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2 발행호수 제12집 제1호 저자 김상태
자료명 일본 전기용품안전법상 리콜제도와 강제집행
개요

최근 일본에서는 불량 전기용품 때문에 기업의 브랜드이미지 및 신용이 실추되고, 소비자에 의한 손해배상청구로 기업이 도산되는 등 제품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사건ㆍ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교훈으로 일본의 기업은 자체적으로 제조물책임 또는 리콜제도의 도입 등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으며, 나아가 관련 법령의 준수 및 제품에 대한 안전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기용품안전법도 이러한 민간사업자의 자주적인 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업자에 의한 자주검사와 민간기관에 의한 적합성검사를 규정하고 있다. 다만, 사업자에 의한 자주적인 안전 활동만으로는 전기용품에 의한 사고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기용품안전법에서는 이를 통제하기 위하여 리콜제도인 위험방지명령를 도입하고 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제품의 결함으로 인하여 손해를 입었을 때 이를 배상받는 제도도 유용하지만, 손해의 발생 이전에 혹은 손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리콜제도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리콜제도는 사업자의 자발적 의무이행이 될 경우에 그 의미를 가진다. 만약, 사업자가 자신에게 부여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행정기관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고 의무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제집행과 같은 물리력을 행사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이미 시중에 유통 중인 전기용품에 대한 리콜의 경우, 이와 같은 물리력의 담보는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그래서 일본에서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행정대집행법에 근거하여 행정기관이 직접 제품을 수거할 수도 있다.

그런데, 행정대집행에도 비례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언제나 인정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규제완화라는 취지에 맞추어서 리콜제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행정의 권한강화(예컨대, 사업자에게 보고 의무 부과) 등 기존의 리콜 관련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안전성 확보를 우선시한다면 이러한 위험방지명령과 강제집행은 반드시 적절한 수단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제도는 전기용품이 유통된 후 위해 및 장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발동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에서도 규제기관으로 하여금 사업자가 기술기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기술기준에 준수하여 전기용품을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주제어 전기용품, 전기용품안전법, 위험방지명령, 리콜제도, 강제집행, 행정대집행
다운로드

 김상태.pdf (526.2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361 2012 제12집 제1호 채무자회생법상 국제도산절차의 효력에 관한 입법적 과제 김영주 7525
360 2012 제12집 제1호 출입국관리 관련 통합법전 모델의 모색 홍기원 7459
359 2012 제12집 제2호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위헌성에 관한 논의 이성기, 한면수 7432
358 2012 제12집 제1호 선하증권상 국제재판관할 합의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양석완 7655
357 2012 제12집 제1호 가족관계의 변화에 따른 고령자의 재산보호를 위한 제도에 관한 연구 송호영 7350
356 2012 제12집 제1호 행정개입청구권의 요건으로서의 재량수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박효근 7786
355 2012 제12집 제1호 부동산실명법 제4조에서 명의수탁자의 지위의 형법해석상 문제와 개정방향 김현우 7732
354 2012 제12집 제1호 동두천 관련 특별법의 헌법소송적 대응에 관한 검토 남복현 7024
353 2012 제12집 제1호 일본 전기용품안전법상 리콜제도와 강제집행 김상태 7250
352 2012 제12집 제1호 군 사법절차의 관할관 확인조치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강동욱 7023
351 2011 제11집 제4호 독일헌법상 예산법률주의 정문식 7494
350 2011 제11집 제4호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상 감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백휴 7312
349 2011 제11집 제4호 지속가능한 하구관리법체제 수립에 관한 연구 심영규 7381
348 2011 제11집 제4호 행정심판과 고충처리제도의조직적 통합의 의의와 법정책적 개선과제 선정원 8178
347 2011 제11집 제4호 건물설계자ㆍ시공자의 건물매수인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변우주 7392
346 2011 제11집 제4호 감사원 감사권의 제한과 개선에 관한 연구 방동희 7225
345 2011 제11집 제4호 실내공기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박종원 6985
344 2011 제11집 제4호 노조법상 근로시간면제제도 시행 이후의 법리적 쟁점 문무기 7131
343 2011 제11집 제4호 광대역망 구축에서의 국가의 역할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길준규 6880
342 2011 제11집 제4호 암스테르담 방송의정서의 관점에서 독일의 방송재원지원의 정당성과 유럽연합의 보조금 감독 권형둔 7359
341 2011 제11집 제4호 취득시효완성으로 인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판례의 검토 강태성 8199
340 2011 제11집 제4호 군사법절차에 있어서의심판관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강동욱 7238
339 2011 제11집 제4호 의료산업과 IT융합에 제약이 되는 법ㆍ제도 현황 및 발전방안모색 조형원 7358
338 2011 제11집 제4호 부가가가치세법상의 차등비례세율 도입에 관한 연구 조명연, 최경식, 조상진 7835
337 2011 제11집 제4호 자본시장법상 투자신탁 수익자총회의 문제점 검토 정준우 7880
336 2011 제11집 제4호 인도회사법상 주주권과 주주총회 정용상 6674
335 2011 제11집 제3호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와 개인의 보호청구권 조홍석 7409
334 2011 제11집 제3호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조영기, 김상태 7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