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9 발행호수 제19권 제4호 저자 강지명
자료명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개요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 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Examples and Implications of corection program using game and game elements

강 지 명(Je Myoung KANG)



게임이용행위와 게임적 요소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의 개발은 교도소라는 시
공간적 한계를 넘어선 교정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다. 교도
소가 재사회화 교정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도소 자체가 수형자로 하여
금 사회를 이해하고 개인의 삶을 성찰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한다. 게임
공간에서는 이를 경험적으로 성찰할 수 있다. 게임규칙을 만들고 갈등관계를 해
결하는 과정에서 협동을 하게 되고 규범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게임의 목표나
평가지표(게임물 등급 등에 대한 인식을 통한 게임스토리구상)에 따라 사고해보
는 경험을 하게 된다. 금지중심에서 사고체계중심으로 의식의 흐름이 바뀐다. 실
패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사회의 실패를 딛고 일어설 수 있는 자존
감 및 회복탄력성과도 연결될 수 있다. 게임이용자가 경험하는 결과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무한 확장될 수 있으며, 그 결과물(사회경험)은 생산자가 아니라 이용
자라는 것을 경험하여 본인의 삶에서도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게임을 수행
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문제의 해결이라는 점을 전제로 교정프로그램은
갈등해결을 우선적인 문제해결대상으로 짚어줄 수 있다. 동일한 사건은 반복될
수 없다고 한다. 학교나 교도소에서 배운 것은 사회에서 그대로 재현되지 않으며 항상 새로운
환경에서 다른 조건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다양한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서로
상충하는 개념이나 윤리적 갈등의 요소들의 합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즐거움과 규칙, 자유와 책임이 있을 수 있다. 이번 시범 프로그램에서는 비
폭력 대화의 욕구 비교를 통해서 이러한 상충되는 것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주었다. 그리고 마음의 피난처나 안식처 찾기를 통해 자극과
반응사이의 공간을 마련해주어, 판단에 따른 결정을 할 수 있는 사고의 시간을
만드는 능력을 길러보았다.
주제어 게임, 게임이용행위, 마음챙김, 비폭력대화, 게임이용장애
다운로드

 11._학술__강지명_수정본01.01_.pdf (320.7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15 2020 제20권 제1호 공여국의 이행문제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 오스트롬의 규범분류에 따른 호주와 한국의 ODA 법제 비교 - 이지선 8158
814 2020 제20권 제1호 독일의 블록체인 정책 및 신연방전략에 관한 소고 김형섭 9234
813 2020 제20권 제1호 사법상 환경책임과 공법상 환경책임 - 한·독 법비교를 바탕으로 한 환경훼손책임법 입법론 - 김현준 8609
812 2020 제20권 제1호 독일 경찰제도의 현황과 당면문제 윤진아 9824
811 2020 제20권 제1호 남중국해 중재판결에 대한 재조명 - 중국정부의 입장문건(立?文件)을 중심으로 - 류예리 8483
810 2019 제19권 제4호 정신질환자에 의한 ‘묻지마범죄’의 실태와 대책방안*- 정신건강복지법상 입원제도를 중심으로, 일선 경찰관의… 김한중,강동욱 7770
809 2019 제19권 제4호 농지법상 농지제도의 운영상 몇 가지 고찰 김종세 8017
808 2019 제19권 제4호 초연결사회에서 합리적 규제완화 방안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최정윤,김형섭 8176
807 2019 제19권 제4호 전통시장의 화재보험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박창욱,윤창술 7702
806 2019 제19권 제4호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 따른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한성훈 6920
805 2019 제19권 제4호 모자보건법상 낙태가능결정기간 도입과 부양비 배상 -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 봉영준 7795
804 2019 제19권 제4호 기업집단의 운영과 자회사 개별 법인격 원칙의 수정에 관한 연구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지광운 7683
803 2019 제19권 제4호 '국민선거권' 논의의 2가지 기준: ‘연령’과 ‘의사능력’ 조원용 7040
802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에 헌법적 검토 신정규 7601
801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정정원 7022
800 2019 제19권 제4호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강지명 7047
799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과 한국법정책학회 20년 회고 조형원 6999
798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나아갈 방향 송호신 8188
797 2019 제19권 제3호 경기북부지역의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최대호 7346
796 2019 제19권 제3호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김현귀 6757
795 2019 제19권 제3호 낙태죄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의 법정책적 검토 남복현 7195
794 2019 제19권 제3호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조원용 7919
793 2019 제19권 제3호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최정윤 8273
792 2019 제19권 제3호 유럽사회헌장(ESC)과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에 관한 소고: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의 해… 박정원 7175
791 2019 제19권 제3호 교정시설 과밀수용의 해소를 위한 가석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한 7919
790 2019 제19권 제3호 애널리스트의 이익충돌규제 – EU 금융상품시장지침을 중심으로 이기욱 7166
789 2019 제19권 제3호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소성규 7418
788 2019 제19권 제3호 가상화폐의 과세문제 윤현석 823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