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2 발행호수 제12집 제1호 저자 김현우
자료명 부동산실명법 제4조에서 명의수탁자의 지위의 형법해석상 문제와 개정방향
개요

부동산실명법은 누구든지 부동산에 관한 물권을 명의신탁약정에 따라 명의수탁자의 명의로 등기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제3조 제1항)하고, 이러한 명의신탁약정은 무효로 한다고 규정(제4조 제1항)하고 있으며, 명의신탁약정에 따른 등기로 이루어진 부동산에 관한 물권변동은 무효로 한다고 규정(제4조 제2항 본문)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소유권귀속에 대해서는 부동산실명법이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명의신탁부동산을 임의로 처분한 명의수탁자의 형사책임에 대해서 학설과 판례가 대립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2자간 명의신탁과 계약명의신탁의 매도인이 선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임죄로 규율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횡령죄와 배임죄는 입증책임의 문제에서 차이가 나고, 횡령액과 재산상 이익의 취득액에 따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의 적용에 있어서도 차이가 난다. 또한 재산상 이익의 취득이 문제될 경우에는 장물죄가 성립할 수 없게 되므로 엄격하게 구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부동산실명법 제4조의 입법정책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부동산실명법 제4조의 개정방향으로 민법 또는 부동산실명법을 개정하는 방법과 형법을 개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민법을 개정하는 방법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는 명의신탁뿐만 아니라 양도담보물을 임의로 처분한 양도담보권자의 형사책임도 같은 문제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첫째, 부동산실명법에 명의신탁부동산의 소유권을 명의수탁자에게 귀속하는 규정을 두는 것이다. 둘째, 부동산실명법에 명의신탁부동산의 소유권을 명의신탁자에게 귀속하는 규정을 두는 것이다. 셋째, 형법 제355조 제1항의 타인의 ‘재물’을 타인의 ‘동산’으로 개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첫 번째의 방법론은 명의신탁부동산을 임의처분한 명의수탁자에게 신임의무위반에 대한 당벌성과 필벌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처벌할 수 없다는 형사정책적인 문제점을 낳게 되므로 타당하지 않다. 두 번째의 방법론은 횡령죄가 성립하는지 배임죄가 성립하는지에 대한 극심한 학설의 대립이 다시 전개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소한다는 측면에서는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세 번째의 방법론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재물’과 ‘재산상의 이익’의 개념에 대해 다르게 파악하고 있는 통설과 소수설의 대립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고인에게 유리한 배임죄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제어 부동산실명법, 명의신탁, 횡령죄, 배임죄,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
다운로드

 김현우.pdf (474.1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367 2012 제12집 제2호 종교단체의 법적 규율을 위한 입법적 시론 소성규 9788
366 2012 제12집 제2호 부동산리테일산업발전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양재모 8979
365 2012 제12집 제2호 저당권의 실행에 관한 비교 김상용 9863
364 2012 제12집 제2호 한국의 녹색 에너지 법과 메탄 하이드레이트 로이 앤드류 파르테인 9976
363 2012 제12집 제2호 소년사범에 대한 지역사회교정의 현황과 개선방안 김봉수, 강동욱 9382
362 2012 제12집 제1호 독일의 보안감호에 관한 규정의 변화와 과제 김성규 9384
361 2012 제12집 제1호 채무자회생법상 국제도산절차의 효력에 관한 입법적 과제 김영주 9491
360 2012 제12집 제1호 출입국관리 관련 통합법전 모델의 모색 홍기원 9306
359 2012 제12집 제2호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위헌성에 관한 논의 이성기, 한면수 9494
358 2012 제12집 제1호 선하증권상 국제재판관할 합의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양석완 9866
357 2012 제12집 제1호 가족관계의 변화에 따른 고령자의 재산보호를 위한 제도에 관한 연구 송호영 9497
356 2012 제12집 제1호 행정개입청구권의 요건으로서의 재량수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박효근 9986
355 2012 제12집 제1호 부동산실명법 제4조에서 명의수탁자의 지위의 형법해석상 문제와 개정방향 김현우 9990
354 2012 제12집 제1호 동두천 관련 특별법의 헌법소송적 대응에 관한 검토 남복현 9271
353 2012 제12집 제1호 일본 전기용품안전법상 리콜제도와 강제집행 김상태 9364
352 2012 제12집 제1호 군 사법절차의 관할관 확인조치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강동욱 9105
351 2011 제11집 제4호 독일헌법상 예산법률주의 정문식 9478
350 2011 제11집 제4호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상 감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백휴 9207
349 2011 제11집 제4호 지속가능한 하구관리법체제 수립에 관한 연구 심영규 9518
348 2011 제11집 제4호 행정심판과 고충처리제도의조직적 통합의 의의와 법정책적 개선과제 선정원 10531
347 2011 제11집 제4호 건물설계자ㆍ시공자의 건물매수인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변우주 9499
346 2011 제11집 제4호 감사원 감사권의 제한과 개선에 관한 연구 방동희 9358
345 2011 제11집 제4호 실내공기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박종원 9215
344 2011 제11집 제4호 노조법상 근로시간면제제도 시행 이후의 법리적 쟁점 문무기 9026
343 2011 제11집 제4호 광대역망 구축에서의 국가의 역할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길준규 8963
342 2011 제11집 제4호 암스테르담 방송의정서의 관점에서 독일의 방송재원지원의 정당성과 유럽연합의 보조금 감독 권형둔 9147
341 2011 제11집 제4호 취득시효완성으로 인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판례의 검토 강태성 10045
340 2011 제11집 제4호 군사법절차에 있어서의심판관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강동욱 8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