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1호 저자 이부하
자료명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개요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Revision of Broadcasting Act in the Ag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이 부 하(Boo-Ha LEE)**



우리나라 방송통신 관련법제는 특정 네트워크 및 서비스 사업별 구분에 기초한 법적 규제체계인 수직적 규제체계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체계는 서비스간 경쟁을 왜곡시키고, 신규사업자의 시장진입을 어렵게 하여 시장의 공정 경쟁을 해치며,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발전을 저해하게 된다. 방송통신 관련법제의 개정을 통해 수평적 규제체계로 전환해야 한다.

독일에서 방송은 방송국가협약(RStV) 2조 제1항에 따라 방송은 일련의 정보 역무와 통신 역무를 말한다. 방송은 전파를 사용하여 송신계획에 따라 공중을 대상으로 하여 그리고 동시적 수신을 위해 동영상 또는 음향으로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전파하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반면, ‘통신은 통신법 제3조 제22호에 따라 통신시설 및 부속시설을 통하여 전적으로 신호만을 발신, 수신하는 기술적인 과정이라고 규정되었다. 독일은 텔레미디어법 제정으로 통신, 텔레미디어의 상위개념으로서 전자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란 개념을 고안해 냈다. 여기서는 방송을 제외하고 있어 새로운 형태의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규율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독일 개정 방송국가협약은 방송 개념을 확대 개정하여 방송통신 융합영역을 방송 개념에 포함시켜 규율하고 있.

우리나라 방송법의 문제점은 방송법 제21호 다.에서 인터넷 등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거나 매개하는 경우를 데이터방송에서 제외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등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매개하는 경우 방송법상 방송에 해당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넷 등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통신 융합 영역에 적용할 법률이 부존재하여 법적 공백이 발생한다. 방송통신 융합 영역을 새로이 규율하기 위해,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을 통합하여 (가칭) 방송통신융합 촉진법을 제정할 것을 제안해 본다. 또한 뉴스통신 진흥에 관한 법률정보통신산업 진흥법등 진흥적 성격의 법률을 통합하여 (가칭) 방송통신 진흥법을 제정할 것을 제안한다.


주제어 방송법, 방송통신 융합, 방송의 개념, 방송법의 문제점, 방송법 개정, 정보통신기술
다운로드

 01.이부하(수정).pdf (399.7K) [7]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37 2020 제20권 제4호 치료행위의 헌법적 정당성과 위법성조각의 형법적 근거 이경렬 4351
836 2020 제20권 제3호 의료 인공지능에 대한 형법적 고찰-왓슨(Watson)을 중심으로- 선종수 4379
835 2020 제20권 제3호 대학 통일교육의 의미와 정책적 지향점 모춘흥, 김경식, 정병화 4525
834 2020 제20권 제3호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에 대한 정보공개와 비밀 유지 기준 정립에 대한 연구 선지원 4651
833 2020 제20권 제3호 재건축상 관리처분계획에 관한 인가론적 고찰과 판례 비판 이진규, 변무웅 4609
832 2020 제20권 제3호 사회재난을 이유로 한 여행계약 해제 - 제1급감염병 유행 상황을 중심으로 - 최현태 4271
831 2020 제20권 제3호 채권양도금지특약의 효력 제한 김성필 4619
830 2020 제20권 제3호 주택임대차에서 수선?유지의무의 법적 성격과 제도개선 과제 유병수, 변창흠 4373
829 2020 제20권 제3호 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표시에 관한 몇 가지 쟁점 김세준 3358
828 2020 제20권 제3호 국외여행인솔자 자격제도의 개선방안 천영성, 소성규 3347
827 2020 제20권 제2호 유럽연합 플랫폼사업자 규제동향과 시사점 지광운 5507
826 2020 제20권 제2호 현행 조세범 처벌제도의 개선방안 윤현석 6029
825 2020 제20권 제2호 정당의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이부하 5429
824 2020 제20권 제2호 정보경찰 개혁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정보경찰개혁 입법안을 중심으로 - 송무빈 5798
823 2020 제20권 제2호 의약외품의 안전성 규제와 법정책적 과제 박재윤, 김형섭 5300
822 2020 제20권 제2호 식품접촉재료의 규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 플라스틱 재료를 중심으로 - 조태제 5311
821 2020 제20권 제1호 반려동물의 매매계약 당사자의 자격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김판기.홍진희 7225
820 2020 제20권 제1호 정신질환자 위기관리체계의 이중구속 상황과 입법과제 이용표.박인환 6868
819 2020 제20권 제1호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의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도입ㆍ운용을 위한 법정책적 연구 이동영.최경호.심영규 6726
818 2020 제20권 제1호 교육공무원의 직무적 특성에 따른 「교육공무원법」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노기호 6765
817 2020 제20권 제1호 포괄임금제와 근로시간의 기록ㆍ관리 김기선 6661
816 2020 제20권 제1호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성 검토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효근 6687
815 2020 제20권 제1호 공여국의 이행문제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 오스트롬의 규범분류에 따른 호주와 한국의 ODA 법제 비교 - 이지선 6282
814 2020 제20권 제1호 독일의 블록체인 정책 및 신연방전략에 관한 소고 김형섭 7143
813 2020 제20권 제1호 사법상 환경책임과 공법상 환경책임 - 한·독 법비교를 바탕으로 한 환경훼손책임법 입법론 - 김현준 6631
812 2020 제20권 제1호 독일 경찰제도의 현황과 당면문제 윤진아 7664
811 2020 제20권 제1호 남중국해 중재판결에 대한 재조명 - 중국정부의 입장문건(立?文件)을 중심으로 - 류예리 6557
810 2019 제19권 제4호 정신질환자에 의한 ‘묻지마범죄’의 실태와 대책방안*- 정신건강복지법상 입원제도를 중심으로, 일선 경찰관의… 김한중,강동욱 618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