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3호 저자 이상명
자료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개요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legislation of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이 상 명(Sang-Myeong LEE)*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독립적 국가기구인 '국가교육위원회'를 신설하고, 교육부 기능을 대폭 축소하여 초중등교육 업무를 시도 교육청으로 이관하며, 대학 입시구조조정 등 대학 관련 업무는 별도의 사무처에서 담당하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하였다. 돌이켜보면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공약에 기초한 국정 비전과 교육 분야 국정 과제가 제시되고, 집권 기간 내 성과에 집착해 성급하게 추진되곤 했다. 교육정책의 큰 틀은 물론, 대학입시제도와 국가교육과정이 큰 폭으로 바뀌었고, 정치·경제적 관점에 기반을 둔 실험적 교육정책들이 쏟아졌다. 게다가 김영삼 정부 이후 교육부장관의 평균 임기가 1년 정도에 불과할 정도여서 정책의 일관성 또한 담보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잦은 교육정책의 변화는 국민으로 하여금 교육에 대한 불신과 불안을 가져왔고, 사교육 시장만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헌법은 제31조 제4항에서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명시하고 있다. 교육의 자주성은 교육의 내용이나 교육행정 등이 교육당사자들에 의한 자발성과 주도에 의한 민주적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국민의 일반적인 교육과 국가 전반의 기본적인 교육을 위하여 국가의 간여가 있을 수 있으나 가능한 한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그리고 교육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교육이 인간의 인성, 지적능력을 개발하는 것이므로 교육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이루어질 것을 요구한다. 또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교육이 국가권력이나 정치세력의 영향과 압력을 받아서는 아니 되고 반대로 교육이 정치에 개입하여서도 아니 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어느 당이 집권하든 여야를 초월하여, 교육논리로, 대한민국 교육을 혁신할 국가교육위원회가 필요하다.

교육 정책을 크게 교육 정책 결정, 집행, 평가의 3단계로 나눈다고 할 때,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국가교육위원회가 정책의 결정과 평가를, 교육부가 정책 집행을 맡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권의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 독립적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정치권이 교육정책이 간섭할 수 없도록 해야 하므로 대통령을 비롯하여 입법, 사법, 행정부로부터 독립된 기구로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은 대통령을 포함해 정부, 국회, 시도교육감협의회, 교원단체, 대학관련단체, 학계 등이 추천하는 인사들로 구성해 대표성과 다양성을 확보하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 교육전문가가 과반 이상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어 국가교육위원회, 국가교육회의, 교육의 자주성, 교육의 전문성,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다운로드

 05.법정책_이상명.pdf (335.3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725 2018 제18권 제2호 독일의 건강기금 제도 변무웅 5325
724 2018 제18권 제2호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최근 상법 개정안의 비판적 검토 정준우 5345
723 2018 제18권 제2호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의 법적 성격과 효력에 관한 고찰 노기호 5329
722 2018 제18권 제2호 농업생산성의 제고와 농지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농지임대차법제의 개선방안 소성규,서창원 5440
721 2018 제18권 제2호 남북한 통합의 전제에 대한 소고(小考):법적 문제와 통합변수들을 중심으로 송철종,모춘흥 5183
720 2018 제18권 제2호 사용후핵연료 관리 정책의 딜레마와 정책의 표류 이원희 5251
719 2018 제18권 제2호 소득세법 시행령 제16조 제1항의 위헌성연구 이기일 5299
718 2018 제18권 제2호 민법 제314조와 제316조에 대한 검토 및 개정안 강태성 5371
717 2018 제18권 제2호 공익을 위한 사적자치와 상생 이현석 4805
716 2018 제18권 제2호 프랑스와 한국의 사무관리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정다영 4881
715 2018 제18권 제2호 평등원칙 심사기준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이부하 5191
714 2018 제18권 제1호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법정책의 연구 - 인권침해의 방지 및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 손영화 4732
713 2018 제18권 제1호 자살예방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이상명 4509
712 2018 제18권 제1호 노인범죄자에 대한 보호처분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선영화,강동욱 4856
711 2018 제18권 제1호 내분비계 장애물질, 환경 호르몬, 인도 환경규제, 비스페놀 A, 노닐 페놀, 프탈레이트, 어린이 제품 반규만 4802
710 2018 제18권 제1호 국회 예산증액에 대한 정부 동의권 정문식 4517
709 2018 제18권 제1호 성별에 따른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와 미연방대법원 조홍석 4528
708 2018 제18권 제1호 생체인식정보와 감시: 수사기관의 얼굴 인식기술을 활용한 신원확인 행위의 법적 근거와 한계에 관한 연구 이성기 4624
707 2017 제17권 제4호 저소득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고찰 -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 이상명 5134
706 2017 제17권 제4호 EU, 미국, 일본의 화학물질관리법 주요 쟁점 비교 연구 이호용,박선아 5366
705 2017 제17권 제4호 EU 및 독일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 현황과 시사점 윤진아 5259
704 2017 제17권 제4호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조성혜 5371
703 2017 제17권 제4호 Hans Jonas의 책임 원칙과 생명공학의 발전 조홍석 5322
702 2017 제17권 제4호 유치권과 점유 - 민사유치권과 상사유치권을 중심으로 - 이현석 5079
701 2017 제17권 제4호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변화와 실무적 개선방안 김성록,김지석 5328
700 2017 제17권 제4호 일본 배우자공제 제도에 관한 고찰 - 일하는 여성의 중립적 세제 및 이전형기초공제의 도입을 중심으로- 이은미 5196
699 2017 제17권 제4호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김상태,조영기 4985
698 2017 제17권 제4호 하구역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운영을 위한 법제화 지원방안 연구 심영규 5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