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3호 저자 이상명
자료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개요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legislation of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이 상 명(Sang-Myeong LEE)*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독립적 국가기구인 '국가교육위원회'를 신설하고, 교육부 기능을 대폭 축소하여 초중등교육 업무를 시도 교육청으로 이관하며, 대학 입시구조조정 등 대학 관련 업무는 별도의 사무처에서 담당하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하였다. 돌이켜보면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공약에 기초한 국정 비전과 교육 분야 국정 과제가 제시되고, 집권 기간 내 성과에 집착해 성급하게 추진되곤 했다. 교육정책의 큰 틀은 물론, 대학입시제도와 국가교육과정이 큰 폭으로 바뀌었고, 정치·경제적 관점에 기반을 둔 실험적 교육정책들이 쏟아졌다. 게다가 김영삼 정부 이후 교육부장관의 평균 임기가 1년 정도에 불과할 정도여서 정책의 일관성 또한 담보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잦은 교육정책의 변화는 국민으로 하여금 교육에 대한 불신과 불안을 가져왔고, 사교육 시장만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헌법은 제31조 제4항에서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명시하고 있다. 교육의 자주성은 교육의 내용이나 교육행정 등이 교육당사자들에 의한 자발성과 주도에 의한 민주적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국민의 일반적인 교육과 국가 전반의 기본적인 교육을 위하여 국가의 간여가 있을 수 있으나 가능한 한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그리고 교육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교육이 인간의 인성, 지적능력을 개발하는 것이므로 교육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이루어질 것을 요구한다. 또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교육이 국가권력이나 정치세력의 영향과 압력을 받아서는 아니 되고 반대로 교육이 정치에 개입하여서도 아니 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어느 당이 집권하든 여야를 초월하여, 교육논리로, 대한민국 교육을 혁신할 국가교육위원회가 필요하다.

교육 정책을 크게 교육 정책 결정, 집행, 평가의 3단계로 나눈다고 할 때,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국가교육위원회가 정책의 결정과 평가를, 교육부가 정책 집행을 맡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권의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 독립적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정치권이 교육정책이 간섭할 수 없도록 해야 하므로 대통령을 비롯하여 입법, 사법, 행정부로부터 독립된 기구로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은 대통령을 포함해 정부, 국회, 시도교육감협의회, 교원단체, 대학관련단체, 학계 등이 추천하는 인사들로 구성해 대표성과 다양성을 확보하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 교육전문가가 과반 이상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어 국가교육위원회, 국가교육회의, 교육의 자주성, 교육의 전문성,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다운로드

 05.법정책_이상명.pdf (335.3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09 2019 제19권 제4호 농지법상 농지제도의 운영상 몇 가지 고찰 김종세 6307
808 2019 제19권 제4호 초연결사회에서 합리적 규제완화 방안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최정윤,김형섭 6433
807 2019 제19권 제4호 전통시장의 화재보험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박창욱,윤창술 6055
806 2019 제19권 제4호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 따른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한성훈 5412
805 2019 제19권 제4호 모자보건법상 낙태가능결정기간 도입과 부양비 배상 -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 봉영준 6120
804 2019 제19권 제4호 기업집단의 운영과 자회사 개별 법인격 원칙의 수정에 관한 연구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지광운 6037
803 2019 제19권 제4호 '국민선거권' 논의의 2가지 기준: ‘연령’과 ‘의사능력’ 조원용 5497
802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에 헌법적 검토 신정규 5967
801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정정원 5504
800 2019 제19권 제4호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강지명 5503
799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과 한국법정책학회 20년 회고 조형원 5398
798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나아갈 방향 송호신 6350
797 2019 제19권 제3호 경기북부지역의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최대호 5762
796 2019 제19권 제3호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김현귀 5281
795 2019 제19권 제3호 낙태죄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의 법정책적 검토 남복현 5606
794 2019 제19권 제3호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조원용 6201
793 2019 제19권 제3호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최정윤 6389
792 2019 제19권 제3호 유럽사회헌장(ESC)과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에 관한 소고: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의 해… 박정원 5634
791 2019 제19권 제3호 교정시설 과밀수용의 해소를 위한 가석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한 6274
790 2019 제19권 제3호 애널리스트의 이익충돌규제 – EU 금융상품시장지침을 중심으로 이기욱 5599
789 2019 제19권 제3호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소성규 5855
788 2019 제19권 제3호 가상화폐의 과세문제 윤현석 6564
787 2019 제19권 제3호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에서 매도인의 조기 인도 및 초과 인도 이도국 5702
786 2019 제19권 제3호 민사소송절차에서 전자문서의 신뢰성 확보에 관하여 - 일본과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신욱, 이덕훈 6063
785 2019 제19권 제3호 경제조항 개헌론 회고와 경제구조의 향방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성승제 4905
784 2019 제19권 제3호 우리나라 도시재생 뉴딜사업 관련 법정책의 방향 성중탁 5527
783 2019 제19권 제3호 난민법 개정방향과 강제송환금지원칙 노동영 5907
782 2019 제19권 제3호 정신장애인의 인권보호를 위한 강박조치의 법적 정당성 확보 필요성 박득배 421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