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9 발행호수 제19권 제4호 저자 강지명
자료명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개요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 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Examples and Implications of corection program using game and game elements

강 지 명(Je Myoung KANG)



게임이용행위와 게임적 요소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의 개발은 교도소라는 시
공간적 한계를 넘어선 교정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다. 교도
소가 재사회화 교정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도소 자체가 수형자로 하여
금 사회를 이해하고 개인의 삶을 성찰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한다. 게임
공간에서는 이를 경험적으로 성찰할 수 있다. 게임규칙을 만들고 갈등관계를 해
결하는 과정에서 협동을 하게 되고 규범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게임의 목표나
평가지표(게임물 등급 등에 대한 인식을 통한 게임스토리구상)에 따라 사고해보
는 경험을 하게 된다. 금지중심에서 사고체계중심으로 의식의 흐름이 바뀐다. 실
패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사회의 실패를 딛고 일어설 수 있는 자존
감 및 회복탄력성과도 연결될 수 있다. 게임이용자가 경험하는 결과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무한 확장될 수 있으며, 그 결과물(사회경험)은 생산자가 아니라 이용
자라는 것을 경험하여 본인의 삶에서도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게임을 수행
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문제의 해결이라는 점을 전제로 교정프로그램은
갈등해결을 우선적인 문제해결대상으로 짚어줄 수 있다. 동일한 사건은 반복될
수 없다고 한다. 학교나 교도소에서 배운 것은 사회에서 그대로 재현되지 않으며 항상 새로운
환경에서 다른 조건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다양한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서로
상충하는 개념이나 윤리적 갈등의 요소들의 합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즐거움과 규칙, 자유와 책임이 있을 수 있다. 이번 시범 프로그램에서는 비
폭력 대화의 욕구 비교를 통해서 이러한 상충되는 것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주었다. 그리고 마음의 피난처나 안식처 찾기를 통해 자극과
반응사이의 공간을 마련해주어, 판단에 따른 결정을 할 수 있는 사고의 시간을
만드는 능력을 길러보았다.
주제어 게임, 게임이용행위, 마음챙김, 비폭력대화, 게임이용장애
다운로드

 11._학술__강지명_수정본01.01_.pdf (320.7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63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979 2023 제23권 제3호 비밀촬영한 사진의 증거능력 김재중, 강현주 2374
978 2023 제23권 제3호 미국의 부당노동행위 증명책임에 관한 일고찰 - Wright Line test를 중심으로 - 정영훈 2336
977 2023 제23권 제3호 기후대응기금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위한 행정법적 과제 이국현 2312
976 2023 제23권 제3호 국회의 동의를 요하는 조약의 해석과 적용 노기호 2417
975 2023 제23권 제3호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상 성년후견인의처벌불원 의사표시 허용 여부 - 대법원 2023. 7. 17. 선고 2021도11126 전원합의체… 김민경 2309
974 2023 제23권 제3호 공무원 겸직 제한 법제의 헌법적 타당성 검토 및 신고제로의 전환 제언 - 국가공무원법 제64조, 국가공무원 복무… 김나영 2174
973 2023 제23권 제2호 미국연방세법상 선택오류의 시정 이기욱 2325
972 2023 제23권 제2호 디지털콘텐츠 및 서비스 계약상 제공의무 - 유럽 디지털콘텐츠 지침 제5조를 중심으로 - 이종덕 2402
971 2023 제23권 제2호 민법에서 성 평등 실현 역사와 남겨진 과제 박종미 2490
970 2023 제23권 제2호 영조물로부터의 소음에 대한 법률문제 - 학교로부터 발생한 소음을 중심으로 - 최현태 2449
969 2023 제23권 제2호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의 추진 여건과 법적 과제 모춘흥 2432
968 2023 제23권 제2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의 법정책적 과제 소성규 2413
967 2023 제23권 제2호 대체역 제도 개선방안 연구-그리스와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대유, 한상연 2308
966 2023 제23권 제2호 독일의 혁신 원천기술 지원 법체계에 관한 소고 김형섭 2254
965 2023 제23권 제1호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정다영 2886
964 2023 제23권 제1호 상속인 아닌 보험수익자가 생명보험금을 수령한 경우 상속인의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 결정에 관한 민법 및 보… 김판기,홍진희 2464
963 2023 제23권 제1호 생명윤리와 연구대상자 보호 손영화 2564
962 2023 제23권 제1호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 2732
961 2023 제23권 제1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을 위한 탐정의 역할 제고 방안 최문환, 강동욱 2817
960 2023 제23권 제1호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2785
959 2023 제23권 제1호 프랑스 환경헌장의 의의와 역할 김지영 2700
958 2023 제23권 제1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권순호 2547
957 2023 제23권 제1호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2950
956 2022 제22권 제4호 임원배상책임보험과 화해 이기욱 3146
955 2022 제22권 제4호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조세정책 개선방안 - 미국 조세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희, 윤현석 3193
954 2022 제22권 제4호 상업지역 내 주거 일조권의 사전적 보호 김지석 3182
953 2022 제22권 제4호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과 규제에 관한 고찰 박세양 3371
952 2022 제22권 제4호 신기능주의 통합이론에서 본 남북한 교류협력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분권형 대북정책’ 정병화, 정계현, 조곽규 324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