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8 발행호수 제18권 제2호 저자 조성혜
자료명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 분석
개요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 분석
Legal Status of Domestic Workers and Analysis of Bills of
Domestic Workers Protection Act
1)조 성 혜(Sung-Hae CHO)*
가사근로자는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의 적용을 받지 못해 근로자임에도 불구하
고 계속 보호의 사각지대에 머무르고 있다. 그 결과 가사종사자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년 여성들은 대부분 서면의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4대보험
가입의무로부터도 배제된 채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조건에 노출되어 있다. 가사
근로자 보호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이미 오래 전부터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
직 입법으로 결실을 맺지 못한 상태이다.
가사근로자의 보호는 간단히 생각하면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노동법 및 사회보
장법 등에서 가사사용인 또는 가구 내 고용활동에 대한 적용 배제 규정을 삭제
하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근로기준법에 의한 해결방안의 경우 가사근
로자에 대한 특례 조항을 신설한다 해도 결국 가사근로의 비공식화 문제를 근본
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차선책으로 가사근로서비스를 파
견법의 파견대상업무로 추가해 제3자간 계약으로 규율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파견법에 의한 해결방안은 2년의 계약기간을 초과한 경우 사
용사업주에 해당하는 이용자가 가사근로자를 직접고용해야 한다는 기이한 결과
를 초래하게 된다는 점에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가사근로자보호를 위한 정부안와 서형수 의원안, 이정미
의원안이 모두 가사근로자,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가사서비스 이용자의 3자관계를
통한 보호방안으로 귀결된 것이라고 본다. 정부안과 양 의원안은 공통적으로 가
사근로자가 가사서비스 제공기관과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가사서비스 이용자는 제
공기관과 가사서비스 이용계약을 체결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가사근로자가 여타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노동법 및 사회
보장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는 이 법안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가사근로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가사근로자법이 간접고용방식을 취함으
로써 가사근로자가 또다른 비정규직으로 전락하고 가사근로의 비용이 상승할 것
아니냐는 의문이 일 수도 있다. 나아가 가사근로법이 시행된 후에도 직접고용방
식에 의한 가사근로가 그대로 존속된다면(현실적으로 이러한 방식을 규제할 수도
없다) 자칫 옥상옥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 아닌가 라는 의구심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90% 이상의 가사근로가 비공식노동으로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현실을 고려할 때 3자간 고용에 의한 가사근로자법이 그나마 노
동법과 사회보장법의 보호로부터 소외되었던 가사근로자를 양지로 끌어들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이라고 본다. 이용자도 인증된 제공기관에 의해 가사근로
자를 제공받을 경우 근로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
어 안심이 되고, 근로자 역시 종속적 관계에 기반한 직접고용에서 흔히 발생하
는 인권침해나 차별적 처우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고, 제공기관 역시 공
식적으로 인증을 받아 정부의 지원 하에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다. 다만 가사근로자법이 현실에서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직접고용된 가
사근로자들의 보호방안, 이들과 3자관계로 고용된 근로자들과의 차별 금지, 이
용자의 책임 등의 문제들이 함께 해결되어야만 할 것이다.

주제어 가사근로자, 제외, 법적 보호, 근로조건, 서비스제공자
다운로드

 08.조성혜(수정).pdf (394.0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82 2021 제21권 제2호 해양바이오산업 규제와 법정책적 과제 최석문 박종원 3013
881 2021 제21권 제2호 규제샌드박스 도입 및 실행에 대한 법적 연구 - 공무원의 역할 및 책임을 중심으로 - 최정윤 2990
880 2021 제21권 제2호 국민연금기금의 주주권 행사 체계에 관한 검토 ? ESG 관련 기업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 장윤제 2888
879 2021 제21권 제2호 콘텐츠분쟁의 국제상사조정을 통한 해결에 관한 연구 오현석 2943
878 2021 제21권 제2호 전동킥보드 보험에 관한 법적 고찰 박준선 2990
877 2021 제21권 제2호 가상자산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이희종 2980
876 2021 제21권 제2호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규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이연임 2999
875 2021 제21권 제2호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책임의 재검토 이원해 3064
874 2021 제21권 제2호 회사법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이형규 3131
873 2021 제21권 제1호 인공지능과 전자인(Electronic Person) - 독자적 법인격 부여 가능성을 중심으로 - 이 도 국 3678
872 2021 제21권 제1호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입법안에 관한 법정책 소고 김 영 국 3708
871 2021 제21권 제1호 스마트계약의 계약법적 쟁점과 과제 최 현 태 3615
870 2021 제21권 제1호 중국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의 동향 -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비교 - 윤 현 석 3554
869 2021 제21권 제1호 개정 전자문서법상 블록체인 기술 관련 쟁점 고찰 정 규 3634
868 2021 제21권 제1호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법정책적 과제 박 진 아, 최 성 환 3602
867 2021 제21권 제1호 이민기금의 설치, 관리 등에 관한 정책안 김 종 세 3619
866 2021 제21권 제1호 소비자정책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박 성 용 3387
865 2021 제21권 제1호 공무원의 행정법상 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 정 윤, 김 형 섭 3579
864 2021 제21권 제1호 ‘모든 국민’이라는 허구적 보편성: 코로나19 재난지원금에서 외국인 배제에 관한 국제인권법적 비판 김 지 혜 3569
863 2021 제21권 제1호 근로관계에서 전자문서의 서면으로서의 효력 - 우리나라와 독일을 중심으로 - 김 기 선 3585
862 2021 제21권 제1호 평생교육의 내용과 평생교육법의 개선방안 이 부 하 3707
861 2021 제21권 제1호 금강산국제관광특구와 라선경제무역지대 노동복지 비교: 노동규정을 중심으로 이 철 수 3552
860 2021 제21권 제1호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CPTPP)에서의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규제에 관한 연구 류 예 리 3810
859 2021 제21권 제1호 일본 저작권등관리사업법의 검토 및 시사점 강 기 봉, 김 상 태 3693
858 2021 제21권 제1호 명예훼손죄에 있어 공연성의 개념 - 대법원 2020.11.19. 선고 2020도5813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김 재 중, 이 훈 3682
857 2020 제20권 제4호 디지털 시대의 도래에 따른 유언방식에 대한 소고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필유언을 중심으로 - 이종덕 4438
856 2020 제20권 제4호 남북경협의 활성화의 전제로써 개성공단 전면중단으로 인한 손해의 전보 가능성에 대한 연구 박신욱, 조재욱 4479
855 2020 제20권 제4호 농어촌상생협력기금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진, 김지석, 김성록 435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