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4호 저자 이부하
자료명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개요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Consilience of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and Civil Law
Property Rights

이 부 하(Boo-Ha LEE)*

재산권 개념의 확장은 재산권의 법적 지위 체계에 영향을 미치며, 다른 사람의
기본권 제한을 초래하기 때문에 기본권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산권의 제도보장은 방어적 기능뿐만 아니라, 기본권 보호기능과도 특히 관련
되어 있다. 즉, 사법(私法)에서 재산권의 불충분한 보호는 헌법상 과소보호금지
원칙에 의한 심사가 가능하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는 재산권을 ‘사적 유용성’과
그에 대한 ‘원칙적인 처분권’을 내포하는 재산가치 있는 구체적 권리로 보고 있
다. 반면, 독일 기본법 제14조 제1항은 재산권 보장을 규정하고 있고, 재산권의
정의를 위한 헌법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 헌법상 재산권의 징표는 헌법
의 전체 구조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한 재산권 보장의 목적과 기능으로부터 도출
된다. 독일 헌법상 재산권의 법적 지위는 독일 기본법 제14조상 보호영역의 추
상성에도 불구하고, 법률에서 재산권자에게 배타권, 처분권, 사적 유용성을 부여
하고 있다.
주택재산권은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이라는 일반법률에 의해 규율되고 있
다.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에 의하면, 주택재산권은 재산권자가 소유하는 조
합 재산의 공유 지분과 주택의 특별 재산권으로 구성된다(§ 1 II WEG). 또한 주
택재산권자는 주택재산권자 조합의 회원이 된다.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에서는 주택재산권자에게 배타적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 즉, 재산권자는 독점적으로 재산권 객체를 결정하고 제3자의 영향력으로
부터 배타권을 지닌다. 주택재산권자의 법적 지위는 일반 재산권자의 특별 재산
의 법적 지위와 유사한 반면, 조합 재산에서 공유 지분은 강력한 공동 관련성을
지닌다. 공유 지분은 처음부터 다수의 주택재산권자 결합의 총체적 관련성에서
주택재산권자 조합에 속한다. 주택재산권법(WEG) 제13조 제2항에 의하면, 개
별 주택재산권자는 주택재산권자 조합에서 ‘공동 사용’의 권리가 있다. 개별 주
택재산권자는 주택재산권법(WEG) 제16조 제1항 1문에 의거하여 해당 주택의
비율만큼 조합 재산을 사용할 수 있다. 조합 재산과 관련한 개별 주택재산권자
의 배타성은 제한된 범위에서만 존재한다. 제3자에 대한 배타성은 조합 재산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반면, 그 밖의 주택재산권자는 공동 사용 및 지분에 따른 사
용에 국한된다.
처분권에는 주택의 사용과 제3자의 점유 및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권리 및
주택재산을 매매할 수 있는 자유가 포함된다. 주택재산권자의 처분권 범위는 특
별 재산과 조합 재산 간에 차이가 있다. 주택재산권자가 주택재산권법(WEG) 제
12조에 의거하여 매매 제한에 합의한 경우, 매매 가능성 및 처분권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재산의 매매는 다른 주택재산권자 및 제3자의 동의에 의존하게 된다.
주택재산권의 사적 유용성과 관련하여, 특별 재산의 경우 주택재산권자는 단
독 재산권자와 유사한 광범위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주택재산권자는 특별 재산
을 점유, 임대, 전대 또는 사용할 권리가 있다. 조합 재산권으로부터 발생하는
권리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만 주택재산권자가 사용할 수 없다. 주택재산권자
는 조합 재산을 사용할 권리만 있다.
주제어 헌법상 재산권, 민법상 재산권, 주택재산권, 조합 재산, 특별 재산, 주택재산권자 조합의 회원
다운로드

 12.이부하.pdf (345.9K) [2]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725 2018 제18권 제2호 독일의 건강기금 제도 변무웅 5321
724 2018 제18권 제2호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최근 상법 개정안의 비판적 검토 정준우 5344
723 2018 제18권 제2호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의 법적 성격과 효력에 관한 고찰 노기호 5327
722 2018 제18권 제2호 농업생산성의 제고와 농지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농지임대차법제의 개선방안 소성규,서창원 5439
721 2018 제18권 제2호 남북한 통합의 전제에 대한 소고(小考):법적 문제와 통합변수들을 중심으로 송철종,모춘흥 5181
720 2018 제18권 제2호 사용후핵연료 관리 정책의 딜레마와 정책의 표류 이원희 5249
719 2018 제18권 제2호 소득세법 시행령 제16조 제1항의 위헌성연구 이기일 5298
718 2018 제18권 제2호 민법 제314조와 제316조에 대한 검토 및 개정안 강태성 5370
717 2018 제18권 제2호 공익을 위한 사적자치와 상생 이현석 4804
716 2018 제18권 제2호 프랑스와 한국의 사무관리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정다영 4880
715 2018 제18권 제2호 평등원칙 심사기준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이부하 5188
714 2018 제18권 제1호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법정책의 연구 - 인권침해의 방지 및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 손영화 4730
713 2018 제18권 제1호 자살예방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이상명 4506
712 2018 제18권 제1호 노인범죄자에 대한 보호처분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선영화,강동욱 4855
711 2018 제18권 제1호 내분비계 장애물질, 환경 호르몬, 인도 환경규제, 비스페놀 A, 노닐 페놀, 프탈레이트, 어린이 제품 반규만 4801
710 2018 제18권 제1호 국회 예산증액에 대한 정부 동의권 정문식 4517
709 2018 제18권 제1호 성별에 따른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와 미연방대법원 조홍석 4527
708 2018 제18권 제1호 생체인식정보와 감시: 수사기관의 얼굴 인식기술을 활용한 신원확인 행위의 법적 근거와 한계에 관한 연구 이성기 4624
707 2017 제17권 제4호 저소득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고찰 -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 이상명 5134
706 2017 제17권 제4호 EU, 미국, 일본의 화학물질관리법 주요 쟁점 비교 연구 이호용,박선아 5366
705 2017 제17권 제4호 EU 및 독일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 현황과 시사점 윤진아 5259
704 2017 제17권 제4호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조성혜 5371
703 2017 제17권 제4호 Hans Jonas의 책임 원칙과 생명공학의 발전 조홍석 5322
702 2017 제17권 제4호 유치권과 점유 - 민사유치권과 상사유치권을 중심으로 - 이현석 5079
701 2017 제17권 제4호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변화와 실무적 개선방안 김성록,김지석 5327
700 2017 제17권 제4호 일본 배우자공제 제도에 관한 고찰 - 일하는 여성의 중립적 세제 및 이전형기초공제의 도입을 중심으로- 이은미 5196
699 2017 제17권 제4호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김상태,조영기 4985
698 2017 제17권 제4호 하구역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운영을 위한 법제화 지원방안 연구 심영규 5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