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4호 저자 조성혜
자료명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개요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Wegeunfall und Schadensregulierung zwischen Unfallversicherung
und Kfz-Versicherung bei Verkehrsunfällen in Deutschland

조 성 혜(Sung-Hae CHO)**

2018. 1. 1.부터 우리나라에도 출퇴근재해가 도입된다. 개정 산재보험법은 사
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의 지
배관리하에서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 외에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
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고 있다(제37조 제1항 제3호 나
목). 다만 “출퇴근 경로 일탈 또는 중단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일탈 또는 중단
중의 사고 및 그 후의 이동 중의 사고”는 출퇴근재해로 인정되지 않는다(법 제
37조 제3항). 출퇴근재해가 도입될 경우 예상되는 가장 복잡한 문제는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에 의한 출퇴근과 경로 일탈 또는 중단이 무엇이냐 여부일 것이다.
나아가 출퇴근재해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교통사고 시 자동차보험과 재해
보험 간의 비용 분담이라고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출퇴근재해를 이미 오래 전에 도입한 독일의 경우 이 부분에
대하여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독일 재해보험의 근거
법인 사회법전 제7권(Sozialgesetzbuch: SGB Ⅶ)은 출퇴근재해를 자택과 직장
과의 직접적인 경로에서 발생한 재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밖에 출퇴근 도중
자녀를 다른 보호인 또는 보육시설에 맡기던 중 발생한 사고나 동료와의 카풀
도중 발생한 사고도 출퇴근재해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출퇴근길에 사적인 용
무를 보기 위해 직접적인 경로를 일탈한 사이 발생한 사고는 출퇴근재해로 인정
하지 않는다.
독일법은 출퇴근재해 시 피해자가 가해자(자동차보험)에 대하여 손해배상청구
권을 행사하는 대신 곧바로 재해신고를 하도록 하고 있다. 동시에 피해근로자가
가해자에게 갖는 손해배상청구권은 재해보험조합으로 이전되고, 재해보험조합
은 피해근로자의 자동차보험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취득한다(산재보험
에 대한 우선청구권).
다만 실무에서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손해액과 당사자의 과실 여부 등의
조사로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재해보험조합과 자동차보험이
비용분담협약(Teilungsabkommen)을 체결하여 상호 비용을 분담하고 있다. 비
용분담협약은 재해보험조합과 자동차보험간 손해비용의 분담에 관한 포괄적 합
의로, 협약 당사자의 분담비율은 그 동안 축적된 통계를 기초로 대략 40-60%
내외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출퇴근재해가 도입될 경우 출퇴근의 통상적 경로와 그 경로의
일탈, 교통사고 발생 시 손해액, 과실 여부 및 근로복지공단과 자동차보험 간의
비용 분담을 둘러싼 다툼이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독일
의 출퇴근재해에 관한 법규정과 판례는 출퇴근재해의 도입 후 예상되는 논란들
에 대한 이정표로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특히 실무에
서 자동차보험과 재해보험조합이 체결하는 비용분담협약은 매우 효율적인 손해
조정방안으로 보인다.
비용분담협약과 유사한 손해조정방안이 우리나라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 여부
는 자동차보험과 산재보험 간 손해액 분담과 조정에 관한 통계가 어느 정도 축
적된 이후에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만일 통계상 손해분담비율이
일정 수준으로 나올 경우에는 자동차보험과 산재보험 간 비용분담협약을 체결하
는 것도 합리적한 방안이라고 본다.
주제어 출퇴근재해, 손해의 조정, 업무상재해, 산재보험, 자동차보험, 비용분담협약
다운로드

 04.조성혜.pdf (427.0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26 2020 제20권 제2호 현행 조세범 처벌제도의 개선방안 윤현석 5946
825 2020 제20권 제2호 정당의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이부하 5358
824 2020 제20권 제2호 정보경찰 개혁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정보경찰개혁 입법안을 중심으로 - 송무빈 5719
823 2020 제20권 제2호 의약외품의 안전성 규제와 법정책적 과제 박재윤, 김형섭 5244
822 2020 제20권 제2호 식품접촉재료의 규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 플라스틱 재료를 중심으로 - 조태제 5254
821 2020 제20권 제1호 반려동물의 매매계약 당사자의 자격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김판기.홍진희 7144
820 2020 제20권 제1호 정신질환자 위기관리체계의 이중구속 상황과 입법과제 이용표.박인환 6800
819 2020 제20권 제1호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의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도입ㆍ운용을 위한 법정책적 연구 이동영.최경호.심영규 6654
818 2020 제20권 제1호 교육공무원의 직무적 특성에 따른 「교육공무원법」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노기호 6682
817 2020 제20권 제1호 포괄임금제와 근로시간의 기록ㆍ관리 김기선 6589
816 2020 제20권 제1호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성 검토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효근 6620
815 2020 제20권 제1호 공여국의 이행문제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 오스트롬의 규범분류에 따른 호주와 한국의 ODA 법제 비교 - 이지선 6211
814 2020 제20권 제1호 독일의 블록체인 정책 및 신연방전략에 관한 소고 김형섭 7075
813 2020 제20권 제1호 사법상 환경책임과 공법상 환경책임 - 한·독 법비교를 바탕으로 한 환경훼손책임법 입법론 - 김현준 6552
812 2020 제20권 제1호 독일 경찰제도의 현황과 당면문제 윤진아 7582
811 2020 제20권 제1호 남중국해 중재판결에 대한 재조명 - 중국정부의 입장문건(立?文件)을 중심으로 - 류예리 6479
810 2019 제19권 제4호 정신질환자에 의한 ‘묻지마범죄’의 실태와 대책방안*- 정신건강복지법상 입원제도를 중심으로, 일선 경찰관의… 김한중,강동욱 6112
809 2019 제19권 제4호 농지법상 농지제도의 운영상 몇 가지 고찰 김종세 6234
808 2019 제19권 제4호 초연결사회에서 합리적 규제완화 방안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최정윤,김형섭 6342
807 2019 제19권 제4호 전통시장의 화재보험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박창욱,윤창술 5981
806 2019 제19권 제4호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 따른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한성훈 5340
805 2019 제19권 제4호 모자보건법상 낙태가능결정기간 도입과 부양비 배상 -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 봉영준 6041
804 2019 제19권 제4호 기업집단의 운영과 자회사 개별 법인격 원칙의 수정에 관한 연구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지광운 5964
803 2019 제19권 제4호 '국민선거권' 논의의 2가지 기준: ‘연령’과 ‘의사능력’ 조원용 5424
802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에 헌법적 검토 신정규 5901
801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정정원 5428
800 2019 제19권 제4호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강지명 5440
799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과 한국법정책학회 20년 회고 조형원 532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