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2호 저자 이기욱
자료명 독일에서의 이익충돌과 경영판단의 법칙
개요

독일에서의 이익충돌과 경영판단의 법칙

Die Anwendung der Business Judgment Rule bei Interessenkonflikt innerhalb des Vorstands

이 기 욱(Ki-Wook LEE)*



자기거래에 있어서 이익충돌상황에 있는 이사가 이사회에서의 심의를 통해서 이익충돌이 없는 다른 이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외형상 이익충돌이 인정되는 거래로 인하여 회사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로서 이익충돌이 인정된다면 이익충돌이 없는 이사에게도 손해배상책임을 부담시키는 것도 일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익충돌이 없는 이사도 이사회의 의사결정에 참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그러한 이익충돌거래를 하는 것이 회사에 있어서는 유용한 경영판단인 경우도 또한 있을 수 있다. 이처럼 회사에 있어서는 유용한 경영판단이었음에도 이에 의한 영업이 실패로 끝나고, 그로 인하여 회사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결과만에 의한 사후적 판단으로 이사에게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하는 것은 지나치게 가혹한 일이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회사법에서는 성실한 경영판단의 실패로부터 회사에 생기는 손해에 관하여 이사에게 책임을 부담시켜서는 안 된다고 하는 생각에서 경영판단의 법칙(business judgement rule)이라는 법리가 발전되어 왔다. 다만, 이사가 행한 경영판단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인 경우, 즉 회사와 이익충돌관계에 있는 것인 경우에는 경영판단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학설상 이해되고 있다. 이는 이사에게 넓은 재량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이사가 회사의 최선의 이익을 위하여 행위하고 있을 것이 전제가 되기 때문에, 자기와 제3자의 이익을 도모하는 경영판단은 그 전제와 상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일부의 이사에게 이익충돌이 인정되는 경우 이익충돌이 없는 이사의 선관주의의무위반의 유무를 심사함에 있어서 경영판단의 법칙을 적용할 수 있는지, 환언하면 이익충돌이 없는 이사에게 경영판단의 법칙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른 이사에게도 이익충돌관계가 인정되지 않을 것을 요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문제에 관한 해결의 실마리로서 독일법에서의 경영판단의 법칙에 대한 논의가 유용한 참고가 된다고 생각한다. 독일의 회사법학에서도 경영판단의 법칙은 일단 판례법리로서 계수되어, 2005년의 주식법의 개정에 의하여 입법화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독일에서의 논의를 참고로 하면서, 이사회의 구성원인 이사의 일부에게 이익충돌이 인정되는 경우에 이익충돌이 없는 이사에게 경영판단의 법칙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검토한다.




주제어 경영판단의 법칙, 자기거래, 이사와 회사의 이익충돌, 이사의 의무, 이사
다운로드

 11.이기욱.pdf (305.4K) [2]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697 2017 제17권 제4호 정당한 이용자에 의한 보존을 위한 복제에 관한 연구 강기봉 4940
696 2017 제17권 제4호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이부하 5037
695 2017 제17권 제3호 일본의 데이트 폭력 문제와 예방에 관한 검토 배상균 6038
694 2017 제17권 제3호 스토킹의 개념과 처벌에 관한 몇 가지 제언 정도희 5447
693 2017 제17권 제3호 중독문제에 관한 형사사법적 개입에 관한 고찰 박은영 5432
692 2017 제17권 제3호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조치의 정당성 - 신체자유의 박탈에 대한 절차보장을 중심으로 - 박득배 5738
691 2017 제17권 제3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이상명 5272
690 2017 제17권 제3호 다문화사회의 헌법적 가치와 사회통합 김종세 5201
689 2017 제17권 제3호 온라인게임 이용시간 제한의 합리적 개선 김종일 4889
688 2017 제17권 제3호 디지털유산 상속 보호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온라인상의 디지털 저작물/유산을 중심으로 - 최현태 4840
687 2017 제17권 제3호 농안법에서 발견되는 도매시장거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신욱,최민식 5340
686 2017 제17권 제3호 독일민법상 계속적 계약관계 김성필 5234
685 2017 제17권 제3호 대표권 남용과 배임죄에 관한 입법적 검토 - 대법원 2017. 7. 20. 선고 2014도 110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이훈종 5447
684 2017 제17권 제3호 미국연방위임장규칙의 개정 동향과 시사점 천성권 5642
683 2017 제17권 제3호 프랑스와 한국의 국립공원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여은태 5526
682 2017 제17권 제3호 프랑스 민법상 해제권에 관하여 여하윤 5408
681 2017 제17권 제3호 행정법상 부가금에 관한 고찰 - 징계부가금과 제재부가금을 중심으로 - 김지영 6182
680 2017 제17권 제3호 테러방지법상 국정원 정보수집권한에 대한 개정논의 - 최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과의 비교검토 - 홍선기,강문찬 5014
679 2017 제17권 제3호 구글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여부에 대한 법적 연구 -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판단을 중심으로 - 조현진 4587
678 2017 제17권 제3호 이사의 경영상 임무위배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 「상법」상 특별배임죄(제622조)의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강동욱 4611
677 2017 제17권 제2호 법과정책연구 제17집 2호(통권46호) 한국법정책학회 8764
676 2017 제17권 제2호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 측면에서 본 대학입시제도의 개선방안 이상명 10024
675 2017 제17권 제2호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의 화해 가능성을 위한 예비적 고찰 - 민주법치국가모델의 의의와 한계점 - 정병화 9009
674 2017 제17권 제2호 테러방지법의 입법과정에서 행해진 무제한토론에 대한 헌법학적 고찰 조원용 7670
673 2017 제17권 제2호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소성규 8506
672 2017 제17권 제2호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법제 개선 및 실무적 적용 방안 김지석·김성록 8134
671 2017 제17권 제2호 형평성을 근거로 한 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 독일민법 제829조의 의미 및 기능 파악을 중심으로 - 박신욱 8239
670 2017 제17권 제2호 부동산유치권제도의 개선에 관한 제언 박득배 7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