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0 발행호수 제20권 제1호 저자 윤진아
자료명 독일 경찰제도의 현황과 당면문제
개요 ‘경찰’은 역사적으로 형성ㆍ발전된 개념이다. 독일어로 경찰을 뜻하는 단어인
‘Polizei’는 고대 그리스어 ‘politeia’에서 유래한다. 고대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경찰은 이상적인 상태, 국가ㆍ헌법, 국가활동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진 단어였다.
오늘날 독일에서는 이러한 ‘경찰’ 개념을 다양하게 해석한다. 보통은 ‘형식적 의
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경찰에 관한 독일의 논의는 우리 경찰행정법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독일
경찰제도의 특징은 연방과 주의 권한을 구분한다는 데 있는데, 이러한 구분에는
장점과 한계가 동시에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독일 경찰법제의 체계와 특징을 살
펴보고,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의 제도
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려 한다.
연방의 경찰은 연방법에 의해 부여된 아주 특수한 개별임무만을 수행한다. 독
일 기본법에 따라 경찰사무는 원칙적으로 각 주의 사무에 속하지만, 독일 기본
법 제73조에서 정하고 있는 연방의 배타적 입법사항에 속하는 사무와 관련해서는
연방의 경찰관청이나 중앙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연방수사청
(Bundeskriminalamt), 연방경찰청(Bundespolizei), 연방헌법수호청(Bundesamt
f?r Verfassungsschutz) 등이 있다.
독일 기본법은 기본적으로 경찰사무를 각주에서 관할하도록 하고 있고, 이에
16개의 주는 각각 독립된 경찰권을 가지고 있다. 물론 주의 영역을 넘어서는 위
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또 ‘다양성 속의 통일성’이라는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해, 독일에서는 공통적인 체계를 갖추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는데,
노력은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경찰법과 경찰조직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분산되어 있는 법률들이 통일성을 갖출 수 있게 하는 노
력이 요구되어 왔다. 연방과 연방주는 공동기구를 만드는 등의 노력으로 고도의
조정과 협력이 필요해 보인다. ‘암리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주의 관청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시스템을 사용했으며, 당시에 경찰은 중앙에서 통합 관리하는
망명신청자에 관한 정보에 아직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은 문제
해결을 더디게 만들었다. 특히 이렇게 여러 주에 걸쳐 발생하는 사건을 해결하
기 위해서는, 통일적이지 못한 데이터시스템을 통합하는 작업 등이 꼭 필요해
보인다.
주제어 경찰행정법, 형식적 의미의 경찰, 실질적 의미의 경찰, 경찰사무, 조정과 협력
다운로드

 10.독일_경찰제도의_현황과_당면문제.pdf (334.8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37 2020 제20권 제4호 치료행위의 헌법적 정당성과 위법성조각의 형법적 근거 이경렬 4305
836 2020 제20권 제3호 의료 인공지능에 대한 형법적 고찰-왓슨(Watson)을 중심으로- 선종수 4336
835 2020 제20권 제3호 대학 통일교육의 의미와 정책적 지향점 모춘흥, 김경식, 정병화 4478
834 2020 제20권 제3호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에 대한 정보공개와 비밀 유지 기준 정립에 대한 연구 선지원 4605
833 2020 제20권 제3호 재건축상 관리처분계획에 관한 인가론적 고찰과 판례 비판 이진규, 변무웅 4563
832 2020 제20권 제3호 사회재난을 이유로 한 여행계약 해제 - 제1급감염병 유행 상황을 중심으로 - 최현태 4224
831 2020 제20권 제3호 채권양도금지특약의 효력 제한 김성필 4575
830 2020 제20권 제3호 주택임대차에서 수선?유지의무의 법적 성격과 제도개선 과제 유병수, 변창흠 4334
829 2020 제20권 제3호 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표시에 관한 몇 가지 쟁점 김세준 3306
828 2020 제20권 제3호 국외여행인솔자 자격제도의 개선방안 천영성, 소성규 3306
827 2020 제20권 제2호 유럽연합 플랫폼사업자 규제동향과 시사점 지광운 5465
826 2020 제20권 제2호 현행 조세범 처벌제도의 개선방안 윤현석 5975
825 2020 제20권 제2호 정당의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이부하 5397
824 2020 제20권 제2호 정보경찰 개혁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정보경찰개혁 입법안을 중심으로 - 송무빈 5751
823 2020 제20권 제2호 의약외품의 안전성 규제와 법정책적 과제 박재윤, 김형섭 5266
822 2020 제20권 제2호 식품접촉재료의 규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 플라스틱 재료를 중심으로 - 조태제 5280
821 2020 제20권 제1호 반려동물의 매매계약 당사자의 자격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김판기.홍진희 7181
820 2020 제20권 제1호 정신질환자 위기관리체계의 이중구속 상황과 입법과제 이용표.박인환 6827
819 2020 제20권 제1호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의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도입ㆍ운용을 위한 법정책적 연구 이동영.최경호.심영규 6682
818 2020 제20권 제1호 교육공무원의 직무적 특성에 따른 「교육공무원법」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노기호 6717
817 2020 제20권 제1호 포괄임금제와 근로시간의 기록ㆍ관리 김기선 6620
816 2020 제20권 제1호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성 검토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효근 6646
815 2020 제20권 제1호 공여국의 이행문제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 오스트롬의 규범분류에 따른 호주와 한국의 ODA 법제 비교 - 이지선 6245
814 2020 제20권 제1호 독일의 블록체인 정책 및 신연방전략에 관한 소고 김형섭 7106
813 2020 제20권 제1호 사법상 환경책임과 공법상 환경책임 - 한·독 법비교를 바탕으로 한 환경훼손책임법 입법론 - 김현준 6585
812 2020 제20권 제1호 독일 경찰제도의 현황과 당면문제 윤진아 7624
811 2020 제20권 제1호 남중국해 중재판결에 대한 재조명 - 중국정부의 입장문건(立?文件)을 중심으로 - 류예리 6514
810 2019 제19권 제4호 정신질환자에 의한 ‘묻지마범죄’의 실태와 대책방안*- 정신건강복지법상 입원제도를 중심으로, 일선 경찰관의… 김한중,강동욱 614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