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3 발행호수 제23권 제3호 저자 손경찬
자료명 「土地家屋證明規則」의 제정과 그 의의
개요

[목차]

. 시작하며

. 土地家屋證明規則을 제정하기 전 통감부의 선행 입법

. 土地家屋證明規則의 제정과 그 의의

. 마치면서


[한글요지]

이 연구에서는 土地家屋證明規則의 제정 과정과 그 민사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19061026일 공포된 土地家屋證明規則은 통감부에 의해 제정된 부동산 공시 관련 법령 중 하나였다. 통감부에서는 조선 반도에 대한 토지조사를 준비하고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에 등기 제도를 도입할 것을 예정하고 있었다. 통감부에서는 등기 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임시적이나마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부동산 공시 관련 법령을 마련할 필요를 강하게 느꼈고, 이에 土地家屋證明規則을 공포하였다.

이 법의 시행으로 인해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가 합법화되었으며, 특히 조선에서 일본인들의 토지 소유가 합법화되는 결과가 발생하였다. 역사학계에서는 일제가 이 법을 반포하여 조선의 토지소유권을 침탈하였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토지소유권이 침탈되었다는 분석은 타당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 법은 민사 법제사적으로 부동산 공시제도의 도입이라는 의미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 법은 1912년 등기 제도가 도입되기 전 과도적인 민사 입법 중의 하나이며, 이 법의 제정으로 인해 등기제도까지는 아니지만 증명제도가 도입되어 당사자 간의 부동산 거래를 공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 법으로 인해 1906년부터 조선에 도래한 일본 상업자본가들은 불법적 사채시장이 아닌 합법적 금융시장에서 자본 투자를 할 수 있는 법적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의미도 가지도 있다.


주제어 「土地家屋證明規則」, 부동산 공시, 등기제도, 증명제도, 토지소유권
다운로드

 13.손경찬_등재.pdf (521.6K) [2]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1011 2024 제24권 제2호 가상자산 업권 규제를 위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의 제안 - 유럽의 암호자산시장규정(Mi… 원대성 637
1010 2024 제24권 제2호 중국 파산절차에서의 의료 데이터 보안 실증 연구 이양 619
1009 2024 제24권 제2호 군형법상 항명죄에 관한 연구 - 개정된 「군사법원법」 및 「법원이 재판권을 가진 군인 등의 범죄에 대한 수사… 최진호 650
1008 2024 제24권 제2호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과 무면허의료행위 - 대법원 2022.12.22. 선고 2016도2131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선종수 638
1007 2024 제24권 제2호 중앙분쟁조정위원회 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매립지 등 신규 토지의 귀속 지방자치단체결정의 문제… 이상만 652
1006 2024 제24권 제2호 공유수면 매립지 관할권 결정 관련 지방자치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상태 617
1005 2024 제24권 제1호 [사법] ESG 실사의 실무와 향후 과제 - 국내외 ESG 실사 사례를 중심으로 - 장윤제, 송수영 1244
1004 2024 제24권 제1호 [사법] 인간대상연구에서 서면동의 면제에 관한 고찰 최희, 손영화 1109
1003 2024 제24권 제1호 [사법] 빅데이터 보호를 위한 법정책상 과제 고재종 1145
1002 2024 제24권 제1호 [사법] 독일 실정법상 민법상 조합(GbR)의 권리능력 인정과 법정책적 함의 유주선 1107
1001 2024 제24권 제1호 [사법] 사채권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하영태 1121
1000 2024 제24권 제1호 [사법] 이혼시 반려동물의 귀속에 관한 법적 고찰 홍진희, 김판기 1114
999 2024 제24권 제1호 [공법] 전자서명법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 - 일본 전자서명법의 검토를 중심으로 - 강기봉 1416
998 2024 제24권 제1호 [공법] 비대면의료서비스 확대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 미국·독일을 중심으로 - 김명수, 김근주 1394
997 2024 제24권 제1호 [공법] 소년범의 형사처벌 강화 입법 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호겸 1371
996 2024 제24권 제1호 [공법]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새로운 공과금 유형에 대한 고찰 선지원 1274
995 2024 제24권 제1호 [공법] 체육시설업에 대한 규제개선과 자율규제 김상태 1295
994 2023 제23권 제4호 [사법] 독일의 양육비 대지급법에 관한 연구 강승묵 1658
993 2023 제23권 제4호 [사법] 영국에서의 명예훼손과 징벌적 손해배상 봉영준 1590
992 2023 제23권 제4호 [사법] 미국에서의 조세전문가의 책임과 윤리 이기욱 1610
991 2023 제23권 제4호 [공법] 일본의 해양안전보장에 관한 검토 - 해상범죄정책을 중심으로 - 김현우 1657
990 2023 제23권 제4호 [공법]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의 실태 및 피해자 지원 방안 김호겸 1598
989 2023 제23권 제4호 [공법] 수사목적의 음성정보 수집에 관한 소론(小論) - 생체정보의 민감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 박세영 1596
988 2023 제23권 제4호 [공법] 기업의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 영국의 기업살인법을 중심으로 - 한성훈 1621
987 2023 제23권 제4호 [공법] EU의 지능정보작용 관련 입법 및 정책에 관한 소고 최정윤, 김형섭 1523
986 2023 제23권 제3호 「土地家屋證明規則」의 제정과 그 의의 손경찬 1578
985 2023 제23권 제3호 생성형 AI에 의한 창작물과 저작권 손영화 1952
984 2023 제23권 제3호 반려동물의 대중교통 이용 향상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임보미 149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