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3 발행호수 제23권 제1호 저자 정원준
자료명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개요

[목차]

. 서 론

. 보건의료데이터의 특수한 맥락

. 보건의료데이터의 데이터 오너십에 대한 법이론적 검토

. 결 론

 

[국문요지]

본 고에서는 보건의료 영역에서 특수하게 제기되는 데이터 오너십 문제에 대하여 기존의 일반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그 바탕 위에 두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하나는 환자의 정보는 재산(property)인가?”의 여부이고, 다른 하나는 그 정보는 누가 소유하는가?”의 문제이다.

그러나 보건의료데이터에 대한 소유권 판단은 제법 까다롭고 불확실한 문제이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데이터를 누가 소유하는가의 문제에 있어서 흔히 범하는 오해가 있다.

우선 데이터 소유권은 당해 권리가 누군가에게 전적으로 귀속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수한 몇몇 상황을 제외하면 물리적 지배가 불가능한 데이터의 특성상 데이터를 특정인에게 귀속시키는 것은 정교하게 확립된 이론적 법리와 논거를 동원하여야만 가능하고, 다른 논의에서 보듯이 그러한 주장이 쉽사리 결실을 맺기도 어렵다. 더군다나 의료데이터 자원을 가급적 널리 공유하고 활용함으로써 적절한 이익 분배를 통한 효율성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 오너십 논의의 본래 취지와도 맞지 않는다.

다른 하나는 데이터 일반에서의 담론적 논의와 달리 의료 분야가 가진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가령 환자가 제공한 신상정보와 질병 및 증상에 따른 주관적 정보, 의사가 진료를 통해 확인한 객관적 정보(검사 수치 등), 의사의 전문적 지식 및 가치판단이 포함된 진단서와 소견서 등에 대한 오너십 문제는 각각 다른 층위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 환자의 인격적 표지로부터 유래한 정보와 의료인의 전문적 판단으로 생성된 정보 등을 구분하지 않고 혼재한 상태로 데이터 오너십을 논하는 것은 귀속의 주체를 불분명하게 하여 논의의 실익을 단절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록 완전한 법이론적 논거를 규명하지는 못하였으나, 소기의 결론은 도출하였다. 환자를 중심으로 접근·통제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해 나가되, 의사와 환자의 데이터 권한이 중첩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은 반드시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전제로 한 권리의 다발(a bundle of rights)’을 형성함으로써 각 주체에게 데이터 활용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역에서의 권리관계에 대하여 명확한 개념 정립을 통해 의료데이터의 활용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입법적 토대를 마련함이 적절한 방향으로 생각된다. , 이러한 입법이 갖는 구체적인 실익과 실제적인 효용에 대하여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주제어 데이터 오너십, 데이터 소유권, 보건의료데이터, 진료정보, 진료기록
다운로드

 04._공법__정원준.pdf (401.5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27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971 2023 제23권 제2호 민법에서 성 평등 실현 역사와 남겨진 과제 박종미 1332
970 2023 제23권 제2호 영조물로부터의 소음에 대한 법률문제 - 학교로부터 발생한 소음을 중심으로 - 최현태 1323
969 2023 제23권 제2호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의 추진 여건과 법적 과제 모춘흥 1354
968 2023 제23권 제2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의 법정책적 과제 소성규 1351
967 2023 제23권 제2호 대체역 제도 개선방안 연구-그리스와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대유, 한상연 1275
966 2023 제23권 제2호 독일의 혁신 원천기술 지원 법체계에 관한 소고 김형섭 1288
965 2023 제23권 제1호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정다영 1592
964 2023 제23권 제1호 상속인 아닌 보험수익자가 생명보험금을 수령한 경우 상속인의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 결정에 관한 민법 및 보… 김판기,홍진희 1417
963 2023 제23권 제1호 생명윤리와 연구대상자 보호 손영화 1525
962 2023 제23권 제1호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 1529
961 2023 제23권 제1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을 위한 탐정의 역할 제고 방안 최문환, 강동욱 1621
960 2023 제23권 제1호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1465
959 2023 제23권 제1호 프랑스 환경헌장의 의의와 역할 김지영 1559
958 2023 제23권 제1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권순호 1541
957 2023 제23권 제1호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1842
956 2022 제22권 제4호 임원배상책임보험과 화해 이기욱 1890
955 2022 제22권 제4호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조세정책 개선방안 - 미국 조세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희, 윤현석 1967
954 2022 제22권 제4호 상업지역 내 주거 일조권의 사전적 보호 김지석 1961
953 2022 제22권 제4호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과 규제에 관한 고찰 박세양 2114
952 2022 제22권 제4호 신기능주의 통합이론에서 본 남북한 교류협력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분권형 대북정책’ 정병화, 정계현, 조곽규 1972
951 2022 제22권 제4호 우리나라 상병수당제도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 독일 질병수당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윤진아 1930
950 2022 제22권 제4호 통합적 화학물질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입법론 박종원 1958
949 2022 제22권 제4호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의 법적 효력 ?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해석을 중심으로 - 노기호 2093
948 2022 제22권 제4호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조직권 보장을 위한 법정책적 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진 2005
947 2022 제22권 제4호 자치재정권 확대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오승규 1907
946 2022 제22권 제3호 블록체인과 분산신원증명 - 주식회사 주주소외 개선방안 검토와 함께 - 성승제 2142
945 2022 제22권 제3호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하여 총수익스왑계약을 체결한 경우 이사의 책임에 관한 판례 평석 - 고등법원 2019. 9. 26. 선… 이훈종 2132
944 2022 제22권 제3호 DCFR의 매매계약상 위험이전 이종덕 212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