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2 발행호수 제12집 제3호 저자 박선욱
자료명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준과 기업보고
개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은 불평등한 부의 분배, 환경오염, 불공정한 노동관행 등과 같은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글로벌현상의 병폐를 치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해되어 왔다. CSR 실행을 주도해왔던 EU는 유럽기업들의 순수 자발적 노력에 따른 CSR 발전을 도모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법원의 Kasky v. Nike 판결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캘리포니아주 법원들은 비록 미국기업이 아닐지라도 CSR 관련 미국 국내법에 따라 기업의 정책 또는 운영을 판단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발적인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EU의 기업의 사회적 보고제도는, 주법과 연방법에 따라 기업에 강제적 보고와 사회적 책임을 강제하는 미국의 제도와는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EU과 미국의 CSR 제도와 그 운영의 출발점이 상이하므로 두 가지 제도가 조화를 이루기에는 아직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그래도 아직까지는 강제적 보고 제도가 유용하며 기업들에게도 효율적인 구조라 평가되고 있다. 현재 모든 국가가 보고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있지 않기에, 국제기구가 CSR 활동을 하는 기업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줄 수 있는 국제적 보고 기준과 확인ㆍ검증 절차를 개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신뢰와 책임을 증진할 수 있고 확인ㆍ검증절차는 법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Kasky v. Nike 판결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기업운영보고서에 대한 책임과 허위진술에 관한 부주의 기준을 정비하고 각국의 광범위한 관할권 문제에 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CSR 관련 법률을 도입하고자 하는 국가에서 사회적 보고를 강제하기 위한 법제를 마련하기 위해, 이와 같은 문제 해결에 대한 사회적 및 환경적 영향을 측량하고 이를 보고할 획일적인 기준에 대한 개발 검토가 필요하며, 향후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기업 보고, EU의 CSR 입법, 보고서발행 책임, Kasky v. Nike
다운로드

 박선욱.pdf (699.0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395 2012 제12집 제4호 국가보훈기본법 제정과정에서 정책형성 모형의 분석 윤명석 10548
394 2012 제12집 제4호 경제위기 분석과 상사법적 대응방안에 대한 검토 성승제 12249
393 2012 제12집 제3호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육아휴직정책에 관한 법적 검토와 개선방향 제안 홍정화 10803
392 2012 제12집 제3호 입법학 체계정립을 위한 작은 시도 최윤철 11414
391 2012 제12집 제3호 공정사회를 위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과 조세 최영렬, 조명연 11088
390 2012 제12집 제3호 SNS 게시물의 작성, 재게시행위와 인터넷상 명예훼손 정정원 10141
389 2012 제12집 제3호 독일민법상 불법행위적 제조물책임에 관한 소고 전경운 10673
388 2012 제12집 제3호 소비자단체소송 이영규 10522
387 2012 제12집 제3호 헌법상 사학의 자유와 학교법인의 법적 지위 이시우 10572
386 2012 제12집 제3호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이상용 11417
385 2012 제12집 제3호 증명방해와 그에 대한 제재에 관한 연구 이덕훈 10080
384 2012 제12집 제3호 입법학 연구의 방향 설정 심우민 10361
383 2012 제12집 제3호 주택저당증권(MBS)의 한계와 커버드본드(CB)의 입법방향 송호신 10630
382 2012 제12집 제3호 식품법상 식품의 위험 규제와 그 책임에 관한 고찰 선정원, 박인회 10285
381 2012 제12집 제3호 재산권규정의 재해석을 통한 재산권 최고규범으로서 사적 자치 박진근 10905
380 2012 제12집 제3호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준과 기업보고 박선욱 9594
379 2012 제12집 제3호 양벌규정에서 법인과 행위자의법정형 분리의 필요성 김재봉 11292
378 2012 제12집 제3호 검찰권에 대한 통제 방안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김용훈 10468
377 2012 제12집 제3호 언론보도로 인한 명예훼손 불법행위의 성립요건 김서기 11116
376 2012 제12집 제3호 미국 연방파산법상 부인권의 준거법 선택 기준 김명수 10590
375 2012 제12집 제3호 주한미군이전에 따른 동두천시 지원특별법제정을 위한 법정책적 당위성에 관한 검토 권배근 9859
374 2012 제12집 제2호 「아동의 빈곤예방 및 지원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 및 보완방안 문영희 9987
373 2012 제12집 제2호 현행 제조물책임법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최병록 9010
372 2012 제12집 제2호 지배주주의 주식매도청구권에 관한입법론적 재검토 정준우 9892
371 2012 제12집 제2호 내용에 근거한 규제와 내용 중립적 규제 이부하 9397
370 2012 제12집 제2호 클라우드 컴퓨팅의 저작권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박인회 9203
369 2012 제12집 제2호 저당지상의 건물에 대한 일괄경매청구권 위계찬 9875
368 2012 제12집 제2호 法政策學的 觀點에서 본 民法上 法人關聯規定 改正案 송호영 9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