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2 발행호수 제12집 제2호 저자 양재모
자료명 부동산리테일산업발전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개요

2012년 3월 15일 한미 FTA의 발효로 인하여 한국서비스산업은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맞이하게 되었고 부동산리테일시장도 예외는 아닌 상황이다. 부동산리테일시장개방은 한미 FTA의 중요현안이 되지는 못했지만 개방하지 않는 시장을 열거하는 방식으로 조약이 체결되어 있으므로 당연히 개방시장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부동산리테일시장의 후진성을 고려하자면 시장개방으로 인한 충격은 다른 시장분야보다 더 클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관련부처에서는 시장개방에 대응하기 위한 법정책적 과제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어떤 성과도 도출하지 못한 채 시장이 개방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부동산리테일산업은 우리나라의 경우 복덕방이라 불리우는 소규모 영세업자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부동산을 단순히 소유하고 물적 관리를 하는데 한정되어 있지 않고 투자, 마케팅, 수익사업개발, 자본이익실현의 종합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다국적 기업이 산업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부동산리테일산업시장이 발전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시장을 산업시장의 일부분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불로소득의 원칙으로 도박산업과 같은 불건전시장의 하나로 인식하고 이를 통제하고자 했던 정부의 규제정책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제정책은 부동산중개업법, 공인중개사업법의 입법목적을 밝히는 목적조항에서 해당법의 제정목적을 산업육성이라는 측면이 아니라 투기억제라고 규정하고 있는 점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중심 법제도는 규제효과의 즉시성이라는 효과를 위하여 중개업자에게 강력한 규제를 행하는 형태로 법제도화하게 되었고 그 결과 외국의 부동산중개업자가 부동산리테일전문산업가인 디벨로퍼로 발전한데 반하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복덕방업자에 머무르게 하는 결과를 만들게 된 것이다.

공인중개사업법도 중개업법에서 변화되어 법명의 개정이 있었지만 누구나 할 수 있는 부동산거래상담을 개인인 중개업자는 할 수 없고 법인인 중개업자만이 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규정을 두고 있는 등 후진성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다. 또한 중개업자의 전문적 지식없이도 각 법령에서 각 정부관련단체에 중개업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실상 정부가 산업시장자체를 붕괴시키는 현상을 만들고 있는 상황이다.

외국의 전문 디벨로퍼와 같은 부동산리테일산업가를 육성하기위해서는 부동산리테일분야를 수직적으로 분할하여 규율하는 현재의 법제도를 개선하여 동일업무를 수행하는 각 사업자들이 동일하게 규율을 받도록 부동산리테일산업전체를 수평적으로 규율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공인중개사업법을 확대하여 부동산거래업법 등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동산리테일산업분야의 각 전문가들의 교육체계도 부동산산업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맞추어 개정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주제어 부동산중개, 전속중개계약, 부동산리테일산업, 부동산컨설팅, 일반중개계약
다운로드

 양재모.pdf (432.0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389 2012 제12집 제3호 독일민법상 불법행위적 제조물책임에 관한 소고 전경운 8222
388 2012 제12집 제3호 소비자단체소송 이영규 8128
387 2012 제12집 제3호 헌법상 사학의 자유와 학교법인의 법적 지위 이시우 8100
386 2012 제12집 제3호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이상용 9113
385 2012 제12집 제3호 증명방해와 그에 대한 제재에 관한 연구 이덕훈 7784
384 2012 제12집 제3호 입법학 연구의 방향 설정 심우민 8086
383 2012 제12집 제3호 주택저당증권(MBS)의 한계와 커버드본드(CB)의 입법방향 송호신 8064
382 2012 제12집 제3호 식품법상 식품의 위험 규제와 그 책임에 관한 고찰 선정원, 박인회 7681
381 2012 제12집 제3호 재산권규정의 재해석을 통한 재산권 최고규범으로서 사적 자치 박진근 8427
380 2012 제12집 제3호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준과 기업보고 박선욱 7207
379 2012 제12집 제3호 양벌규정에서 법인과 행위자의법정형 분리의 필요성 김재봉 8690
378 2012 제12집 제3호 검찰권에 대한 통제 방안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김용훈 7727
377 2012 제12집 제3호 언론보도로 인한 명예훼손 불법행위의 성립요건 김서기 8580
376 2012 제12집 제3호 미국 연방파산법상 부인권의 준거법 선택 기준 김명수 8152
375 2012 제12집 제3호 주한미군이전에 따른 동두천시 지원특별법제정을 위한 법정책적 당위성에 관한 검토 권배근 7507
374 2012 제12집 제2호 「아동의 빈곤예방 및 지원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 및 보완방안 문영희 7645
373 2012 제12집 제2호 현행 제조물책임법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최병록 6807
372 2012 제12집 제2호 지배주주의 주식매도청구권에 관한입법론적 재검토 정준우 7587
371 2012 제12집 제2호 내용에 근거한 규제와 내용 중립적 규제 이부하 7340
370 2012 제12집 제2호 클라우드 컴퓨팅의 저작권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박인회 7131
369 2012 제12집 제2호 저당지상의 건물에 대한 일괄경매청구권 위계찬 7783
368 2012 제12집 제2호 法政策學的 觀點에서 본 民法上 法人關聯規定 改正案 송호영 7539
367 2012 제12집 제2호 종교단체의 법적 규율을 위한 입법적 시론 소성규 7529
366 2012 제12집 제2호 부동산리테일산업발전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양재모 6990
365 2012 제12집 제2호 저당권의 실행에 관한 비교 김상용 7638
364 2012 제12집 제2호 한국의 녹색 에너지 법과 메탄 하이드레이트 로이 앤드류 파르테인 7658
363 2012 제12집 제2호 소년사범에 대한 지역사회교정의 현황과 개선방안 김봉수, 강동욱 7062
362 2012 제12집 제1호 독일의 보안감호에 관한 규정의 변화와 과제 김성규 7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