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4호 저자 이은미
자료명 일본 배우자공제 제도에 관한 고찰 - 일하는 여성의 중립적 세제 및 이전형기초공제의 도입을 중심으로-
개요
일본 배우자공제 제도에 관한 고찰 - 일하는 여성의 중립적 세제 및 이전형기초공제의 도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ouse Deduction System in Japan
- With focus on the neutral tax system for working women and
transferable allowances -

이 은 미(Eun-Mee LEE)*

일본에서는 최근에 배우자공제에 관한 세제개정을 통해서 배우자공제의 적용
조건을 변경하고 대상범위를 확대시켰다. 이번 세제개정은 일하는 방식에 대한
중립적 세제를 구축하는 것을 통해 안심하고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기르는 젊은
세대를 지원하기 위한 것을 목표로 했다. 기대했던 것과 달리 2016년 개정은
소폭에 그쳤지만 앞으로 단계적으로 배우자공제를 폐지하고 이전형기초공제를
도입하고자 검토 중이다. 이번 배우자공제제도에 관한 검토는 인구감소, 가족형
태의 변화, 일하는 방식의 다양화, 소득격차의 확대 등 사회적 변화를 반영해서
소득세제를 구축하는 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소득세제에서 배우자로서 여성과 일하는 여성에 대한
자리매김을 위해서 일본의 배우자공제제도에 관한 최근 논의를 비교법적 검토수
단으로 가져왔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일본의 배우자공제 및 배
우자특별공제는 납세자가 소득을 벌어들임에 있어서 전업주부의 내조의 공을 세
법상 평가한 제도로서 역할을 해 왔으나, 최근에는 맞벌이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중립적 세제를 위해서 전업주부의 귀속소득을 고려한 재검토작업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배우자공제를 허용함에도 그 공제금액도 작아서인지
아니면 논의의 실익이 없어서인지 세제상 여성 및 배우자에 대한 자리매김이 그
동안 없었다는 점에서 대비된다.
둘째, 일본에서는 배우자공제제도가 신설 당시와 달리 맞벌이가구가 전업주부
가구를 대신하여 주류가 되면서 일하는 방식과 가족형태를 둘러싼 사회변화를
반영한 세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소득세제 전반에 관한 검토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이에 비하여 우리나라는 일하는 여성에 대한 세제
상 인식은 출산 후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참여에 대한 세제상 지원 등 조세특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적용범위가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에서 배우자공제를 둘러싼 쟁점들을 검토한 결과를 가지고
우리나라 인적공제・배우자공제 관하여 검토를 했다. 그 결과 인적공제를 폐지하
고 이전형기초공제의 도입을 제안했다. 네덜란드와 캐나다의 입법례, 일본의 정
부세제조사회에서 제안한 5가지 선택방안 등이 구체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인적
공제를 세액공제로 전환하는 것은 과세기반을 확대하면서 한계세율이 높은 고소
득자의 부담을 상대적으로 늘리는 한편 한계세율이 낮은 저소득층에게 세금부담
경감효과를 크게 함으로써 소득재분배기능의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효한 수단이 되리라 기대한다.
주제어 배우자공제, 인적공제, 이전형기초공제, 맞벌이가구, 중립성
다운로드

 08.이은미.pdf (437.9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798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나아갈 방향 송호신 6287
797 2019 제19권 제3호 경기북부지역의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최대호 5705
796 2019 제19권 제3호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김현귀 5231
795 2019 제19권 제3호 낙태죄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의 법정책적 검토 남복현 5543
794 2019 제19권 제3호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조원용 6148
793 2019 제19권 제3호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최정윤 6332
792 2019 제19권 제3호 유럽사회헌장(ESC)과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에 관한 소고: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의 해… 박정원 5574
791 2019 제19권 제3호 교정시설 과밀수용의 해소를 위한 가석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한 6226
790 2019 제19권 제3호 애널리스트의 이익충돌규제 – EU 금융상품시장지침을 중심으로 이기욱 5540
789 2019 제19권 제3호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소성규 5799
788 2019 제19권 제3호 가상화폐의 과세문제 윤현석 6503
787 2019 제19권 제3호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에서 매도인의 조기 인도 및 초과 인도 이도국 5646
786 2019 제19권 제3호 민사소송절차에서 전자문서의 신뢰성 확보에 관하여 - 일본과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신욱, 이덕훈 6004
785 2019 제19권 제3호 경제조항 개헌론 회고와 경제구조의 향방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성승제 4852
784 2019 제19권 제3호 우리나라 도시재생 뉴딜사업 관련 법정책의 방향 성중탁 5474
783 2019 제19권 제3호 난민법 개정방향과 강제송환금지원칙 노동영 5848
782 2019 제19권 제3호 정신장애인의 인권보호를 위한 강박조치의 법적 정당성 확보 필요성 박득배 4170
781 2019 제19권 제3호 입장권재판매 규제법제의 현황과 입법정책적 검토 최유,권채리,석호영 4263
780 2019 제19권 제3호 환경손해의 공․사법적 구제에 관한 연구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정다영 4210
779 2019 제19권 제2호 국회의원 선거구제에 대한 재검토 - 중선거구제의 도입 여부를 중심으로 - 이상명 5398
778 2019 제19권 제2호 공법 영역에서의 스마트컨트랙트 활용의 법적 문제 선지원,김경훈 5736
777 2019 제19권 제2호 화학물질관리법의 규율 체계와 개선방안 김형섭 5350
776 2019 제19권 제2호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사업영역 보호제도 및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제도를 중심… 김병진,우인섭,김성록,김지석 5464
775 2019 제19권 제2호 동산담보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제언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산담보물 관리와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 이현석 5101
774 2019 제19권 제2호 정신장애인의 항정신병약물 복용에 대한 자기결정 경험의 법정책적 함의 이용표 5147
773 2019 제19권 제2호 데이트폭력의 실태와 그 대책방안 - 일선경찰관의 관점에서 - 김한중,강동욱 5042
772 2019 제19권 제2호 인터넷전문은행법을 둘러싼 최근의 몇 가지 쟁점과 과제 -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중심으로 - 김영국 5106
771 2019 제19권 제2호 독일 민법상 환자의 동의권 김성필 5383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