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9 발행호수 제19권 제1호 저자 이상명
자료명 공론화위원회와 민주주의
개요 공론화위원회와 민주주의*
- 대입제도 개편을 중심으로 -
Public opinion committee and democracy - Focusing on Reorganization of Admission System -

이  상 명(Sang-Myeong LEE)**

그동안 공론화에 대한 연구는 위원회의 운영방안 등 행정학적 접근이나 공론
조사기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공론화가 갖는 민주성에 대한 논의는
다소 부족하였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위원회’를 중심으로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운영된 공론화위원회의 운영과정, 숙의민주주의와 대의민
주주의와의 관계를 살펴본 후, 공론화 방식의 위험성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이후 나타난 논쟁은, 시민참여단의 활동기간 내지 전문
성의 문제, 공론화 과정의 공정성,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에 대한 교육부의 입
장, 공론화 추진과정의 효율성 문제, 공론화 대상에 대한 타당성 문제 등이었다.
공론화는 숙의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숙의민주주의의 기
본 관점은 기본적으로 민주적 의사결정이란 선호의 집합적 방식이 아니라 자유
롭고 평등한 시민들의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공적 숙의를 통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숙의민주주의는 쟁점 대상으로 떠오르는 공공의제에 대한 토론
과정에서 시민들의 자유롭고 평등한 참여가 실현됨으로써, 시민들의 의사결정
과정은 질적으로 보다 성숙될 수 있다고 본다. 대표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선출된
시민들이 특정 사안에 대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대안적 관점들을 접하고 그들의
합리적 추론능력을 능동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숙의’ 과정을 거치면서 불완전한
자신의 견해를 교정하고 보다 정교화된 의견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시민의 ‘참여’와 이로 인해 선출된 공직자에 의한 ‘대표성’과 ‘책임
성’을 그 핵심으로 한다. 시민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가, 그리고 이런 과정을 통해 선출된 공직자가 얼마나 자신의 대표성에 부합하
는 책임성을 가지고 공적인 활동을 수행하는가가 민주주의의 핵심인 것이다. 다
만 숙의민주주의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국의 국가의사결정방식은 여전히
대의제를 기본으로 한다. 세계 각국이 인구와 지리 문제를 인터넷으로 어느 정
도 극복할 수 있음에도 대의제를 근간으로 하는 이유는 바로 전문성 때문이다.
숙의민주주의는 간접민주주의의 보완책이어야 하며, 과도하게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
시민들이 중요한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론화는 상당한 의미
가 있다. 그러나 과학적인 사실, 이데올로기의 문제, 사법적 판단, 고도의 전문
성을 가진 분야,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는 주제 등 시민
들의 다수결에 의해 결정될 수 없는 분야는 공론화 대상에서 제외해야 할 것이다.
향후 정치적 독립성을 갖춘 가칭 ‘국가공론화위원회’와 같은 전담기구를 통해
해당 의제가 공론화에 적절한지 검토하고,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설계하는 것도
필요하다.
주제어 공론화, 숙의민주주의, 직접민주주의, 대의민주주의,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위원회
다운로드

 01.이상명.pdf (380.3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781 2019 제19권 제3호 입장권재판매 규제법제의 현황과 입법정책적 검토 최유,권채리,석호영 4267
780 2019 제19권 제3호 환경손해의 공․사법적 구제에 관한 연구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정다영 4219
779 2019 제19권 제2호 국회의원 선거구제에 대한 재검토 - 중선거구제의 도입 여부를 중심으로 - 이상명 5405
778 2019 제19권 제2호 공법 영역에서의 스마트컨트랙트 활용의 법적 문제 선지원,김경훈 5743
777 2019 제19권 제2호 화학물질관리법의 규율 체계와 개선방안 김형섭 5356
776 2019 제19권 제2호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사업영역 보호제도 및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제도를 중심… 김병진,우인섭,김성록,김지석 5470
775 2019 제19권 제2호 동산담보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제언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산담보물 관리와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 이현석 5109
774 2019 제19권 제2호 정신장애인의 항정신병약물 복용에 대한 자기결정 경험의 법정책적 함의 이용표 5156
773 2019 제19권 제2호 데이트폭력의 실태와 그 대책방안 - 일선경찰관의 관점에서 - 김한중,강동욱 5051
772 2019 제19권 제2호 인터넷전문은행법을 둘러싼 최근의 몇 가지 쟁점과 과제 -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중심으로 - 김영국 5117
771 2019 제19권 제2호 독일 민법상 환자의 동의권 김성필 5390
770 2019 제19권 제2호 단체손해보험의 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단체구성원의 권리보호를 중심으로- 홍진희 5514
769 2019 제19권 제2호 외국에서의 인권침해와 강제송환금지원칙 손영화,박미숙 5334
768 2019 제19권 제1호 공론화위원회와 민주주의 이상명 4246
767 2019 제19권 제1호 「국가표준기본법」 상 국가표준체계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유희겸 4307
766 2019 제19권 제1호 행정질서벌의 체계 및 법정책적 개선방안 박효근 4377
765 2019 제19권 제1호 독일 헌법수호청에 관한 연구 명재진 4565
764 2019 제19권 제1호 인권친화적 기업을 위한 정책적 대안 김종세 4005
763 2019 제19권 제1호 중국 수사기관의 피의자 신문절차상 변호인 참여권 도입가능성 검토 김재중,왕람 4076
762 2019 제19권 제1호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공개된 개인정보의영리목적 활용 김판기 4044
761 2019 제19권 제1호 미성년자의 행위능력과 온라인 게임 위계찬 4071
760 2019 제19권 제1호 독일민법상 물건의 하자 김성필 4157
759 2018 제18권 제4호 노인범죄 특성 및 노인범죄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의 도입을 위한 시론 선영화,강동욱 4848
758 2018 제18권 제4호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과 대학의 자율성 이상명 4712
757 2018 제18권 제4호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장한철 5005
756 2018 제18권 제4호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연구 - 일본을 중심으로 - 백윤철,황흥익 4844
755 2018 제18권 제4호 국적법상 국적이탈 제한의 위헌성 - 헌법재판소 2015.11.26. 2013헌마805, 2014헌마788 - 김종세 4902
754 2018 제18권 제4호 개인정보 보호법 적용 배제사유에 관한 연구 - “통계목적 개인정보처리의 적용제외 관련규정(58조 제1항 제1호)… 조상명 4684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