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9 발행호수 제19권 제3호 저자 조원용
자료명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개요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Direction of Improvement of Legal System Related to Unification: Focusing on Nation, State, Country and Republic
 조 원 용(Won-Yong CHO)**


우리는 대한민국이라는 민주공화국 법공동체에서 살고 있다. 공화국은 생래적 조국과는 다르게 인공적인 개념이다. 공화국은 생래적으로 주어지는 조국과는 다르게 공화국의 핵심 가치관에 동의하고 국익과 공익을 발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후천적 조국이다. 1948년 정부수립이후 대한민국이라는 민주공화국은 헌법의 핵심 가치, 양보할 수 없는 사회적 핵심 가치들을 만들어내고 지켜왔다. 한 단어로 요약하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그것이다. 세상은 복잡하게 얽혀 돌아가는 유기체다. 어떠한 사회적 현상을 진리 혹은 진실이라 단정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대부분의 기성세대 국민들은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우리는 통일은 절대선이라는 명제 하에서 살아왔다. 통일을 부정하는 세력은 반통일 세력이며 민족의 반역자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제 왜 통일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과연 우리가 원하는 것이 통일이라는 답인가 아니면 통일을 통한 한반도의 평화인가를 생각해보면서 통일만이 유일한 정답이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통일과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 있는 개념이 민족이다. 민족을 강조하면 통일을 주장하고 통일을 주장하게 되면 언제나 그 마지막에는 민족이 나온다. 민족이 아닌 법공동체라는 국가를 기준으로 통일을 바라보면 1민족, 2국가 체제를 인정해야 한다. 헌법 제3조의 영토조항에 의거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은 미수복 지역이 되고 거기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대한민국의 국민이 된다. 그러나, 이미 북조선은 국가다.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헌법재판소와 대법원도 북한지역을 외국에 준하는 지역으로, 북한주민 등을 외국인에 준하는 지위에 있는 자로 규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북조선이 외국이 되면 남한과 북조선은 국가 대 국가라는 1:1의 관계로 재정립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통일’이 당위가 아니라 ‘평화’가 당위가 되고 통일은 선택지로 남게 된다. 헌법과 법률 그리고 남북 경제교류와 협력의 목적도 통일을 벗겨내면 평화가 보이게 된다. 통일을 정답이 아닌 선택지 중 하나로 만들어주는 것이 기성세대가 미래세대에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배려다. 이제 민족이라는 뜬구름을 버리고 대한민국이라는 민주공화국의 국익과 국민의 행복, 한반도의 평화를 취할 때이다.
주제어 통일, 평화, 조국과 공화국, 민족과 국가, 민주공화국, 자유민주주의, 근대
다운로드

 06.조원용(법정책학회 201909최종본) 출판본(1001).pdf (398.2K) [2]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966 2023 제23권 제2호 독일의 혁신 원천기술 지원 법체계에 관한 소고 김형섭 484
965 2023 제23권 제1호 기간의 정함이 없는 형성권의 제척기간 정다영 701
964 2023 제23권 제1호 상속인 아닌 보험수익자가 생명보험금을 수령한 경우 상속인의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 결정에 관한 민법 및 보… 김판기,홍진희 650
963 2023 제23권 제1호 생명윤리와 연구대상자 보호 손영화 670
962 2023 제23권 제1호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 687
961 2023 제23권 제1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을 위한 탐정의 역할 제고 방안 최문환, 강동욱 701
960 2023 제23권 제1호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658
959 2023 제23권 제1호 프랑스 환경헌장의 의의와 역할 김지영 660
958 2023 제23권 제1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권순호 704
957 2023 제23권 제1호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792
956 2022 제22권 제4호 임원배상책임보험과 화해 이기욱 951
955 2022 제22권 제4호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조세정책 개선방안 - 미국 조세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희, 윤현석 968
954 2022 제22권 제4호 상업지역 내 주거 일조권의 사전적 보호 김지석 973
953 2022 제22권 제4호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과 규제에 관한 고찰 박세양 1076
952 2022 제22권 제4호 신기능주의 통합이론에서 본 남북한 교류협력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분권형 대북정책’ 정병화, 정계현, 조곽규 984
951 2022 제22권 제4호 우리나라 상병수당제도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 독일 질병수당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윤진아 909
950 2022 제22권 제4호 통합적 화학물질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입법론 박종원 952
949 2022 제22권 제4호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의 법적 효력 ?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해석을 중심으로 - 노기호 1015
948 2022 제22권 제4호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조직권 보장을 위한 법정책적 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진 953
947 2022 제22권 제4호 자치재정권 확대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오승규 920
946 2022 제22권 제3호 블록체인과 분산신원증명 - 주식회사 주주소외 개선방안 검토와 함께 - 성승제 1131
945 2022 제22권 제3호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하여 총수익스왑계약을 체결한 경우 이사의 책임에 관한 판례 평석 - 고등법원 2019. 9. 26. 선… 이훈종 1151
944 2022 제22권 제3호 DCFR의 매매계약상 위험이전 이종덕 1105
943 2022 제22권 제3호 가격조정조항에 대한 독일법과의 비교 연구(Ⅰ) - 서울중앙지법 2016. 10. 6. 선고 2014가단5221992 판결과 인천지법 2017… 박신욱 1083
942 2022 제22권 제3호 탐정의 개인정보 관련 업무의 합리적 수행을 위한 입법 방안 윤현종, 강동욱 1160
941 2022 제22권 제3호 추상적 아이디어가 결합된 SW발명의 성립성 판단과 쟁점 권지현 1083
940 2022 제22권 제3호 형사제재의 행정법적 제재로의 전환 박재평 1086
939 2022 제22권 제3호 EU의 클라우드컴퓨팅 관련 입법 정책 연구 최정윤, 김형섭 1054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