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4호 저자 이부하
자료명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개요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Consilience of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and Civil Law
Property Rights

이 부 하(Boo-Ha LEE)*

재산권 개념의 확장은 재산권의 법적 지위 체계에 영향을 미치며, 다른 사람의
기본권 제한을 초래하기 때문에 기본권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산권의 제도보장은 방어적 기능뿐만 아니라, 기본권 보호기능과도 특히 관련
되어 있다. 즉, 사법(私法)에서 재산권의 불충분한 보호는 헌법상 과소보호금지
원칙에 의한 심사가 가능하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는 재산권을 ‘사적 유용성’과
그에 대한 ‘원칙적인 처분권’을 내포하는 재산가치 있는 구체적 권리로 보고 있
다. 반면, 독일 기본법 제14조 제1항은 재산권 보장을 규정하고 있고, 재산권의
정의를 위한 헌법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 헌법상 재산권의 징표는 헌법
의 전체 구조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한 재산권 보장의 목적과 기능으로부터 도출
된다. 독일 헌법상 재산권의 법적 지위는 독일 기본법 제14조상 보호영역의 추
상성에도 불구하고, 법률에서 재산권자에게 배타권, 처분권, 사적 유용성을 부여
하고 있다.
주택재산권은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이라는 일반법률에 의해 규율되고 있
다.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에 의하면, 주택재산권은 재산권자가 소유하는 조
합 재산의 공유 지분과 주택의 특별 재산권으로 구성된다(§ 1 II WEG). 또한 주
택재산권자는 주택재산권자 조합의 회원이 된다.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에서는 주택재산권자에게 배타적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 즉, 재산권자는 독점적으로 재산권 객체를 결정하고 제3자의 영향력으로
부터 배타권을 지닌다. 주택재산권자의 법적 지위는 일반 재산권자의 특별 재산
의 법적 지위와 유사한 반면, 조합 재산에서 공유 지분은 강력한 공동 관련성을
지닌다. 공유 지분은 처음부터 다수의 주택재산권자 결합의 총체적 관련성에서
주택재산권자 조합에 속한다. 주택재산권법(WEG) 제13조 제2항에 의하면, 개
별 주택재산권자는 주택재산권자 조합에서 ‘공동 사용’의 권리가 있다. 개별 주
택재산권자는 주택재산권법(WEG) 제16조 제1항 1문에 의거하여 해당 주택의
비율만큼 조합 재산을 사용할 수 있다. 조합 재산과 관련한 개별 주택재산권자
의 배타성은 제한된 범위에서만 존재한다. 제3자에 대한 배타성은 조합 재산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반면, 그 밖의 주택재산권자는 공동 사용 및 지분에 따른 사
용에 국한된다.
처분권에는 주택의 사용과 제3자의 점유 및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권리 및
주택재산을 매매할 수 있는 자유가 포함된다. 주택재산권자의 처분권 범위는 특
별 재산과 조합 재산 간에 차이가 있다. 주택재산권자가 주택재산권법(WEG) 제
12조에 의거하여 매매 제한에 합의한 경우, 매매 가능성 및 처분권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재산의 매매는 다른 주택재산권자 및 제3자의 동의에 의존하게 된다.
주택재산권의 사적 유용성과 관련하여, 특별 재산의 경우 주택재산권자는 단
독 재산권자와 유사한 광범위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주택재산권자는 특별 재산
을 점유, 임대, 전대 또는 사용할 권리가 있다. 조합 재산권으로부터 발생하는
권리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만 주택재산권자가 사용할 수 없다. 주택재산권자
는 조합 재산을 사용할 권리만 있다.
주제어 헌법상 재산권, 민법상 재산권, 주택재산권, 조합 재산, 특별 재산, 주택재산권자 조합의 회원
다운로드

 12.이부하.pdf (345.9K) [2]

 
 

연도선택:
   
자료등록 60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60 2017 제17권 제4호 저소득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고찰 -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 이상명 5169
59 2017 제17권 제4호 EU, 미국, 일본의 화학물질관리법 주요 쟁점 비교 연구 이호용,박선아 5398
58 2017 제17권 제4호 EU 및 독일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 현황과 시사점 윤진아 5286
57 2017 제17권 제4호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조성혜 5403
56 2017 제17권 제4호 Hans Jonas의 책임 원칙과 생명공학의 발전 조홍석 5358
55 2017 제17권 제4호 유치권과 점유 - 민사유치권과 상사유치권을 중심으로 - 이현석 5109
54 2017 제17권 제4호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변화와 실무적 개선방안 김성록,김지석 5357
53 2017 제17권 제4호 일본 배우자공제 제도에 관한 고찰 - 일하는 여성의 중립적 세제 및 이전형기초공제의 도입을 중심으로- 이은미 5221
52 2017 제17권 제4호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김상태,조영기 5015
51 2017 제17권 제4호 하구역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운영을 위한 법제화 지원방안 연구 심영규 5054
50 2017 제17권 제4호 정당한 이용자에 의한 보존을 위한 복제에 관한 연구 강기봉 4941
49 2017 제17권 제4호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이부하 5040
48 2017 제17권 제3호 일본의 데이트 폭력 문제와 예방에 관한 검토 배상균 6040
47 2017 제17권 제3호 스토킹의 개념과 처벌에 관한 몇 가지 제언 정도희 5451
46 2017 제17권 제3호 중독문제에 관한 형사사법적 개입에 관한 고찰 박은영 5432
45 2017 제17권 제3호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조치의 정당성 - 신체자유의 박탈에 대한 절차보장을 중심으로 - 박득배 5740
44 2017 제17권 제3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이상명 5273
43 2017 제17권 제3호 다문화사회의 헌법적 가치와 사회통합 김종세 5201
42 2017 제17권 제3호 온라인게임 이용시간 제한의 합리적 개선 김종일 4890
41 2017 제17권 제3호 디지털유산 상속 보호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온라인상의 디지털 저작물/유산을 중심으로 - 최현태 4843
40 2017 제17권 제3호 농안법에서 발견되는 도매시장거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신욱,최민식 5341
39 2017 제17권 제3호 독일민법상 계속적 계약관계 김성필 5239
38 2017 제17권 제3호 대표권 남용과 배임죄에 관한 입법적 검토 - 대법원 2017. 7. 20. 선고 2014도 110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이훈종 5449
37 2017 제17권 제3호 미국연방위임장규칙의 개정 동향과 시사점 천성권 5644
36 2017 제17권 제3호 프랑스와 한국의 국립공원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여은태 5526
35 2017 제17권 제3호 프랑스 민법상 해제권에 관하여 여하윤 5410
34 2017 제17권 제3호 행정법상 부가금에 관한 고찰 - 징계부가금과 제재부가금을 중심으로 - 김지영 6183
33 2017 제17권 제3호 테러방지법상 국정원 정보수집권한에 대한 개정논의 - 최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과의 비교검토 - 홍선기,강문찬 5018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