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2 발행호수 제22권 제3호 저자 최정윤, 김형섭
자료명 EU의 클라우드컴퓨팅 관련 입법 정책 연구
개요

[목차]

Ⅰ. 머리말

Ⅱ. EU의 데이터 정책과 클라우드 입법  현황

Ⅲ. 클라우드컴퓨팅에 대한 GDPR의 규율 내용

Ⅳ. 우리 법제와의 차이 및 시사점

Ⅴ. 맺음말

 

[국문요지]

클라우드컴퓨팅은 기존의 IT인프라에서 대응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 저렴한 구축비용을 들이면서도 적시에 유연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른 개선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외주화된 기반설비를 바탕으로 구축된 클라우드와 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대량의 정보 집적 및 처리로 인해 정보의 노출위험성과 미흡한 개인정보 보호체계에 대해 많이 지적되고 있다. 탈레스의 ‘2022 클라우드 보안 보고서’(2022 Thales Cloud Security Report)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멀티클라우드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고, 이들 클라우드에서 개인정보와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은 더욱 복잡하고 어렵다고 한다. 그 보고서는 최근 12개월 간 한국기업의 32%가 클라우드 데이터의 침해를 경험하거나 감시에 실패하였고 여러 사이버범죄로부터 민감정보를 보호함에 있어 우려를 밝히고 있다. 실제 클라우드 내 민감정보의 보호를 위해 주로 암호화와 키 관리가 이용되지만 이들 데이터의 유출과 악성코드 감염이라는 여러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

우리는 클라우드환경상 개인정보 보호문제에 대해서 개별법률에 따라 클라우드컴퓨팅법과 개인정보보호법령이 중복적용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만 2015년 제정된 클라우드컴퓨팅법(?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 개인정보 보호부분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보호법?을 우선 적용하고 있으므로, 현행법제에서는 신용정보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신용정보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항은 ?개인정보 보호법?을 우위에 두고, 클라우드컴퓨팅법은 보충적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GDPR의 주요 특징은 디지털 단일시장에 적합하고 통일된 프레임워크와 메커니즘,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 컨트롤러의 책임성 강화, 개인정보 침해통지 제도의 확대와 제재 강화, 국제협력의 증진 등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클라우드컴퓨팅에 대해서도 GDPR의 데이터 컨트롤러와 프로세서의 관계, 의무, 책임 규정이 분명하게 적용된다. 개인정보 침해로 인한 침해사실의 신고 및 통지와 관련하여서는 침해사고와 관련된 법적 쟁점의 측면에서 GDPR은 우리와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GDPR이 합리적 예외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 ?개인정보 보호법?은 침해통지의 예외조항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복수의 컨트롤러에게 CSP가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지체없이 통지할 수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동시에 통지할 수 있는 규약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데이터 삭제와 관련하여 클라우드컴퓨팅환경에서는 보통 백업데이터가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삭제요구에 대응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인 CSP는 데이터의 유형, 보관장소, 저장형태를 항시 파악하여 보유기간이 경과한 후에 적절한 삭제를 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주제어 EU데이터정책, 클라우드컴퓨팅, 개인정보, 기술규범체계, 데이터거버넌스법, 디지털서비스법(안)
다운로드

 06.공법-최정윤,김형섭.pdf (404.3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27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943 2022 제22권 제3호 가격조정조항에 대한 독일법과의 비교 연구(Ⅰ) - 서울중앙지법 2016. 10. 6. 선고 2014가단5221992 판결과 인천지법 2017… 박신욱 2088
942 2022 제22권 제3호 탐정의 개인정보 관련 업무의 합리적 수행을 위한 입법 방안 윤현종, 강동욱 2214
941 2022 제22권 제3호 추상적 아이디어가 결합된 SW발명의 성립성 판단과 쟁점 권지현 2123
940 2022 제22권 제3호 형사제재의 행정법적 제재로의 전환 박재평 2168
939 2022 제22권 제3호 EU의 클라우드컴퓨팅 관련 입법 정책 연구 최정윤, 김형섭 2160
938 2022 제22권 제3호 상대방 몰래 한 녹음과 통신의 비밀 허순철 2165
937 2022 제22권 제3호 선거운동의 주체에 대한 소고 - 언론인과 대통령 당선인을 중심으로 - 이상명 2000
936 2022 제22권 제3호 공동주택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봉근 2043
935 2022 제22권 제3호 집합건물의 분양제도에 관한 법리적 검토 - ‘분양’ 개념의 불명확성 문제와 본질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성준호 2033
934 2022 제22권 제3호 현행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권 보장에 관한 소고 이도국 2062
933 2022 제22권 제2호 코로나19 시대의 법정책 : 예외의 징후에서 변화의 약속으로? Carlos M. Herrera(번역: 오승규) 2491
932 2022 제22권 제2호 영국의 공개매수 규율에 관한 법리 박건도 2528
931 2022 제22권 제2호 여행주최자의 안전배려의무의 내용과 한계 - 프랑스법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박수곤 2566
930 2022 제22권 제2호 빅데이터 시대의 중국의 개인정보 입법의 인식론 - 중국 입법의 모델인 EU의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중심으… 瀏德良, 손호준 2599
929 2022 제22권 제2호 통일대비 형법 적용을 위한 법적 동화에 관한 연구 최진호 2498
928 2022 제22권 제2호 민주적 의사형성의 위협요소인 소셜 미디어에 대한 법정책적 규제 - 페이스북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 이부하 2433
927 2022 제22권 제2호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 개정에 따른 수사기관의 대응방안 제고 최문환, 강동욱 2452
926 2022 제22권 제2호 택배서비스 산업 관련 법률관계 및 법제도 개선방안 소성규, 권영택 2553
925 2022 제22권 제2호 헌법 제31조 제1항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에 대한 재해석 노기호 2539
924 2022 제22권 제1호 사회적 투명성 확보의 필요성과 입법적 대안 이호선 2860
923 2022 제22권 제1호 교육부 교육정책에 대한 일고 :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조용기, 정병화 2732
922 2022 제22권 제1호 심리상담사법 제정의 방향 김영환 2784
921 2022 제22권 제1호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에 따른 대안입법 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 이용표, 배진영 2990
920 2022 제22권 제1호 보험사기 방지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탐정의 역할 확대를 중심으로 - 이병욱, 강동욱 2890
919 2022 제22권 제1호 공정경쟁 옴부즈만 도입에 관한 연구 최주필 2803
918 2022 제22권 제1호 통일 후 북한지역의 토지소유법제 김지석 2806
917 2022 제22권 제1호 통일 한국에서의 자연인의 권리능력과 행위능력 김판기 2751
916 2022 제22권 제1호 형사절차상 소년범 구속제도의 개선방안 이상한 295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