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8 발행호수 제18권 제2호 저자 조성혜
자료명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 분석
개요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 분석
Legal Status of Domestic Workers and Analysis of Bills of
Domestic Workers Protection Act
1)조 성 혜(Sung-Hae CHO)*
가사근로자는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의 적용을 받지 못해 근로자임에도 불구하
고 계속 보호의 사각지대에 머무르고 있다. 그 결과 가사종사자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년 여성들은 대부분 서면의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4대보험
가입의무로부터도 배제된 채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조건에 노출되어 있다. 가사
근로자 보호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이미 오래 전부터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
직 입법으로 결실을 맺지 못한 상태이다.
가사근로자의 보호는 간단히 생각하면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노동법 및 사회보
장법 등에서 가사사용인 또는 가구 내 고용활동에 대한 적용 배제 규정을 삭제
하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근로기준법에 의한 해결방안의 경우 가사근
로자에 대한 특례 조항을 신설한다 해도 결국 가사근로의 비공식화 문제를 근본
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차선책으로 가사근로서비스를 파
견법의 파견대상업무로 추가해 제3자간 계약으로 규율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파견법에 의한 해결방안은 2년의 계약기간을 초과한 경우 사
용사업주에 해당하는 이용자가 가사근로자를 직접고용해야 한다는 기이한 결과
를 초래하게 된다는 점에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가사근로자보호를 위한 정부안와 서형수 의원안, 이정미
의원안이 모두 가사근로자,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가사서비스 이용자의 3자관계를
통한 보호방안으로 귀결된 것이라고 본다. 정부안과 양 의원안은 공통적으로 가
사근로자가 가사서비스 제공기관과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가사서비스 이용자는 제
공기관과 가사서비스 이용계약을 체결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가사근로자가 여타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노동법 및 사회
보장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는 이 법안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가사근로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가사근로자법이 간접고용방식을 취함으
로써 가사근로자가 또다른 비정규직으로 전락하고 가사근로의 비용이 상승할 것
아니냐는 의문이 일 수도 있다. 나아가 가사근로법이 시행된 후에도 직접고용방
식에 의한 가사근로가 그대로 존속된다면(현실적으로 이러한 방식을 규제할 수도
없다) 자칫 옥상옥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 아닌가 라는 의구심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90% 이상의 가사근로가 비공식노동으로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현실을 고려할 때 3자간 고용에 의한 가사근로자법이 그나마 노
동법과 사회보장법의 보호로부터 소외되었던 가사근로자를 양지로 끌어들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이라고 본다. 이용자도 인증된 제공기관에 의해 가사근로
자를 제공받을 경우 근로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
어 안심이 되고, 근로자 역시 종속적 관계에 기반한 직접고용에서 흔히 발생하
는 인권침해나 차별적 처우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고, 제공기관 역시 공
식적으로 인증을 받아 정부의 지원 하에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다. 다만 가사근로자법이 현실에서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직접고용된 가
사근로자들의 보호방안, 이들과 3자관계로 고용된 근로자들과의 차별 금지, 이
용자의 책임 등의 문제들이 함께 해결되어야만 할 것이다.

주제어 가사근로자, 제외, 법적 보호, 근로조건, 서비스제공자
다운로드

 08.조성혜(수정).pdf (394.0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54 2020 제20권 제4호 아동·노인 학대에 대한 복지적 개입을 통한 학대재발방지 실효성 제고 방안 제철웅, 장영인 4496
853 2020 제20권 제4호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개정 상법 시행령의 비판적 검토 정준우 4341
852 2020 제20권 제4호 국민참여재판의 13년의 성과와 향후 대책 - 배심원 평의와 평결을 중심으로 - 정배근 4346
851 2020 제20권 제4호 탐정업 관련 법률의 제정방향 하금석. 강동욱 4615
850 2020 제20권 제4호 스토킹 행위의 처벌을 위한 입법적 논의와 과제 - 일본의 ?스토커 규제법?의 제정경위와 그 주요내용을 중심으로 문희태 4509
849 2020 제20권 제4호 과실범의 가중처벌에 관한 일고찰 - 특가법상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어린이 치사상의 가중처벌을 중심으로 - 김두상 4500
848 2020 제20권 제4호 일본에서 사회수당에 관한 연구- 아동수당을 중심으로 - 백윤철, 이희수 4691
847 2020 제20권 제4호 지방자치단체 민주시민교육의 의의 및 법정책적 제언 최성환 4436
846 2020 제20권 제4호 출입국관리법상 ‘보호’와 외국인의 신체의 자유 공진성 4180
845 2020 제20권 제4호 우리나라 요양인력제도의 개선방안 - 독일의 ‘요양직업법’을 참고하여 - 윤진아 4414
844 2020 제20권 제4호 기업의 인권존중 책임에 관한 검토 - 국제기준을 중심으로 - 김종일 4131
843 2020 제20권 제4호 블록체인 기반 전자거래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 김형섭, 최정윤 4138
842 2020 제20권 제4호 사무지원 파견근로자의 파견법 위반사례 방지를 위한 법정책적 방안 이희성, 이세주 5023
841 2020 제20권 제4호 국제결혼중개업법과 결혼이주여성의 인권보호 조홍석 4661
840 2020 제20권 제4호 개정된 공직선거법상 비례대표 의석배분 방식이 지닌 구조적인 문제점과 대안의 검토 남복현 4575
839 2020 제20권 제4호 불법행위책임 성립요건에 관한 몇 가지 논의 김상중 4460
838 2020 제20권 제4호 헌법재판소의 명확성원칙의 적용에 관한 고찰 표명환 4558
837 2020 제20권 제4호 치료행위의 헌법적 정당성과 위법성조각의 형법적 근거 이경렬 4278
836 2020 제20권 제3호 의료 인공지능에 대한 형법적 고찰-왓슨(Watson)을 중심으로- 선종수 4310
835 2020 제20권 제3호 대학 통일교육의 의미와 정책적 지향점 모춘흥, 김경식, 정병화 4451
834 2020 제20권 제3호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에 대한 정보공개와 비밀 유지 기준 정립에 대한 연구 선지원 4572
833 2020 제20권 제3호 재건축상 관리처분계획에 관한 인가론적 고찰과 판례 비판 이진규, 변무웅 4535
832 2020 제20권 제3호 사회재난을 이유로 한 여행계약 해제 - 제1급감염병 유행 상황을 중심으로 - 최현태 4192
831 2020 제20권 제3호 채권양도금지특약의 효력 제한 김성필 4545
830 2020 제20권 제3호 주택임대차에서 수선?유지의무의 법적 성격과 제도개선 과제 유병수, 변창흠 4305
829 2020 제20권 제3호 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표시에 관한 몇 가지 쟁점 김세준 3289
828 2020 제20권 제3호 국외여행인솔자 자격제도의 개선방안 천영성, 소성규 3272
827 2020 제20권 제2호 유럽연합 플랫폼사업자 규제동향과 시사점 지광운 544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