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9 발행호수 제19권 제3호 저자 최정윤
자료명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개요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Eine Studie zu Wissenkonvergenz und Rechtspolitik in den Sozialwissenschaften
최 정 윤(Jeong-Yun CHOI)*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학문분야에서도 융합이 매우 중요한 화두이며 이를 위한 학문적 가교역할을 수행할 법정책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융합연구에 대한 필요성은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영역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환경, 거대 도시화와 같이 기존의 인류가 겪어보지 못했던 국가적, 사회적인 복합적 문제들이 발생하는 현실에서는 개별 기술이 아닌 지식의 통합을 통한 융합기술이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술분야에서 시작된 융합연구의 방향은 인문, 사회과학까지 범위를 넓혀서 교육, 산업,  문화 등 우리 사회 전반에서 포괄적인 융합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사회과학에서 지식융합이 시도된 유형들을 통해 여러 학문의 통섭가능성을 살펴보고 무엇보다 지식융합과 관련하여 법정책학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 철학이라는 거대한 학문에 사회과학, 인문과학의 모든 영역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되었다면, 오늘날 철학은 모든 학문의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 이견이 없으나, 몇몇 학문을 제외하고는 독립되어 각자 독자적인 학문영역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는 견해가 다수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나가기 위해서는 각자의 학문영역을 인정하되, 융복합적 사고를 가지고 여러 학문분야가 함께 연구해나가야 함은 자명한 현실이다.
특히 법학자들의 경우, 단순히 법을 해석하고 연구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되고, 경제, 예술, 정보기술, 의학 등 여러 분야의 학문과 융합할 수 있도록 더 노력하여야 할 것이고, 그러한 노력 중 하나로써 법정책학의 발전을 도모함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법정책학이 법학과 정책학에서부터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종합적, 총체적 학문으로서의 특징을 보유한다는 점에서 여러 법학자들과  타 전공학자들이 함께 상호 연구교류의 기회를 확대하고, 공동연구를 통한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법정책학을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법정책학은 법사실을 대상으로 한 경험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실천적 학문분야로서 급변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기존의 법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에 법학의 존재와 가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나아가 법정책학은 기존 입법정책의 한계에서 벗어나 법과 정책의 연결고리를 통해 오늘날 법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융합적이고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더욱 정진하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법정책, 철학, 지식융합, 리스크, 예술경영
다운로드

 07.최정윤.pdf (354.4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51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51 2019 제19권 제4호 정신질환자에 의한 ‘묻지마범죄’의 실태와 대책방안*- 정신건강복지법상 입원제도를 중심으로, 일선 경찰관의… 김한중,강동욱 6117
50 2019 제19권 제4호 농지법상 농지제도의 운영상 몇 가지 고찰 김종세 6242
49 2019 제19권 제4호 초연결사회에서 합리적 규제완화 방안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최정윤,김형섭 6350
48 2019 제19권 제4호 전통시장의 화재보험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박창욱,윤창술 5987
47 2019 제19권 제4호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 따른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한성훈 5344
46 2019 제19권 제4호 모자보건법상 낙태가능결정기간 도입과 부양비 배상 -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 봉영준 6049
45 2019 제19권 제4호 기업집단의 운영과 자회사 개별 법인격 원칙의 수정에 관한 연구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지광운 5972
44 2019 제19권 제4호 '국민선거권' 논의의 2가지 기준: ‘연령’과 ‘의사능력’ 조원용 5427
43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에 헌법적 검토 신정규 5907
42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정정원 5440
41 2019 제19권 제4호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강지명 5441
40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과 한국법정책학회 20년 회고 조형원 5335
39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나아갈 방향 송호신 6286
38 2019 제19권 제3호 경기북부지역의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최대호 5703
37 2019 제19권 제3호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김현귀 5228
36 2019 제19권 제3호 낙태죄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의 법정책적 검토 남복현 5542
35 2019 제19권 제3호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조원용 6146
34 2019 제19권 제3호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최정윤 6329
33 2019 제19권 제3호 유럽사회헌장(ESC)과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에 관한 소고: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의 해… 박정원 5572
32 2019 제19권 제3호 교정시설 과밀수용의 해소를 위한 가석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한 6220
31 2019 제19권 제3호 애널리스트의 이익충돌규제 – EU 금융상품시장지침을 중심으로 이기욱 5538
30 2019 제19권 제3호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소성규 5798
29 2019 제19권 제3호 가상화폐의 과세문제 윤현석 6500
28 2019 제19권 제3호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에서 매도인의 조기 인도 및 초과 인도 이도국 5643
27 2019 제19권 제3호 민사소송절차에서 전자문서의 신뢰성 확보에 관하여 - 일본과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신욱, 이덕훈 6004
26 2019 제19권 제3호 경제조항 개헌론 회고와 경제구조의 향방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성승제 4849
25 2019 제19권 제3호 우리나라 도시재생 뉴딜사업 관련 법정책의 방향 성중탁 5471
24 2019 제19권 제3호 난민법 개정방향과 강제송환금지원칙 노동영 5847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