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5 발행호수 제25권 제3호 저자 박재평, 정상수
자료명 특별법 개정을 통한 독립몰수제 도입의 필요성
개요

[목차]

. 서 론

. 국가폭력범죄 독립몰수제도의 의의

. 입법 논의 및 찬·반론

. 비교법적 고찰 및 시사점

. 결 론


[국문요지]

국가폭력범죄는 공권력의 조직적 개입, 증거의 은폐 및 조작, 피해자에 대한 침묵 강요 등으로 인해 범죄 발생 직후 그 실체가 드러나기 어렵다. 실제로 수십 년이 지나서야 그 진상이 밝혀지는 경우가 적지 않고, 그 사이 공소시효가 만료되거나 가해자가 사망하거나 피고인의 특정조차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현행 형법 체계는 몰수를 유죄판결에 부가되는 형벌로 한정하고 있어, 기소나 유죄판결이 불가능한 사건에서는 범죄수익조차 환수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형사제도의 근본적인 목적이 단지 개인에 대한 처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불법행위로부터 야기된 사회적 피해의 복원과 정의의 실현에 있음을 상기시킨다. 특히 현대 형사법은 범죄에 대한 국가의 대응 방식을 형벌 중심에서 피해회복과 사회정의 구현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범죄수익의 실질적 환수를 통해 범죄 억제와 피해 회복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경향은 국제사회에서도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유엔부패방지협약(UNCAC),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등은 유죄판결 없이도 자환수를 가능하게 하는 독립몰수제도(NCBC, Non-Conviction-Based Confiscation)’의 도입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국제적 흐름과 실질적 정의 회복의 요구에 발맞추어, 독립몰수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고, 특히 최근 국회에서도 일반 형법이 아니라 특별법 차원에서 반인권적 국가범죄에 한정하여 유죄판결 없이도 범죄수익을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개정안을 제출함으로써 몰수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형사 전반에 적용함으로 인해 우려될 수 있는 여러 난점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절충적인 입법적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독립몰수제도는 형사재판이 불가능하거나 한계에 봉착한 상황에서 예외적·보충적 수단으로 범죄수익을 환수하고, 정의 실현과 피해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이다. 독립몰수제도가 단지 과거의 책임을 묻는 데 그치지 않고, 불법 자산의 효과적 환수를 통해 국가폭력범죄에 대한 실질적 책임을 추궁하고, 정의로운 형사사법 질서를 확립하는 제도적 기반으로서 그 필요성과 정당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종래의 형벌 중심의 형사정책에서 탈피하여, 범죄수익 환수와 피해 회복을 중시하는 미래 지향적 형사 패러다임 정착으로 기능하는 입법적 정책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주제어 독립몰수, 국가폭력범죄, 형사정책, 범죄수익, 환수, 공소시효
다운로드

 07._공법__박재평,_정상수.pdf (441.6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2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24 2025 제25권 제3호 방송이용의 특성을 고려한 어문저작물의 유사도 판단 모델의 법정책적 개선점 연구 강기봉, 박윤석 10
23 2025 제25권 제3호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에 관한 검토 정영훈 5
22 2025 제25권 제3호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법적·윤리적 고찰 - 영국 GMC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수영 6
21 2025 제25권 제3호 독일민법에 따른 의사의 책임구조 박신욱 7
20 2025 제25권 제3호 특별법 개정을 통한 독립몰수제 도입의 필요성 박재평, 정상수 6
19 2025 제25권 제3호 사법접근성(Access to Justice) 향상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우리 법제에의 시사점 – OECD, World Bank, UNDP 사례 등을 … 유제민 7
18 2025 제25권 제3호 UN의 AI 관리 방안 및 우리나라 정책에 대한 시사점 – UN 총회 결의안(A/78/L.49)과 UN AI 자문기구 최종 보고서를 중심… 최혜선 10
17 2025 제25권 제3호 접경지역의 지원법제와 법정책적 활용방안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종덕 7
16 2025 제25권 제3호 고령자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를 위한 독일의 법정책 윤진아 6
15 2025 제25권 제3호 빅블러시대 행정의 디지털위험에 대한 법정책적 소고 김형섭 5
14 2025 제25권 제3호 디지털플랫폼행정과 국가임무에 대한 법적 소고 - 경찰임무와 관련하여 - 최정윤 6
13 2025 제25권 제2호 영국 회사법상 회사의 성공을 촉진할 의무 박건도 6
12 2025 제25권 제2호 회사지배구조에서의 부수정관의 역할 - 미국 회사법을 중심으로 - 이기욱, 정규 7
11 2025 제25권 제2호 AI를 활용한 이민관리의 법정책적 과제 손영화 8
10 2025 제25권 제2호 분산원장기술에 대한 정의의 필요성과 규제방향 제안 – EU와 스위스 입법례 분석 및 한국 법제에의 시사점 - 원대성 7
9 2025 제25권 제2호 현행 요양급여비용지급거부처분 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 - 판례 법리를 중심으로 - 이충호 6
8 2025 제25권 제2호 독일의 병원내 감염에 대한 법정책학적 고찰 길준규 7
7 2025 제25권 제2호 학교폭력 전담 조사관의 성인지 감수성 제고 필요성과 그 개선 방향에 관한 소고 이주희 4
6 2025 제25권 제2호 12·3 비상계엄, 그리고 탄핵 - 헌법해석과 헌법기본이론 관점에서 - 김래영 8
5 2025 제25권 제1호 예술인권리보장법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모색 박상민 6
4 2025 제25권 제1호 탄소중립정책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법적 검토 황헌순, 윤현석 6
3 2025 제25권 제1호 「식품의 표시·광고」에서 ‘친환경’에 대한 표시 및 광고의 금지 - 전혀 친환경적이지 않지만 친환경적인 것… 박의근 8
2 2025 제25권 제1호 ‘잊혀질 권리’와 ‘잊혀질 수 없는 권리’의 긴장과 조화, 그리고 법적 함의 정원준 5
1 2025 제25권 제1호 헌법 제31조의 교육원칙과 지방교육자치 노기호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