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3호 저자 이훈종
자료명 대표권 남용과 배임죄에 관한 입법적 검토 - 대법원 2017. 7. 20. 선고 2014도 110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개요

대표권 남용과 배임죄에 관한 입법적 검토

- 대법원 2017. 7. 20. 선고 2014110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A legislative review on abuse of representative power and breach of trust

- Focusing on the per curiam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2014Do 1104, announced July 20, 2017-

이 훈 종(Hun-Jong LEE)*



대표권의 남용과 배임죄에 관한 전원합의체 판결이 선고되기 이전에는 대표권을 남용하여 약속어음을 발행한 경우 배임죄의 성립 여부에 관한 대법원의 명확한 입장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전원합의체 판결 이전에는 사실관계는 상당히 유사하지만, 배임죄의 성립 여부에 관한 판단에는 큰 차이가 있었던 두 유형의 대법원 판결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전원합의체 판결은 배임죄의 성립 여부에 관한 판단에 대하여 큰 차이가 있어 혼란스러운 상황을 해결하였으므로, 법적 안정성이란 측면에서 타당한 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다수의견은 배임죄를 위험범으로 파악하지만, 별개의견은 침해범으로 파악하므로, 배임죄의 성립시기에 관하여 차이가 있다. 다수의견에 따르면 약속어음발행이 무효라도 그 어음이 실제로 제3자에게 유통되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어 본인이 법적 책임을 부담하는 때 채무의 이행 여부와는 무관하게 배임죄의 기수범이 된다. 이에 비하여 별개의견에 따르면 발행행위의 법률상 효력 유무나 약속어음이 제3자에게 유통되었는지 등에 관계없이 회사가 어음채무나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을 실제로 이행한 때 배임죄 기수가 성립한다고 한다. 다수의견과 별개의견 모두 일리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그 근거와 논의의 실익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르면 권한을 남용한 대표이사를 통하여 약속어음을 취득한 상대방이 대표이사의 진의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 회사에 대하여 무효가 되므로, 상대방에게 과실이 없는 경우 어음금지급책임을 추궁할 수 있다. 그러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르면 상대방으로부터 어음을 취득한 제삼취득자에게는 인적항변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므로, 중과실이나 악의가 있더라도 해의가 없는 경우 보호받을 수 있다. 대표이사가 권한을 남용한 경우 중과실 있는 상대방은 어음금지급책임을 추궁할 수 없지만, 중과실이나 악의가 있는 제삼취득자가 어음금지급책임을 추궁할 수 있는 것이 타당하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사실관계가 유사한 경우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권리자가 어떤 조문을 활용하여 권리를 행사하던 간에 소송의 결과가 동일할 필요가 있으므로, 어음소지인의 보호요건을 통일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주의의무를 전혀 이행하지 아니한 자를 보호할 필요는 없으므로, 어음취득자에게 중과실이 있는 경우 어음채무자가 어음에 관한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음소지인의 보호요건에 관한 개정시안을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 대표권 남용, 배임죄의 기수범, 배임죄의 미수범, 어음소지인의 보호요건, 위험범, 인적항변의 절단, 입법적 검토, 전원합의체 판결, 죄형법정주의, 침해범
다운로드

 11.연구논문_이훈종.pdf (380.9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1,005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697 2017 제17권 제4호 정당한 이용자에 의한 보존을 위한 복제에 관한 연구 강기봉 4940
696 2017 제17권 제4호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이부하 5038
695 2017 제17권 제3호 일본의 데이트 폭력 문제와 예방에 관한 검토 배상균 6038
694 2017 제17권 제3호 스토킹의 개념과 처벌에 관한 몇 가지 제언 정도희 5447
693 2017 제17권 제3호 중독문제에 관한 형사사법적 개입에 관한 고찰 박은영 5432
692 2017 제17권 제3호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조치의 정당성 - 신체자유의 박탈에 대한 절차보장을 중심으로 - 박득배 5738
691 2017 제17권 제3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이상명 5272
690 2017 제17권 제3호 다문화사회의 헌법적 가치와 사회통합 김종세 5201
689 2017 제17권 제3호 온라인게임 이용시간 제한의 합리적 개선 김종일 4889
688 2017 제17권 제3호 디지털유산 상속 보호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온라인상의 디지털 저작물/유산을 중심으로 - 최현태 4840
687 2017 제17권 제3호 농안법에서 발견되는 도매시장거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신욱,최민식 5340
686 2017 제17권 제3호 독일민법상 계속적 계약관계 김성필 5234
685 2017 제17권 제3호 대표권 남용과 배임죄에 관한 입법적 검토 - 대법원 2017. 7. 20. 선고 2014도 110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이훈종 5448
684 2017 제17권 제3호 미국연방위임장규칙의 개정 동향과 시사점 천성권 5642
683 2017 제17권 제3호 프랑스와 한국의 국립공원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여은태 5526
682 2017 제17권 제3호 프랑스 민법상 해제권에 관하여 여하윤 5409
681 2017 제17권 제3호 행정법상 부가금에 관한 고찰 - 징계부가금과 제재부가금을 중심으로 - 김지영 6182
680 2017 제17권 제3호 테러방지법상 국정원 정보수집권한에 대한 개정논의 - 최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과의 비교검토 - 홍선기,강문찬 5015
679 2017 제17권 제3호 구글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여부에 대한 법적 연구 -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판단을 중심으로 - 조현진 4587
678 2017 제17권 제3호 이사의 경영상 임무위배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 「상법」상 특별배임죄(제622조)의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강동욱 4611
677 2017 제17권 제2호 법과정책연구 제17집 2호(통권46호) 한국법정책학회 8765
676 2017 제17권 제2호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 측면에서 본 대학입시제도의 개선방안 이상명 10025
675 2017 제17권 제2호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의 화해 가능성을 위한 예비적 고찰 - 민주법치국가모델의 의의와 한계점 - 정병화 9011
674 2017 제17권 제2호 테러방지법의 입법과정에서 행해진 무제한토론에 대한 헌법학적 고찰 조원용 7671
673 2017 제17권 제2호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소성규 8507
672 2017 제17권 제2호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법제 개선 및 실무적 적용 방안 김지석·김성록 8134
671 2017 제17권 제2호 형평성을 근거로 한 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 독일민법 제829조의 의미 및 기능 파악을 중심으로 - 박신욱 8239
670 2017 제17권 제2호 부동산유치권제도의 개선에 관한 제언 박득배 7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