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3 발행호수 제13집 제3호 저자 양석완
자료명 항공물건운송인의 운송물 연착 책임에 관한 상법상 쟁점 연구
개요
≪국문요지≫
항공물건운송인의  손해배상액을  규정한  상법  제915조는  그  규정체계에서  보
나  이를  제한하는  정책적  이유에서  볼  때,  민법상  채무자의  손해배상액을  규정
한  민법  제393조에  대한  예외규정이라고  볼  수  있다.  항공물건운송인의  연착
(delay in delivery)으로 인한 손해배상액에 대하여 상법 ‘항공운송’편은 육상물
건운송인과 해상물건운송인의 경우와는 달리, 정액배상주의의 특칙을 두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연착에  따른  손해를  어떠한  조건과  어느  범위에서  배상하도록
할  것인지에  관하여  논의를  필요로  한다.
아울러, 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은 상법상 정액배상주의에 의한 책임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통상손해는 물론이고 특별사정으로 인한 특별손해까지도 포함되
는가, 여기에 영미법상의 예견가능성의 원칙은 전혀 고려되지 않는가 하는 의문
이  있다.  왜냐하면,  상법은  육상물건운송인과  해상물건운송인의  손해배상액에
관해  특칙을  두어  운송물의  멸실ㆍ훼손  또는  ‘연착’으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는
특약이  없으면  통상의  손해의  정도에  그치고,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에  대
하여는 운송인이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도 이를 배상할 책임이
‘없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착으로 인한 책임의 범위를 검토한 결과 통상손해는 없고, 특별손해
만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운송물 연착에 대한 항공운송인이 부담하는
손해배상책임은 통상손해 이외에 특별손해를 제외시켜 버린다면, 운송인은 연착
으로  인한  손해배상의무를  전혀  부담하지  않는  결과가  될  것이다.  이는  육상운
송과 해상운송에 있어서 정액배상주의에 의하여 운송인이 운송물품이 인도되어
야 할 곳 및 때에서의 시장가격과 그 이후 특정 장소에서 실제로 인도된 때의 시
장가격과의 차액이나마 통상손해로 배상해야 하는 것과 대조하면 지나치게 운송
인을  보호하는  결과가  된다.
생각건대, 특별사정으로 인한 특별손해는 예견가능성이 존재하는 한 운송인의
연착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본다.  항공운송  실무
는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는 운송인이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도 이를 배상할 책임이 ‘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요컨대, 운송물 연
착에 대한 항공운송인이 부담하는 손해배상책임은 통상손해는 본질적으로 그 범
위에  속하지  않는데다  예견가능한  특별손해마저  배상하지  않는다면,  상법  제
914조의  규정은  사문화된  규정으로서  그  존재의의를  상실할  것이다.
주제어 연착으로 인한 손해, 통상손해, 특별손해, 이익의 상실, 시장가치의
다운로드

 kalp13(3)_14_양석완.pdf (683.9K) [6]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451 2013 제13집 제4호 통일재원 마련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독일 통일재원의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손영화ㆍ이호용 8270
450 2013 제13집 제3호 항공물건운송인의 운송물 연착 책임에 관한 상법상 쟁점 연구 양석완 9495
449 2013 제13집 제3호 발명권 및 지식재산권의 귀속에 대한 대학연구자들의 이해 김미경 8956
448 2013 제13집 제3호 미국 해외부패방지법(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FCPA)에 따른 관할권의 역외적용 박선욱 10434
447 2013 제13집 제3호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의 재조명 김창규 9177
446 2013 제13집 제3호 프랑스 공공안전정책에서의 국가-지방자치단체간 협력적 지역 거버넌스 오승규 8646
445 2013 제13집 제3호 이혼가정 미성년자녀의 양육적정화를 위한 법정책적 연구 소성규ㆍ허태갑 9071
444 2013 제13집 제3호 원자력안전법에 의한 국제규제물자의 수출입허가: 법령 체계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김종숙 9000
443 2013 제13집 제3호 사회적 비용을 감소하기 위한 입법과 Incentive의 활용: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의 ‘담배꽁초회수법’ 제정 제안 가정준 8626
442 2013 제13집 제3호 부동산 거래안전을 위한 제도 정비방향 정우형 9067
441 2013 제13집 제3호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 강동욱 8171
440 2013 제13집 제3호 다중대표소송의 입법화에 관한 연구 이훈종 7863
439 2013 제13집 제3호 국민권익위원회의 위상 제고 방안:감사원과의 관계 정립을 소재로 김용훈 7757
438 2013 제13집 제3호 가상경제에서의 과세문제 윤현석 7377
437 2013 제13집 제3호 공공기관 단체협약의 효력이 주무장관의 승인을 조건으로 한 법률규정의 위헌성 이부하ㆍ강문성 8701
436 2013 제13집 제3호 최근 형법의 동향과 문제점:성폭력범죄 관련규정을 중심으로 이승현 8116
435 2013 제13집 제3호 경영판단행위에 대한 배임죄의 적용:중소기업사례를 중심으로 장성원 8360
434 2013 제13집 제3호 개정민법의 동향과 발전방향: 친권법 개정을 중심으로 최성경 8355
433 2013 제13집 제3호 2013년 상법개정안의 고찰과 합리적인 개정방안 송호신 7959
432 2013 제13집 제2호 배임죄의 양형기준과 구체적 사례에 있어서 형량의 문제점 박찬걸 10272
431 2013 제13집 제2호 해상‧ 항만에서의 테러행위규제에 대한 문제점과 대책 김태계 10184
430 2013 제13집 제2호 유럽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유럽과 독일의 법정책 서설 길준규 11827
429 2013 제13집 제2호 가칭 항만물류안전 및 보안에 관한 법률(안) 제정의 필요성과 주요내용: 항만물류안전을 중심으로 권기훈 9670
428 2013 제13집 제2호 항만물류보안관리 시스템의 체계화 및 일원화 방안 강재영 9732
427 2013 제13집 제2호 회생절차폐지 결정이 있는 경우의 임금채권보장법의 개선방안 이희성ㆍ이세주 9922
426 2013 제13집 제2호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국가공론위원회법 제정에 관한 연구 이호용 9343
425 2013 제13집 제2호 Environmental Governance in Korea: The Case of Air Pollution Management (한국의 환경 거버넌스: 대기오염관리정책을 중심으로) 윤이숙(Esook YOON)ㆍ안성경(Sun-Kyung AHN) 9494
424 2013 제13집 제2호 신 사회위험 대응 전략으로서 복지정책 방향 전환의 타당성 검토 : 「사회보장기본법」을 중심으로 서정희 9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