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2호 저자 박득배
자료명 부동산유치권제도의 개선에 관한 제언
개요

부동산유치권제도의 개선에 관한 제언

A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real estate line system

박 득 배(Deuk-Bae PARK)*


우리 민법상 유치권은 물권 특히 담보물권이면서 유치적 효력을 누구에게나 주장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효력을 지닌 점에서 다른 나라의 유치권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유치권의 경우는 점유만으로 그 성립이 가능하게 규정되어 동산유치권의 경우는 점유로써 공시하는 것이 문제가 없지만 부동산유치권의 경우 등기를 통한 공시의 원칙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따라서 부동산 유치권의 문제점은 이렇게 강력한 유치권의 성립을 너무 넓게 인정하는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우선 유치권의 성립 범위를 좁게 인정하는 해석을 통해 문제점의 해결을 시도한다.

유치권이 시간 순서에 앞선 자가 권리에서 앞선다는 일반적 법원칙의 예외로 정당화되는 근거는 유치권의 피담보채권이 물건과 견련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견련관계에 관한 해석만으로는 부동산 유치권이 제3자에게 불측의 손해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그리고 불법점유라는 소극적 요건을 통해서도 부동산 유치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점유와 채권의 관련성을 요구하는 해석을 통해 압류 후 점유취득으로 유치권의 성립요건을 충족한 경우 유치권 성립을 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민법이 피담보채권이 점유 중 또는 점유와 동시에 발생된 것이어야 한다는 요건을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은 어렵고, 다만 입법론으로는 검토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유치권의 효력을 제한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우리 민법이 물권변동에 관한 성립요건주의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대내관계와 대외관계를 구별하여 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우리 민법의 해석상 유치권자는 누구에게나 유치적 효력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치권의 대항력을 부인할 수 없다.

결국 우리 민법이 공시의 원칙을 다소 희생하면서도 보호하고자 하는 유치권자를 민법이 예정한 정도로 제대로 보호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제3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측의 손해를 최소화 내지는 방지할 수 있는 해석이 가능한지를 먼저 검토하고 결론적으로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유치권의 효력을 제한하는 논의에 대하여, 유치권자는 누구에게나 유치적 효력을 주장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고, 유치권이 일단 성립되었다면 압류권자나 선행저당권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는 해석은 기본적으로 성립요건주의 하의 우리 민법과 조화롭지 못하다. 결국 유치권의 피담보채권으로 필요비, 유익비의 비용상환청구권 및 물건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입법이 필요하다. 나아가 공시제도로서 점유의 불완전성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시방법 이용, 유치권에 우선변제효를 명시하고 절차법에서는 소멸주의를 규정, 유치권 신고의 의무화와 허위 유치권자의 처벌강화 등 실체법과 절차법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경매절차전반의 개선이 필요하다.


주제어 유치권, 부동산 유치권, 견련관계, 채권과 점유, 처분금지효, 대항력, 소멸주의
다운로드

 07.박득배.pdf (360.3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798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나아갈 방향 송호신 6288
797 2019 제19권 제3호 경기북부지역의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최대호 5706
796 2019 제19권 제3호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김현귀 5231
795 2019 제19권 제3호 낙태죄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의 법정책적 검토 남복현 5543
794 2019 제19권 제3호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조원용 6148
793 2019 제19권 제3호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최정윤 6332
792 2019 제19권 제3호 유럽사회헌장(ESC)과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에 관한 소고: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의 해… 박정원 5575
791 2019 제19권 제3호 교정시설 과밀수용의 해소를 위한 가석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한 6227
790 2019 제19권 제3호 애널리스트의 이익충돌규제 – EU 금융상품시장지침을 중심으로 이기욱 5541
789 2019 제19권 제3호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소성규 5799
788 2019 제19권 제3호 가상화폐의 과세문제 윤현석 6504
787 2019 제19권 제3호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에서 매도인의 조기 인도 및 초과 인도 이도국 5646
786 2019 제19권 제3호 민사소송절차에서 전자문서의 신뢰성 확보에 관하여 - 일본과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신욱, 이덕훈 6005
785 2019 제19권 제3호 경제조항 개헌론 회고와 경제구조의 향방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성승제 4854
784 2019 제19권 제3호 우리나라 도시재생 뉴딜사업 관련 법정책의 방향 성중탁 5475
783 2019 제19권 제3호 난민법 개정방향과 강제송환금지원칙 노동영 5850
782 2019 제19권 제3호 정신장애인의 인권보호를 위한 강박조치의 법적 정당성 확보 필요성 박득배 4170
781 2019 제19권 제3호 입장권재판매 규제법제의 현황과 입법정책적 검토 최유,권채리,석호영 4263
780 2019 제19권 제3호 환경손해의 공․사법적 구제에 관한 연구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정다영 4211
779 2019 제19권 제2호 국회의원 선거구제에 대한 재검토 - 중선거구제의 도입 여부를 중심으로 - 이상명 5400
778 2019 제19권 제2호 공법 영역에서의 스마트컨트랙트 활용의 법적 문제 선지원,김경훈 5737
777 2019 제19권 제2호 화학물질관리법의 규율 체계와 개선방안 김형섭 5350
776 2019 제19권 제2호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사업영역 보호제도 및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제도를 중심… 김병진,우인섭,김성록,김지석 5464
775 2019 제19권 제2호 동산담보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제언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산담보물 관리와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 이현석 5103
774 2019 제19권 제2호 정신장애인의 항정신병약물 복용에 대한 자기결정 경험의 법정책적 함의 이용표 5148
773 2019 제19권 제2호 데이트폭력의 실태와 그 대책방안 - 일선경찰관의 관점에서 - 김한중,강동욱 5046
772 2019 제19권 제2호 인터넷전문은행법을 둘러싼 최근의 몇 가지 쟁점과 과제 -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중심으로 - 김영국 5107
771 2019 제19권 제2호 독일 민법상 환자의 동의권 김성필 538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