제에 대한 공기업법적 평가와 대안 - 성심당 사건으로 본 공기업의 영리성 한계 - 길준규 507
1028 2024 제24권 제4호 영국과 미국 경찰의 총기사용에 관한 연구 경재웅 530
1027 2024 제24권 제3호 법 구성에 있어서 타자와의 두 가지 관계방식: 배제와 공존 정병화, 김우섭 1076
1026 2024 제24권 제3호 온라인 플랫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바람직한 입법방안 김윤정 1188
1025 2024 제24권 제3호 다주택자에 의한 투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정우형 1170
1024 2024 제24권 제3호 사회통합을 위한 성소수자 보호 - 독일법상 동성혼 보호를 중심으로 - 이종덕 1183
1023 2024 제24권 제3호 폐교대학 구성원의 보호정책 및 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주용기 1137
1022 2024 제24권 제3호 식품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른 규제법제의 역사적 변화와 미래 전망 왕승혜 1164
1021 2024 제24권 제3호 인구소멸 고위험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관련 조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외국인주민 비중이 높은 4개 기초 지… 이은재 1199
1020 2024 제24권 제3호 위치정보법의 개정방안 연구 이부하 1145
1019 2024 제24권 제3호 동성혼과 조세 - Burden 판결・Windsor 판결을 중심으로 - 이기욱 1156
1018 2024 제24권 제3호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과제 노기호 1173
1017 2024 제24권 제3호 초연결·초지능사회에서 개인정보 보호규범의 법정책적 검토 김형섭 1146
1016 2024 제24권 제3호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법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일의 재생에너지 전략과 비교하여 - 길준규 1149
1015 2024 제24권 제3호 법정책학과의 만남, 그리고 남복현 1164
1014 2024 제24권 제2호 인공지능에 의한 사고발생 위험과 보험제도의 대응방안에 관한 소고 지광운 968
1013 2024 제24권 제2호 미국 회사법상 주주의 의결권 이기욱 930
1012 2024 제24권 제2호 오버투어리즘 문제의 해결을 위한 법정책의 방향 송호신 98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