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2호 저자 박창욱·윤창술
자료명 중고상품 온라인 직거래의 법적 정비 방안
개요

중고상품 온라인 직거래의 법적 정비 방안*

Legal Improvement on the Online Direct Transactions of Used Commodity

박 창 욱(Chang-Wook, PARK)**윤 창 술(Chang-Sul, YOON)

***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란 컴퓨터휴대폰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인터넷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 혹은 업자들이 직접적으로 행하는 중고상품의 매매교환 등 여러 형태의 거래를 말한다. 인터넷 거래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는 그 규모가 크게 늘어났는데, 이와 함께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분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판매자의 직거래 사기로 인한 구매자의 피해 건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매년 그 피해액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중고상품의 직거래 관련 분쟁의 해결과 직거래 사기로 인한 피해의 구제가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온라인 중고상품의 직거래는 개인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일반 계약의 범주에 속하는 거래라는 특성으로 파악된다.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를 규율하는 개별 법규정을 두지 아니하고 일반법인 민사형사상의 계약 일반에 따른 손해배상 그리고 사기죄의 범주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민법이나 형법 일반에서의 손해배상이나 형사처벌은 소송의 제기나 고소고발 혹은 진정 등 그 법적 절차가 복잡하다. 또한 실제로 구제가 이루어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며, 가해자의 무자력 등으로 피해보상이나 배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

온라인 거래이므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이라 함)상 거래 안전에 관련된 제도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은 통신판매업자나 통신판매중개자의 의무일 뿐 중고상품을 온라인 직거래 형식으로 판매한 개인 판매자에게 적용되지 아니한다.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의 거래 건수의 증가나 거래액 증가에 따른 사기피해액의 규모로 볼 때에, 동 거래를 더 이상 개인 사이의 자율적 계약 규율에 맡겨 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정상적으로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직거래 분쟁을 조정하며 직거래 사기 시에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법규와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 분쟁 또는 사기를 예방하거나 규제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의 입법과 법제도의 정비를 행할 것을 제안한다. 즉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의 경우, (1)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상 통신판매업자나 통신판매중개자에 부과되고 있는 거래정보 제공의무나 구매안전서비스 제공 등의 의무를 인터넷 장터나 게시판 운영자에게도 부과하도록 하고, (2)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와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상 보이스피싱에 적용되도록 하는 지급정지 제도를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 사기에도 적용하도록 하며 또한 (3) 종래 전자문서및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혹은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그리고 경찰 또는 법원 및 피해공유사이트 등 흩어져 있는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 사기나 분쟁 해결을 위한 기관을 일원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 구제받도록 할 것과 (4)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 사기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형벌을 신설하고, (5) 직거래 피해에 대한 신속하고 충분한 손해배상이 이루어지도록 배상명령 신청 제도를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 사기의 경우에도 적용하도록 하며, (6) 온라인 중고상품 직거래 사기 가해자 정보의 공시 및 열람 요청제도를 마련하여 사전에 정보제공을 통해 직거래 피해자가 사기 거래의 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입법화할 것을 제안한다.

주제어 중고상품, 온라인 직거래, 인터넷 사기, 중고장터, 구매안전서비스, 지급정지, 분쟁조정기구, 가해자정보의 공시 및 열람,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다운로드

 10.박창욱윤창술.pdf (322.2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669 2017 제17권 제2호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송호신 8575
668 2017 제17권 제2호 종류주식에 관한 주요 쟁점사항의 검토 정준우 7599
667 2017 제17권 제2호 중고상품 온라인 직거래의 법적 정비 방안 박창욱·윤창술 7431
666 2017 제17권 제2호 독일에서의 이익충돌과 경영판단의 법칙 이기욱 7392
665 2017 제17권 제2호 요양시설 입소자의 신체적 억제의 규범적 기준에 대한 연구동향과 방향성 김효정 7428
664 2017 제17권 제2호 갈등관리수단으로서 지원제도에 대한 주민인식 - 송ㆍ변전설비 주변지역 지원제도 도입 사례 - 오영석 7350
663 2017 제17권 제1호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이부하 5426
662 2017 제17권 제1호 에너지 복지 실현을 위한 입법적 과제 이준서 5343
661 2017 제17권 제1호 어린이용품에서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에 관한 연구 윤진아 5393
660 2017 제17권 제1호 사이버상의 안전과 보호에 대한 독일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성봉근 5400
659 2017 제17권 제1호 공개재판의 원칙과 재판중계제도의 공법적 의의 - 개념상 문제제기와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계인국 5373
658 2017 제17권 제1호 학대피해노인의 보호를 위한 방안 선영화 강동욱 5412
657 2017 제17권 제1호 국가재정법상 형사법적 규율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이주희 5437
656 2017 제17권 제1호 사법 정책적 관점에서의 무효행위전환 제도 -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최성경 5340
655 2017 제17권 제1호 기업회생절차 상 부인권 운용에 대한 판례태도와 회생금융정책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2다87751 판… 신창섭, 서인원 5329
654 2017 제17권 제1호 A Study on Promoting Mobile Accessibility Compliance to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이용직 5884
653 2017 제17권 제1호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 이광진 5929
652 2017 제17권 제1호 민간부패의 개념과 가벌성 - 민간부패 처벌 법제의 정비를 위한 소고 - 안수길 5849
651 2017 제17권 제1호 독일민법상 수임인의 응급처분의무 김성필 5354
650 2017 제17권 제1호 이사의 감시의무와 위험관리 천성권 5418
649 2017 제17권 제1호 일본뇌염사망과 상해보험의 보험사고 - 독일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을 - 최병규 6071
648 2017 제17권 제1호 한국의 재정공금융법 운용과 중앙은행의 역할 성승제 5054
647 2016 제16권 제4호 법정책의 구현형식 남복현 5731
646 2016 제16권 제4호 의무이행소송 도입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박효근 5594
645 2016 제16권 제4호 고독사에 대한 법적 고찰 이상명 5759
644 2016 제16권 제4호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국토관리법제 구축방안 김지석, 김진기 5802
643 2016 제16권 제4호 노후소득보장수단으로서의 기초연금제도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정다은, 임현 5546
642 2016 제16권 제4호 아마추어 스포츠 규제의 법적 문제 김상태 5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