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9 발행호수 제19권 제4호 저자 최정윤,김형섭
자료명 초연결사회에서 합리적 규제완화 방안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개요 초연결사회에서 합리적 규제완화 방안
-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
Angemesen Dergulierung in einer hyperverbunden Geslschaft
- Fokusierng auf Regulatory Sandbox -

최 정 윤(Jeong-Yun CHOI),  김 형 섭(Hyung-Seob KIM)


초연결사회를 향한 수준급의 인프라 및 기술적 환경 그리고 전문가들의 기술
능력 등 우리가 가지고 있는 최상의 환경에도 불구하고 기술의 혁신적 발전에
따른 법적?제도적 대응은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우선적으로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이 가지는 기존 규범과의 충돌문제 해결
을 위해 기술중립적 제도화가 필요하고, 나아가 특정영역에서 규범적 대응을 위
한 규제근거가 흠결된 경우에는 블록체인에 대한 규제접근을 위해 규제근거와
접근방식을 확정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ICT융합기술과 혁신적 금융서비스 등 신기술을 활용한
산업이 기존의 규제에 막혀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게 되고, 4차 산업혁명과는 멀
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규제개혁이 필요하
였고, 이러한 열망으로 2019년 1월 17일 정부는 신산업?신기술 분야에서 새로
운 제품 및 서비스를 출시하고자 할 때 각종 규제를 일정기간 면제 또는 유예해
주는 ‘규제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규제샌드박스 도입 등을 위한 규제혁신 5법(행정규제기본법, 정보통신진흥및
융합활성화등에관한특별법, 산업융합촉진법,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지역특화발전
특구에관한규제특례법)이 국회에 발의되어 통과하였고, 현재 시행되고 있다. 절
차를 보면 사업자가 규제샌드박스를 적용해달라고 신청하게 되고, 신청을 받아
규제샌드박스 요건에 해당하는지 심사를 하여 시범사업과 임시허가 등의 방법으
로 규제를 면제하거나 유예해주는 제도이다. 우리는 규제혁신의 방안으로 규제
샌드박스를 새로이 도입하여 운용하는 만큼 효율적 제도운영과 정착을 위하여
이미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영국, 싱가포르, 일본의 사례에서 부분적으로 발견
되는 운영상의 문제점과 그 해결과정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초연결사회의 새로운 혁신적 기술에 대응함에 있어 규제패러다임의 전환에 따
라 사전적?타율적 규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규제샌드박스가 관련된 분야의
규제완화의 수단으로 제대로 작동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신기술의 기능적 활용
에 수반되는 리스크를 제한 상태에서 실험적 과정의 운용을 통해 향후 관련
법률 및 제도화에 있어 규율의 적절성 및 합리성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규제샌드박스, 규제완화, 리스크 규제, 초연결사회, 과학적 합리성원칙
다운로드

 03._법정책학연구__최정윤,김형섭_수정_.pdf (441.0K) [2]

 
 

연도선택:
   
자료등록 1,063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979 2023 제23권 제3호 비밀촬영한 사진의 증거능력 김재중, 강현주 2374
978 2023 제23권 제3호 미국의 부당노동행위 증명책임에 관한 일고찰 - Wright Line test를 중심으로 - 정영훈 2336
977 2023 제23권 제3호 기후대응기금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위한 행정법적 과제 이국현 2312
976 2023 제23권 제3호 국회의 동의를 요하는 조약의 해석과 적용 노기호 2417
975 2023 제23권 제3호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상 성년후견인의처벌불원 의사표시 허용 여부 - 대법원 2023. 7. 17. 선고 2021도11126 전원합의체… 김민경 2309
974 2023 제23권 제3호 공무원 겸직 제한 법제의 헌법적 타당성 검토 및 신고제로의 전환 제언 - 국가공무원법 제64조, 국가공무원 복무… 김나영 2174
973 2023 제23권 제2호 미국연방세법상 선택오류의 시정 이기욱 2325
972 2023 제23권 제2호 디지털콘텐츠 및 서비스 계약상 제공의무 - 유럽 디지털콘텐츠 지침 제5조를 중심으로 - 이종덕 2402
971 2023 제23권 제2호 민법에서 성 평등 실현 역사와 남겨진 과제 박종미 2490
970 2023 제23권 제2호 영조물로부터의 소음에 대한 법률문제 - 학교로부터 발생한 소음을 중심으로 - 최현태 2449
969 2023 제23권 제2호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의 추진 여건과 법적 과제 모춘흥 2432
968 2023 제23권 제2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의 법정책적 과제 소성규 2413
967 2023 제23권 제2호 대체역 제도 개선방안 연구-그리스와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대유, 한상연 2308
966 2023 제23권 제2호 독일의 혁신 원천기술 지원 법체계에 관한 소고 김형섭 2254
965 2023 제23권 제1호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정다영 2886
964 2023 제23권 제1호 상속인 아닌 보험수익자가 생명보험금을 수령한 경우 상속인의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 결정에 관한 민법 및 보… 김판기,홍진희 2464
963 2023 제23권 제1호 생명윤리와 연구대상자 보호 손영화 2564
962 2023 제23권 제1호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 2732
961 2023 제23권 제1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을 위한 탐정의 역할 제고 방안 최문환, 강동욱 2817
960 2023 제23권 제1호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2785
959 2023 제23권 제1호 프랑스 환경헌장의 의의와 역할 김지영 2700
958 2023 제23권 제1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권순호 2547
957 2023 제23권 제1호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2950
956 2022 제22권 제4호 임원배상책임보험과 화해 이기욱 3146
955 2022 제22권 제4호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조세정책 개선방안 - 미국 조세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희, 윤현석 3193
954 2022 제22권 제4호 상업지역 내 주거 일조권의 사전적 보호 김지석 3182
953 2022 제22권 제4호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과 규제에 관한 고찰 박세양 3371
952 2022 제22권 제4호 신기능주의 통합이론에서 본 남북한 교류협력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분권형 대북정책’ 정병화, 정계현, 조곽규 324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