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1 발행호수 제11집 제3호 저자 김상중
자료명 공정질서와 민사법의 역할:계약법을 중심으로
개요

본 논문은 민사 계약법이 공정한 거래질서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고찰하는 전제로서, 이 논문은 계약의 자유와 정의는 각각 형식적 의미와 실체적 측면에서 달리 이해될 수 있음에서 시작하였습니다. 다시 말해, 형식적 계약자유는 그저 계약의 체결 여부와 내용 형성에서 법적 권능의 부여라는 의미를 갖는 반면, 실체적 자유는 계약체결의 의사결정에서 상대방 또는 외부의 방해로부터 자유로운 사실적 상태의 보장을 뜻한다고 이해하였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식적 계약정의는 바로 절차적 정의, 즉 양 당사자가 서로 합의를 도출하는 메커니즘을 뜻한다면, 이와 대비하여 실체적 정의는 계약의 내용이 당사자 의사에 선재(先在)하여 존재하는 객관적 기준, 즉 ‘정당한 가격’(iustum pretium)에 부합하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파악하였습니다.

위에서 말한 개념적 이해의 바탕 위에서, 본 논문은 그 고찰과정에서, 우리나라의 민법전 역시 다른 유럽의 근대민법전 전례가 그러하듯이, 형식적 계약 자유와 정의에 우선적 지위를 부여하고 있음을 밝혀내 보았습니다. 바로 이런 형식적 파악에 따라 발생하는 실질적 자유와 계약 공정의 보호에 관한 흠결을 보충하기 위하여 판례가 개별 제도의 법리내용을 실질적 내용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구체화하고 있다고 분석해 보았습니다. 즉, 판례는 동기의 착오에 대한 예외적 취소가능성, 계약체결 이전의 정보제공의무의 법관법적 형성을 통하여 사실적 계약자유의 확충을 시도해 왔습니다. 또한 계약공정의 확보를 위하여 판례는 특히 일반개념(가령 민법 제103조)의 구체화 과정에서 거래관념, 특히 양 당사자의 정당한 이익보장을 꾀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판례는 위에서 언급한 일반개념의 구체화 정도를 넘어서서 법률의 구체적 지침도 없는 상태에서 당사자의 자율적 내용을 통제할 권능을 발휘하지는 않으려고 한다고 분석해 보았으며, 바로 여기에서 계약법의 실질화 과정에서 일반 민법이 갖는 한계를 찾아 보았습니다. 그리고 특히 이 지점에서 공법 또는 법 이외의 사회제도가 고유하게 가능할 영역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주제어 공정사회, 계약자유, 계약공정, 형식적 계약자유, 사실상의 계약자유, 절차적 계약정의, 실질적 계약정의
다운로드

 김상중.pdf (719.6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339 2011 제11집 제4호 의료산업과 IT융합에 제약이 되는 법ㆍ제도 현황 및 발전방안모색 조형원 9173
338 2011 제11집 제4호 부가가가치세법상의 차등비례세율 도입에 관한 연구 조명연, 최경식, 조상진 9723
337 2011 제11집 제4호 자본시장법상 투자신탁 수익자총회의 문제점 검토 정준우 9948
336 2011 제11집 제4호 인도회사법상 주주권과 주주총회 정용상 8567
335 2011 제11집 제3호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와 개인의 보호청구권 조홍석 9553
334 2011 제11집 제3호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조영기, 김상태 9030
333 2011 제11집 제3호 국제협약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문화유산 보호 법제도의 과제 정상우, 정필운 8016
332 2011 제11집 제3호 공정한 재판을 위한 형사증거개시제도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주용기 9580
331 2011 제11집 제3호 2011년 상법개정에 따른 집행임원설치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고찰과 제언 임정숙 8932
330 2011 제11집 제3호 협력업체 종업원들에 대한 대기업의 스톡옵션 도입 필요성 이호선 8555
329 2011 제11집 제3호 조력자살과 형법 이주희 9658
328 2011 제11집 제3호 인격권의 법철학적 기초 양천수 8806
327 2011 제11집 제3호 국제계약규범에 있어서의 사정변경의 원칙에 관한 연구 김지석 9260
326 2011 제11집 제3호 전자약식절차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방안 양종모 9275
325 2011 제11집 제3호 금융분쟁조정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손영화 9308
324 2011 제11집 제3호 소년분류심사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문영희 9517
323 2011 제11집 제3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국가 교육지원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노기호 8760
322 2011 제11집 제3호 공정질서와 민사법의 역할:계약법을 중심으로 김상중 8985
321 2011 제11집 제3호 경찰상 불심검문을 위한 입법형식에 관한 연구 권배근 8638
320 2011 제11집 제3호 형사재판의 상소와 형사보상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2008-2011.6)에 대한 고찰 강동욱 8004
319 2011 제11집 제2호 공직선거법상 재외선거권에 관한 법정책적 검토 이부하 13336
318 2011 제11집 제2호 다문화적 인권의 가능성 양천수 13301
317 2011 제11집 제2호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제에 관한 고찰 송호영 10253
316 2011 제11집 제2호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관계등록과중혼문제해소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소성규, 손경식 9778
315 2011 제11집 제2호 학제간 문제로서 리스크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소고 김형섭 9453
314 2011 제11집 제2호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결정에 따른 제3자의 보호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김판기 9988
313 2011 제11집 제2호 골프장 산업의 구조와 경쟁 행태에 미치는 조세정책의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진국, 김주찬 9324
312 2011 제11집 제2호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문제점 김종세 9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