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2호 저자 정병화
자료명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의 화해 가능성을 위한 예비적 고찰 - 민주법치국가모델의 의의와 한계점 -
개요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의 화해 가능성을 위한 예비적 고찰

- 민주법치국가모델의 의의와 한계점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Reconcilability between ‘Rule of Law’ and Democracy

정 병 화(Byung-Hwa CHUNG)*



자유주의적 입헌민주주의는 법의 지배를 통해서 모든 지배적 형태를 헌법적 지배를 통해 해체하고자 하였다. 이런 점에서 자유주의자들은 다수에 의한 소수의 지배라는 특정한 지배적 양식을 용인하는 민주주의를 부정적인 정치형태로 인식할 수밖에 없고, 헌법에 의한 그것의 제약가능성을 제기한다. 하지만 자유주의적 입헌민주주의는 헌법적 내용을 구성하는 기본권의 목록구성에 있어서 분명한 한계점을 가진다. 자연법적 전통은 다원주의라는 정치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현대인들에게 합당하게 수용될 수 없고, 합의적 방식을 취할 수도 없다. 자유주의전통의 하나의 공리인 통약불가능성을 고려할 때, 합의적 방식은 자유주의자 자신들이 배제했던 다수결원칙과 연결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우리는 하버마스의 민주법치국가모델과 만난다. 민주법치국가모델은 탈형이상학적 차원에서 고려된 담론원리라는 도덕적 형식의 틀 속에서 기본권의 정당화방식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 주고 있다. 이는 담론원리에 기초하여 형성된 민주주의원칙 그 자체에서 기본권의 정당성을 구한다. 민주법치국가모델에서의 기본권은 국민주권의 맥락에서 만인에게 좋은 선의 창출을 위한 조건으로서 제시된다. 민주법치국가모델에서 기본권은 만인에게 좋은 선의 창출을 위한 모든 시민의 자유로운 참여와 모든 쟁점에 대한 자유로운 논증을 보장하는 것과 긴밀히 연결된다.

그러나 민주법치국가모델이 주장하는 것처럼 대화적 구조를 위한 형식적 규정으로서의 기본권 설정만으로 다수의 지배를 막을 수 있을까? 소통적 정치와 관련하여 제시되는 민주법치국가모델의 생활세계개념을 고려할 때 이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엔 민주법치국가모델에서 제시하는 생활세계는 실제 생활세계와는 동떨어진 이상화된 생활세계이다. 이런 점에서 민주법치국가모델은 그것의 기획의도와는 다르게 그것의 힘의 불균등성(inequality)과 경직성(hardness)이 지배적인)‘실제 생활세계에로의 적용은 만인에게 좋은 선의 창출보다는 힘의 지배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주제어 자유주의적 입헌민주주의, 민주법치국가모델, 담론원리, 민주주의원칙, 이상화된 생활세계, 실제 생활세계, 소통의 정치
다운로드

 02.정병화.pdf (337.8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60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32 2017 제17권 제3호 구글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여부에 대한 법적 연구 -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판단을 중심으로 - 조현진 4636
31 2017 제17권 제3호 이사의 경영상 임무위배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 「상법」상 특별배임죄(제622조)의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강동욱 4674
30 2017 제17권 제2호 법과정책연구 제17집 2호(통권46호) 한국법정책학회 8863
29 2017 제17권 제2호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 측면에서 본 대학입시제도의 개선방안 이상명 10131
28 2017 제17권 제2호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의 화해 가능성을 위한 예비적 고찰 - 민주법치국가모델의 의의와 한계점 - 정병화 9124
27 2017 제17권 제2호 테러방지법의 입법과정에서 행해진 무제한토론에 대한 헌법학적 고찰 조원용 7757
26 2017 제17권 제2호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소성규 8612
25 2017 제17권 제2호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법제 개선 및 실무적 적용 방안 김지석·김성록 8224
24 2017 제17권 제2호 형평성을 근거로 한 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 독일민법 제829조의 의미 및 기능 파악을 중심으로 - 박신욱 8333
23 2017 제17권 제2호 부동산유치권제도의 개선에 관한 제언 박득배 7946
22 2017 제17권 제2호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송호신 8650
21 2017 제17권 제2호 종류주식에 관한 주요 쟁점사항의 검토 정준우 7672
20 2017 제17권 제2호 중고상품 온라인 직거래의 법적 정비 방안 박창욱·윤창술 7499
19 2017 제17권 제2호 독일에서의 이익충돌과 경영판단의 법칙 이기욱 7470
18 2017 제17권 제2호 요양시설 입소자의 신체적 억제의 규범적 기준에 대한 연구동향과 방향성 김효정 7483
17 2017 제17권 제2호 갈등관리수단으로서 지원제도에 대한 주민인식 - 송ㆍ변전설비 주변지역 지원제도 도입 사례 - 오영석 7405
16 2017 제17권 제1호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이부하 5480
15 2017 제17권 제1호 에너지 복지 실현을 위한 입법적 과제 이준서 5380
14 2017 제17권 제1호 어린이용품에서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에 관한 연구 윤진아 5447
13 2017 제17권 제1호 사이버상의 안전과 보호에 대한 독일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성봉근 5451
12 2017 제17권 제1호 공개재판의 원칙과 재판중계제도의 공법적 의의 - 개념상 문제제기와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계인국 5414
11 2017 제17권 제1호 학대피해노인의 보호를 위한 방안 선영화 강동욱 5449
10 2017 제17권 제1호 국가재정법상 형사법적 규율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이주희 5479
9 2017 제17권 제1호 사법 정책적 관점에서의 무효행위전환 제도 -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최성경 5380
8 2017 제17권 제1호 기업회생절차 상 부인권 운용에 대한 판례태도와 회생금융정책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2다87751 판… 신창섭, 서인원 5364
7 2017 제17권 제1호 A Study on Promoting Mobile Accessibility Compliance to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이용직 5924
6 2017 제17권 제1호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 이광진 5973
5 2017 제17권 제1호 민간부패의 개념과 가벌성 - 민간부패 처벌 법제의 정비를 위한 소고 - 안수길 5898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