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2호 저자 송호신
자료명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개요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A Stewardship Code on the Institutional Investor Voting Rights

송 호 신(Ho-Shin SONG)**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는 기관투자자들이 투자한 대상회사 보유주식의 의결권을 어떻게 행사할 지에 대한 기준 등 수탁자로서의 책임을 정한 자율규제 형식의 규범이다. 동 규범이 나타난 것은 2008년 미국에서 발생하여 전세계로 확산되었던 금융위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 금융위기의 원인이 기업지배구조의 실패와 취약성 그리고 소액주주들의 무관심이라는 진단이 나오게 되면서, 기관투자자의 역할과 책임의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그 결과 영국은 2010년에 수탁자 책임에 기초하여, 투자 대상회사에 대한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등 기관투자자의 주주행동 기준을 정한 스튜어드십 코드를 규범화하였다. 이후 동 규범은 네덜란드스위스이탈리아남아프리카공화국홍콩일본 등이 이를 수용하여 도입하였다. 우리나라에는 20161216일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인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이 자율규범의 형태로 제정되었다.

우리나라는 1998증권투자신탁업법개정 이후 기관투자자에 의한 투자 대상회사 의결권 행사가 법적으로 허용되었으나, 지금까지도 기관투자자들은 적극적 주주행동주의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기 보다는 자동거수기혹은 중립투표에 의한 소극적 행태에 머물러 있다.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은 이러한 상황에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기관투자자들은 대개 대량의 주식을 보유하는데, 이러한 보유 주식에 근거하여 투자 대상회사에서 의결권을 행사한다면, 그 영향력이 매우 클 것이다.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의 기준에 기초하여 투자 대상회사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한다면, 당해 회사의 지배구조 개선과 주요업무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에는 기관투자자가 의결권을 행사할 때를 포함한 수탁자 책임의 이행에 대한 기준으로 정한 7가지 원칙을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기금보험회사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들은 동 규범의 채택에 참여함으로써 동원칙에 구속을 받게 된다. 그 내용으로는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를 위한 의결권 정책의 마련과 공개(원칙5), 행사한 의결권의 구체적 내용과 사유 공개(원칙5), 위탁고객과 투자수익자에 대한 주기적 보고(원칙6), 기관투자자의 역량과 전문성의 요청(원칙7) 등이다.

국형 스트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가 의결권 행사 등 수탁자 책임을 이행하게 함으로써 투자대상 회사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그 결과로 기관투자자의 위탁고객 및 투자수익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수탁 자금에 의거하여 기관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에 대한 의결권행사의 투명한 기준이 되는 스튜어드십 코드의 의미와 수탁자 책임에 기초한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의 강화를 주장한다. 그 근거를 도출하기 위해 스튜어드십 코드의 의의와 기관투자자 수탁자책임의 의미, 기관투자자 의결권 및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과정과 찬성반대의 논리, 2016년에 규범화된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의 의결권 행사 기준 등 규제 내용을 다루도록 한다. 그리고 스튜어드십 코드의 나아갈 방향으로 동 규범을 강행 규범화해야 한다고 본다. 이와 함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하여 기관투자자의 책임 추궁과 독립성 확보, 기관투자자 의결권 관련규정들의 개선과 각종 지침들의 정비 및 사전공시 등 남겨진 과제를 살피도록 한다.


주제어 스튜어드십 코드, 자율규범, 기관투자자, 의결권, 수탁자책임, 기업가치의 상승, 위탁고객, 투자수익자, 주주행동주의, 공시와 정보공개
다운로드

 08.송호신.pdf (382.4K) [2]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669 2017 제17권 제2호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송호신 8573
668 2017 제17권 제2호 종류주식에 관한 주요 쟁점사항의 검토 정준우 7596
667 2017 제17권 제2호 중고상품 온라인 직거래의 법적 정비 방안 박창욱·윤창술 7430
666 2017 제17권 제2호 독일에서의 이익충돌과 경영판단의 법칙 이기욱 7391
665 2017 제17권 제2호 요양시설 입소자의 신체적 억제의 규범적 기준에 대한 연구동향과 방향성 김효정 7427
664 2017 제17권 제2호 갈등관리수단으로서 지원제도에 대한 주민인식 - 송ㆍ변전설비 주변지역 지원제도 도입 사례 - 오영석 7346
663 2017 제17권 제1호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이부하 5425
662 2017 제17권 제1호 에너지 복지 실현을 위한 입법적 과제 이준서 5342
661 2017 제17권 제1호 어린이용품에서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에 관한 연구 윤진아 5391
660 2017 제17권 제1호 사이버상의 안전과 보호에 대한 독일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성봉근 5399
659 2017 제17권 제1호 공개재판의 원칙과 재판중계제도의 공법적 의의 - 개념상 문제제기와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계인국 5373
658 2017 제17권 제1호 학대피해노인의 보호를 위한 방안 선영화 강동욱 5412
657 2017 제17권 제1호 국가재정법상 형사법적 규율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이주희 5436
656 2017 제17권 제1호 사법 정책적 관점에서의 무효행위전환 제도 -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최성경 5339
655 2017 제17권 제1호 기업회생절차 상 부인권 운용에 대한 판례태도와 회생금융정책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2다87751 판… 신창섭, 서인원 5329
654 2017 제17권 제1호 A Study on Promoting Mobile Accessibility Compliance to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이용직 5883
653 2017 제17권 제1호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 이광진 5928
652 2017 제17권 제1호 민간부패의 개념과 가벌성 - 민간부패 처벌 법제의 정비를 위한 소고 - 안수길 5848
651 2017 제17권 제1호 독일민법상 수임인의 응급처분의무 김성필 5354
650 2017 제17권 제1호 이사의 감시의무와 위험관리 천성권 5418
649 2017 제17권 제1호 일본뇌염사망과 상해보험의 보험사고 - 독일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을 - 최병규 6071
648 2017 제17권 제1호 한국의 재정공금융법 운용과 중앙은행의 역할 성승제 5054
647 2016 제16권 제4호 법정책의 구현형식 남복현 5730
646 2016 제16권 제4호 의무이행소송 도입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박효근 5593
645 2016 제16권 제4호 고독사에 대한 법적 고찰 이상명 5759
644 2016 제16권 제4호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국토관리법제 구축방안 김지석, 김진기 5801
643 2016 제16권 제4호 노후소득보장수단으로서의 기초연금제도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정다은, 임현 5546
642 2016 제16권 제4호 아마추어 스포츠 규제의 법적 문제 김상태 5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