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1호 저자 최성경
자료명 사법 정책적 관점에서의 무효행위전환 제도 -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개요

사법 정책적 관점에서의 무효행위전환 제도

-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The Conversion of Invalidation into Validation in the Scope of Judicial Policy

최 성 경(Seong-Kyung CHOI)*




무효행위의 전환에 대한 판례의 태도는 초기에는 요식행위와 가족법상의 행위에 대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우리 법원은 가족법상의 법률행위에서 확정적인 의사를 서면에 나타내는 법률행위로의 전환은 요식행위에서도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 시기의 법원은 법절차의 소비적인 반복을 지양하고 혹은 무리한 법절차의 재진행으로 당사자가 법과 권리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게 하겠다는 사법부의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후 판례는 무효행위전환의 제1의 법률행위와 제2의 법률행위가 반드시 다른 “종류”의 법률행위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초기의 가족법상의 행위와 관련된 판결들에서 다른 “종류”의 법률행위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었기에 이러한 판결이 정립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 법원은 소위 ‘알박기’사건들에서 제104조 위반으로 단순히 무효로 되어버리면 계약의 당사자들 모두 원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무효행위의 전환제도를 통하여 계약을 유지시켰다.  이때 법원은 기회주의적 알박기를 제어하고 개발사업 관련 당사자에게 배분적 효용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유인하려는 사법정책적 의도가 있었을 것이다.
가장 최근의 무효행위전환에 대한 판례의 태도는 사회적・경제적 약자보호를 위한 특별법의 강행규정위반사건에서 사회적・경제적 약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사회적・경제적 약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특별법의 목적도 달성했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 아무리 특별법의 취지를 강조한다고 하더라도 일방적으로 당사자의 희생을 강요하는 의사 강요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다시 일부 무효와 비견하여 무효행위전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법리의 영역을 보여주었다.
아직까지 형성되지 않은 무효행위전환 법리의 적용 영역은 꽤 광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효행위전환 제도에 대한 법원의 사법정책적 판단에 수반하였을 그동안의 노고에 공감하면서 학계와 법원의 계속적이고 발전적인 연구를 기대한다.

주제어 무효, 무효행위전환, 일부무효, 민법 제138조, 입양, 근로기준법 제43조, 임대주택
다운로드

 08.최성경(수정).pdf (390.9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60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32 2017 제17권 제3호 구글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여부에 대한 법적 연구 -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판단을 중심으로 - 조현진 4637
31 2017 제17권 제3호 이사의 경영상 임무위배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 「상법」상 특별배임죄(제622조)의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강동욱 4674
30 2017 제17권 제2호 법과정책연구 제17집 2호(통권46호) 한국법정책학회 8863
29 2017 제17권 제2호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 측면에서 본 대학입시제도의 개선방안 이상명 10133
28 2017 제17권 제2호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의 화해 가능성을 위한 예비적 고찰 - 민주법치국가모델의 의의와 한계점 - 정병화 9124
27 2017 제17권 제2호 테러방지법의 입법과정에서 행해진 무제한토론에 대한 헌법학적 고찰 조원용 7759
26 2017 제17권 제2호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소성규 8614
25 2017 제17권 제2호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법제 개선 및 실무적 적용 방안 김지석·김성록 8225
24 2017 제17권 제2호 형평성을 근거로 한 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 독일민법 제829조의 의미 및 기능 파악을 중심으로 - 박신욱 8334
23 2017 제17권 제2호 부동산유치권제도의 개선에 관한 제언 박득배 7946
22 2017 제17권 제2호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송호신 8651
21 2017 제17권 제2호 종류주식에 관한 주요 쟁점사항의 검토 정준우 7673
20 2017 제17권 제2호 중고상품 온라인 직거래의 법적 정비 방안 박창욱·윤창술 7501
19 2017 제17권 제2호 독일에서의 이익충돌과 경영판단의 법칙 이기욱 7471
18 2017 제17권 제2호 요양시설 입소자의 신체적 억제의 규범적 기준에 대한 연구동향과 방향성 김효정 7483
17 2017 제17권 제2호 갈등관리수단으로서 지원제도에 대한 주민인식 - 송ㆍ변전설비 주변지역 지원제도 도입 사례 - 오영석 7408
16 2017 제17권 제1호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이부하 5482
15 2017 제17권 제1호 에너지 복지 실현을 위한 입법적 과제 이준서 5382
14 2017 제17권 제1호 어린이용품에서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에 관한 연구 윤진아 5451
13 2017 제17권 제1호 사이버상의 안전과 보호에 대한 독일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성봉근 5451
12 2017 제17권 제1호 공개재판의 원칙과 재판중계제도의 공법적 의의 - 개념상 문제제기와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계인국 5416
11 2017 제17권 제1호 학대피해노인의 보호를 위한 방안 선영화 강동욱 5451
10 2017 제17권 제1호 국가재정법상 형사법적 규율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이주희 5479
9 2017 제17권 제1호 사법 정책적 관점에서의 무효행위전환 제도 -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최성경 5381
8 2017 제17권 제1호 기업회생절차 상 부인권 운용에 대한 판례태도와 회생금융정책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2다87751 판… 신창섭, 서인원 5364
7 2017 제17권 제1호 A Study on Promoting Mobile Accessibility Compliance to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이용직 5925
6 2017 제17권 제1호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 이광진 5974
5 2017 제17권 제1호 민간부패의 개념과 가벌성 - 민간부패 처벌 법제의 정비를 위한 소고 - 안수길 5899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