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23 발행호수 제23권 제1호 저자 권순호
자료명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개요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근로자의 안전과 생명·신체·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내용

Ⅲ.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 불이행시 근로자의 권리(권리구제 수단)

Ⅳ. 결 론

 

[국문요지]

현대 산업사회의 노사 간 근로관계에서 사용자는 이윤의 극대화를 위하여 생산수단을 기계화, 자동화 하는 등 고도의 기술혁신, 노무관리 등을 생산과정에 도입하였다. 이에 따라 근로자는 노동강도가 강화되고, 노동이 단순화되어지며, 요청 작업속도가 증가되는 등의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야간근로 시간이 증가하고 교대근무제가 도입되어 근로자에게 부과된 근로조건, 근로내용, 작업환경 등이 근로자의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증대시켜 만성적 질병 등 그들의 건강상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직장내 안, 보건시설 및 휴게시설을 최소화함에 따라 근로자들은 열악한 근로환경으로부터 건강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그들의 생존권마저 위협당하고 있기에 개개 근로자의 특성이나 직무내용에 따라 이들을 보호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우리 헌법 제36조 제3항에 의하여 보장되고 있는 국민의 건강권은 대국가적 권리이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근로계약관계상 사용자에게 포괄적인 안전, 건강 등에 관한 배려의무가 지워지게 되었고, 근로기준법으로부터 독립 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재해의 방지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건강권을 위한 각종 조치와 규제 조항이 입법되어졌다.

근로현장에서 근로자의 건강문제는 근로조건, 근로내용, 작업환경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와 근로자는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호 협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작업장에서 근로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사고예방 등의 교육 또한 의무이행을 위한 형식적인 교육에 그치지 않고 보다 충실해지고 실용적일 수 있도록 관련 법규들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오늘날에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 문제에 관한 책임귀속의 주체, 범위가 확장되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내하도급 근로자에 대한 도급 사업장내에서의 안전문제에 관한 책임, 특수형태 근로종사자에 관한 사용자 책임(근로자의 지), 하역근로자에 관한 사용자 책임(사용자의 범위)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결국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문제는 근로조건, 근로내용, 작업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들과 관련성이 있으므로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의 보장이란 관점에서 종합적인 법적장치가 마련되어지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사용자의 배려의무취업시킬 의무에 대하여 관련 법규정의 해석을 통한 고찰을 해보고 사용자의 의무 불이행시 근로자의 권리구제 방안과 그 법적 효과에 대하여 연구 하고자 한다.

주제어 근로관계, 안전과 건강, 생명과 신체보호, 배려의무, 안전교육, 사용자의 의무, 근로자의 권리
다운로드

 02._공법__권순호.pdf (346.1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983 2023 제23권 제3호 미성년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부모의 감독의무자책임 - 대법원 2022. 4. 14. 선고 2020다240021 판결의 검토에 기초하여 홍윤선 1652
982 2023 제23권 제3호 화석연료 보조금에 대한 국제통상법적 접근: 특정성 요건을 중심으로 박경진 1623
981 2023 제23권 제3호 평화경제특구 조성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입법체계 정합성 확립과 상호보완 방안 소성규 1711
980 2023 제22권 제3호 장애인의 미디어 접근권에 관한 법적 연구 - 영국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에의 장애인 접근을 중심으로 - 이부하 1631
979 2023 제23권 제3호 비밀촬영한 사진의 증거능력 김재중, 강현주 1694
978 2023 제23권 제3호 미국의 부당노동행위 증명책임에 관한 일고찰 - Wright Line test를 중심으로 - 정영훈 1633
977 2023 제23권 제3호 기후대응기금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위한 행정법적 과제 이국현 1588
976 2023 제23권 제3호 국회의 동의를 요하는 조약의 해석과 적용 노기호 1593
975 2023 제23권 제3호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상 성년후견인의처벌불원 의사표시 허용 여부 - 대법원 2023. 7. 17. 선고 2021도11126 전원합의체… 김민경 1569
974 2023 제23권 제3호 공무원 겸직 제한 법제의 헌법적 타당성 검토 및 신고제로의 전환 제언 - 국가공무원법 제64조, 국가공무원 복무… 김나영 1484
973 2023 제23권 제2호 미국연방세법상 선택오류의 시정 이기욱 1646
972 2023 제23권 제2호 디지털콘텐츠 및 서비스 계약상 제공의무 - 유럽 디지털콘텐츠 지침 제5조를 중심으로 - 이종덕 1667
971 2023 제23권 제2호 민법에서 성 평등 실현 역사와 남겨진 과제 박종미 1723
970 2023 제23권 제2호 영조물로부터의 소음에 대한 법률문제 - 학교로부터 발생한 소음을 중심으로 - 최현태 1687
969 2023 제23권 제2호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의 추진 여건과 법적 과제 모춘흥 1713
968 2023 제23권 제2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의 법정책적 과제 소성규 1715
967 2023 제23권 제2호 대체역 제도 개선방안 연구-그리스와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대유, 한상연 1620
966 2023 제23권 제2호 독일의 혁신 원천기술 지원 법체계에 관한 소고 김형섭 1600
965 2023 제23권 제1호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정다영 2036
964 2023 제23권 제1호 상속인 아닌 보험수익자가 생명보험금을 수령한 경우 상속인의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 결정에 관한 민법 및 보… 김판기,홍진희 1779
963 2023 제23권 제1호 생명윤리와 연구대상자 보호 손영화 1904
962 2023 제23권 제1호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 1947
961 2023 제23권 제1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을 위한 탐정의 역할 제고 방안 최문환, 강동욱 2060
960 2023 제23권 제1호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1938
959 2023 제23권 제1호 프랑스 환경헌장의 의의와 역할 김지영 1935
958 2023 제23권 제1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권순호 1870
957 2023 제23권 제1호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2240
956 2022 제22권 제4호 임원배상책임보험과 화해 이기욱 233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