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8 발행호수 제18권 제3호 저자 노동영
자료명 북한이탈주민의 법교육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
개요
북한이탈주민의 법교육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
Brief ideas on the legislative-policy for the law edu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노 동 영(Dong-Young NOH)

우리 사회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이 3만명을 넘어섰다. 한반도를 대한민국의
영토로 선언한 헌법 제3조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이 우리 국민인 이상 어렵게 우
리 사회에 정착해가는 과정에 있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국가의 평생교육의무는
물론이고 법치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에 동화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법교육의 진흥의무가 국가에 있음은 당연하다. 수직적 집단주의와 사회주의 체
제에서 성장한 북한이탈주민의 법의식은 ‘法의 無知’상태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국가의 법교육 지원은 그 어느 집단보다 절실하다고 하겠다.
법교육은 우리의 의지에 의하지 않고 분단되어 전혀 다른 체제에서 생활한 데
서 오는 이질감으로 인해 북한이탈주민이 우리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는데 불
편하지 않도록 법정책적으로 배려하는 아주 유용한 방법이다. 한편으로는, 우리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북한 사회와 우리 사회를 모두 경험
하고 양 사회가 가진 체제의 이질감을 극복해낸 소중한 인적 자원이다. 북한이
탈주민의 성공적인 정착을 돕는 법교육의 지원은 통일과정에서 북한이탈주민이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전에 통일기반 내지 통일여건을 조성하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2018 남북정상회담으로부터 시작된 한반도 화해모드를 볼
때 평화의 여건 성숙 및 통일에 대비하여 북한이탈주민을 건전하고 성숙한 민주
시민으로 성장시키는데 법교육은 평생교육으로써 강조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주제어 북한이탈주민, 법교육, 통일교육, 과도기정의, 통일여건의 조성
다운로드

 08.노동영.pdf (295.1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63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979 2023 제23권 제3호 비밀촬영한 사진의 증거능력 김재중, 강현주 2360
978 2023 제23권 제3호 미국의 부당노동행위 증명책임에 관한 일고찰 - Wright Line test를 중심으로 - 정영훈 2318
977 2023 제23권 제3호 기후대응기금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위한 행정법적 과제 이국현 2297
976 2023 제23권 제3호 국회의 동의를 요하는 조약의 해석과 적용 노기호 2401
975 2023 제23권 제3호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상 성년후견인의처벌불원 의사표시 허용 여부 - 대법원 2023. 7. 17. 선고 2021도11126 전원합의체… 김민경 2296
974 2023 제23권 제3호 공무원 겸직 제한 법제의 헌법적 타당성 검토 및 신고제로의 전환 제언 - 국가공무원법 제64조, 국가공무원 복무… 김나영 2156
973 2023 제23권 제2호 미국연방세법상 선택오류의 시정 이기욱 2312
972 2023 제23권 제2호 디지털콘텐츠 및 서비스 계약상 제공의무 - 유럽 디지털콘텐츠 지침 제5조를 중심으로 - 이종덕 2389
971 2023 제23권 제2호 민법에서 성 평등 실현 역사와 남겨진 과제 박종미 2471
970 2023 제23권 제2호 영조물로부터의 소음에 대한 법률문제 - 학교로부터 발생한 소음을 중심으로 - 최현태 2432
969 2023 제23권 제2호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의 추진 여건과 법적 과제 모춘흥 2418
968 2023 제23권 제2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의 법정책적 과제 소성규 2399
967 2023 제23권 제2호 대체역 제도 개선방안 연구-그리스와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대유, 한상연 2295
966 2023 제23권 제2호 독일의 혁신 원천기술 지원 법체계에 관한 소고 김형섭 2237
965 2023 제23권 제1호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정다영 2871
964 2023 제23권 제1호 상속인 아닌 보험수익자가 생명보험금을 수령한 경우 상속인의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 결정에 관한 민법 및 보… 김판기,홍진희 2445
963 2023 제23권 제1호 생명윤리와 연구대상자 보호 손영화 2544
962 2023 제23권 제1호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 2716
961 2023 제23권 제1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을 위한 탐정의 역할 제고 방안 최문환, 강동욱 2802
960 2023 제23권 제1호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2766
959 2023 제23권 제1호 프랑스 환경헌장의 의의와 역할 김지영 2685
958 2023 제23권 제1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권순호 2528
957 2023 제23권 제1호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2936
956 2022 제22권 제4호 임원배상책임보험과 화해 이기욱 3127
955 2022 제22권 제4호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조세정책 개선방안 - 미국 조세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희, 윤현석 3170
954 2022 제22권 제4호 상업지역 내 주거 일조권의 사전적 보호 김지석 3161
953 2022 제22권 제4호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과 규제에 관한 고찰 박세양 3356
952 2022 제22권 제4호 신기능주의 통합이론에서 본 남북한 교류협력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분권형 대북정책’ 정병화, 정계현, 조곽규 322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