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4 발행호수 제14권 제3호 저자 변무웅
자료명 독일의 공법상 사단: 법정책적 활용을 위한 비교법학적 고찰
개요 ≪국문요지≫
이 논문에서는 독일의 공법상 사단을 살펴보았다. 다만 지역형 사단인 지방자
치단체는 제외하고 기타 공법상 사단 즉 기능형 사단만을 개괄적으로 다룬 것이
다. 이른바 기능형 자치행정은 공법상 사단의 영역 중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
지만 이 영역에서 종래 전통적으로 이를 민법상 조직형식에 따라 분류해야 한다
는 논의와 최근에 기능성 관점에 따라 분류해야 한다는 논의가 절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공법적  규율이라는  관점에서  어떤  제한이나  활동범위를  설정하는
데 민법상 조직형식의 논리보다 기능형 사단의 개념은 비교적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민법적  조직형식에  따른  법리  자체를  전면적으로  무시할  수
는  없는  것이다.  게다가  기능형  공법상  사단은  그  존재범위나  성립형식이  워낙
다양하여  저마다  고유한  법적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단순한  기능형이라는  개념
만으로  각  영역의  모든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측면의 공법상 사단에 관한 논의를 확실하게 전개하자면 역
사적  고찰을  통해  적절한  논의기반의  절충적  공통분모를  구체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독일에서  공법상  사단의  기원을  추적하면  영주에  대한  상공인  계층의  거주지역인  도시가  자신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설의  하나로  확립된 것이었
다. 역사적으로 국가체제가 변천함에 따라 공법상 사단의 평가적 지위도 달라지
는  양상을  보였다.
오늘날  공법상  사단은  인적  결합체이기는  하나  자격의  요건에  따라  수자원관
리와  같은  물적  요소를  근거로  성립된  사단도  있고  인적  요소를  근거로  사단이
성립되기도 한다. 심지어 사회적 보험 역시 공법상 사단에 넣을 수 있다. 이렇게
유형별로  기타  공법상  사단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공법상 사단은 국가기관은 아니면서 공법적 권한을 행사한다는 측면에 착안하
여  조직과  활동  양  쪽  방향으로  헌법상  민주주의  원리에  의거해서도  통제할  가
능성이  열려  있다.  이에  관한  독일의  판례를  하나  예시적으로  다루었다.
결론적으로 공법상 사단의 분석에는 조직형식과 기능성이라는 두 개의 기준은
일정하게  절충적으로  활용해야  그  기반 위에  구체적 영역에서  역사적으로  형성
된  내용과  법적  기준에  의거하여  해석한  결과를  조화롭게  인식할  수  있다고  평
가한다.  물론  입법자  역시  민주주의의  주권원리  및  기타  헌법과  헌법적  원리의
통제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주제어 공법상 사단, 조직형식, 기능형 자치행정, 지역사단, 헌법적 통제
다운로드

 kalp14(3)_3-3-변무웅.pdf (2.4M) [0]

 
 

연도선택:
   
자료등록 1,039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535 2014 제14권 제4호 독일민법상 임대인의 임차주택에 대한 에너지 효율적 개량조치 이도국 9205
534 2014 제14권 제4호 공동불법행위의 책임분배와 시장점유율 책임이론 윤익준 9145
533 2014 제14권 제4호 아세안 국가의 회사법상 회사의 설립 정용상 8550
532 2014 제14권 제4호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봉영준 8882
531 2014 제14권 제4호 일본 토양오염대책법상 오염토양의 반출 규제와 법정책적 시사점 김상태_박종원 8649
530 2014 제14권 제4호 마약 투약사범의 공소사실 특정 예상균 8835
529 2014 제14권 제4호 변화하는 형사재판 환경에서의 형사증거법의 역할과 과제 사실 인정자의 편견을 배제하기 위한 형사증거법상 제… 이성기 8609
528 2014 제14권 제4호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가해학생 조치에 관한 비판적 검토 문영희 8250
527 2014 제14권 제4호 기초 지방선거에 있어서 정당공천제에 관한 인식을 통한 법·정책적 연구 안진한_김택 8164
526 2014 제14권 제4호 사물인터넷(IoT)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정원준 9397
525 2014 제14권 제4호 민법상 “중개계약” 규정 신설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 김영국 9046
524 2014 제14권 제4호 지하공간의 이용과 토지소유권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김판기 8874
523 2014 제14권 제4호 식품안전문제에 있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실효적 방안과 법적 고찰 김형섭 8581
522 2014 제14권 제4호 개정 국제개발협력기본법에 대한 평가와 법정책적 과제 이경민·임현 8490
521 2014 제14권 제4호 지적재조사사업에 의한 소유권의 양적변화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박진근 8068
520 2014 제14권 제4호 한중FTA와 반덤핑(韩·中自由贸易协定(FTA)和反倾销) 이호용 8037
519 2014 제14권 제4호 공정사회 실현을 위한 전제로서의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노기호 9081
518 2014 제14권 제4호 발달장애인에 대한 고등교육의 특성화 방안 조성혜 8742
517 2014 제14권 제4호 후견계약의 체계와 과제 박득배 8319
516 2014 제14권 제4호 청정 지하저수지 개발ㆍ이용을 위한 토지소유권 관념의 재검토 손정은·심영규·최재규 8352
515 2014 제14권 제3호 성년후견인 양성교육의 실태와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최윤영·이용표·박인환 8821
514 2014 제14권 제3호 경쟁사업자의 사업제휴와 반트러스트법 천성권 11187
513 2014 제14권 제3호 기업내부통제의 개선을 위한 법제도의 정비 송호신 12049
512 2014 제14권 제3호 비정규직 보호규제의 현실과 법의역할 조규식ㆍ노정휘 8455
511 2014 제14권 제3호 국제스포츠법에 관한 소고 김태동 9931
510 2014 제14권 제3호 사이버테러 범죄 대응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과 대책 김태계 10670
509 2014 제14권 제3호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제한에 관한 연구 이훈종 8470
508 2014 제14권 제3호 독일의 공법상 사단: 법정책적 활용을 위한 비교법학적 고찰 변무웅 7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