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3 발행호수 제23권 제1호 저자 정다영
자료명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개요

[목차]

. 서 론

. 기존의 논의 및 판례의 태도

. 일본에서의 논의상황

. 프랑스에서의 논의상황

. 우리 법에의 시사점

. 결 론

 

[국문요지]

형성권은 제척기간 내에 행사되어야 하고 제척기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는 직권조사사항으로서 이에 대한 당사자의 주장이 없더라도 법원이 당연히 직권으로 조사하여 재판에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형성권의 제척기간에 대한 해석은 실무상 중요한 부분이며 이에 따라 법률관계의 존립 여부가 결정된다. 형성권의 제척기간은 입법으로 해결할 것이 아니라 해석론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사안에서 형성권의 제척기간을 정함에 있어서는 계약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과의 관련성, 법률관계의 신속한 확정의 필요성 및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의 효율성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동안 민사법률관계에서 형성권의 제척기간은 10년으로 보는 것이 다수설과 판례의 태도였다. 그러나 상사법률관계의 경우 판례가 통일되지 아니하여 왔고, 기존의 학설은 민사법률관계에 관한 것이어서 바로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상사법률관계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사채권에 대해 5년의 단기소멸시효를 규정하고 있는 점, 상사거래관계에 있어서 거래의 신속성 및 법률관계의 신속한 확정의 요구가 민사법률관계에 있어서보다 크다는 점, 상사거래에 의한 매매계약의 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 혹은 손해배상청구권 또한 5년의 단기소멸시효가 적용되는 점 및 법률관계에서 의무자가 상대방인 권리자의 판단에 따라 유동적인 상황에 장기간 머물러 있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예측을 근거로 판단을 하여 경제적 판단을 하기 어렵게 되어 사회적 측면에서 비효율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5년의 제척기간을 인정함이 타당하다.

주제어 형성권, 제척기간, 소멸시효, 소송행위, 실효
다운로드

 09._사법__정다영.pdf (528.2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38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10 2023 제23권 제2호 독일의 혁신 원천기술 지원 법체계에 관한 소고 김형섭 602
9 2023 제23권 제1호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정다영 847
8 2023 제23권 제1호 상속인 아닌 보험수익자가 생명보험금을 수령한 경우 상속인의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 결정에 관한 민법 및 보… 김판기,홍진희 777
7 2023 제23권 제1호 생명윤리와 연구대상자 보호 손영화 820
6 2023 제23권 제1호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 825
5 2023 제23권 제1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을 위한 탐정의 역할 제고 방안 최문환, 강동욱 841
4 2023 제23권 제1호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800
3 2023 제23권 제1호 프랑스 환경헌장의 의의와 역할 김지영 796
2 2023 제23권 제1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권순호 886
1 2023 제23권 제1호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1024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