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4호 저자 조성혜
자료명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개요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Wegeunfall und Schadensregulierung zwischen Unfallversicherung
und Kfz-Versicherung bei Verkehrsunfällen in Deutschland

조 성 혜(Sung-Hae CHO)**

2018. 1. 1.부터 우리나라에도 출퇴근재해가 도입된다. 개정 산재보험법은 사
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의 지
배관리하에서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 외에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
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고 있다(제37조 제1항 제3호 나
목). 다만 “출퇴근 경로 일탈 또는 중단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일탈 또는 중단
중의 사고 및 그 후의 이동 중의 사고”는 출퇴근재해로 인정되지 않는다(법 제
37조 제3항). 출퇴근재해가 도입될 경우 예상되는 가장 복잡한 문제는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에 의한 출퇴근과 경로 일탈 또는 중단이 무엇이냐 여부일 것이다.
나아가 출퇴근재해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교통사고 시 자동차보험과 재해
보험 간의 비용 분담이라고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출퇴근재해를 이미 오래 전에 도입한 독일의 경우 이 부분에
대하여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독일 재해보험의 근거
법인 사회법전 제7권(Sozialgesetzbuch: SGB Ⅶ)은 출퇴근재해를 자택과 직장
과의 직접적인 경로에서 발생한 재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밖에 출퇴근 도중
자녀를 다른 보호인 또는 보육시설에 맡기던 중 발생한 사고나 동료와의 카풀
도중 발생한 사고도 출퇴근재해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출퇴근길에 사적인 용
무를 보기 위해 직접적인 경로를 일탈한 사이 발생한 사고는 출퇴근재해로 인정
하지 않는다.
독일법은 출퇴근재해 시 피해자가 가해자(자동차보험)에 대하여 손해배상청구
권을 행사하는 대신 곧바로 재해신고를 하도록 하고 있다. 동시에 피해근로자가
가해자에게 갖는 손해배상청구권은 재해보험조합으로 이전되고, 재해보험조합
은 피해근로자의 자동차보험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취득한다(산재보험
에 대한 우선청구권).
다만 실무에서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손해액과 당사자의 과실 여부 등의
조사로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재해보험조합과 자동차보험이
비용분담협약(Teilungsabkommen)을 체결하여 상호 비용을 분담하고 있다. 비
용분담협약은 재해보험조합과 자동차보험간 손해비용의 분담에 관한 포괄적 합
의로, 협약 당사자의 분담비율은 그 동안 축적된 통계를 기초로 대략 40-60%
내외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출퇴근재해가 도입될 경우 출퇴근의 통상적 경로와 그 경로의
일탈, 교통사고 발생 시 손해액, 과실 여부 및 근로복지공단과 자동차보험 간의
비용 분담을 둘러싼 다툼이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독일
의 출퇴근재해에 관한 법규정과 판례는 출퇴근재해의 도입 후 예상되는 논란들
에 대한 이정표로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특히 실무에
서 자동차보험과 재해보험조합이 체결하는 비용분담협약은 매우 효율적인 손해
조정방안으로 보인다.
비용분담협약과 유사한 손해조정방안이 우리나라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 여부
는 자동차보험과 산재보험 간 손해액 분담과 조정에 관한 통계가 어느 정도 축
적된 이후에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만일 통계상 손해분담비율이
일정 수준으로 나올 경우에는 자동차보험과 산재보험 간 비용분담협약을 체결하
는 것도 합리적한 방안이라고 본다.
주제어 출퇴근재해, 손해의 조정, 업무상재해, 산재보험, 자동차보험, 비용분담협약
다운로드

 04.조성혜.pdf (427.0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82 2021 제21권 제2호 해양바이오산업 규제와 법정책적 과제 최석문 박종원 3007
881 2021 제21권 제2호 규제샌드박스 도입 및 실행에 대한 법적 연구 - 공무원의 역할 및 책임을 중심으로 - 최정윤 2987
880 2021 제21권 제2호 국민연금기금의 주주권 행사 체계에 관한 검토 ? ESG 관련 기업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 장윤제 2881
879 2021 제21권 제2호 콘텐츠분쟁의 국제상사조정을 통한 해결에 관한 연구 오현석 2941
878 2021 제21권 제2호 전동킥보드 보험에 관한 법적 고찰 박준선 2986
877 2021 제21권 제2호 가상자산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이희종 2975
876 2021 제21권 제2호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규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이연임 2995
875 2021 제21권 제2호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책임의 재검토 이원해 3058
874 2021 제21권 제2호 회사법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이형규 3129
873 2021 제21권 제1호 인공지능과 전자인(Electronic Person) - 독자적 법인격 부여 가능성을 중심으로 - 이 도 국 3672
872 2021 제21권 제1호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입법안에 관한 법정책 소고 김 영 국 3704
871 2021 제21권 제1호 스마트계약의 계약법적 쟁점과 과제 최 현 태 3611
870 2021 제21권 제1호 중국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의 동향 -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비교 - 윤 현 석 3548
869 2021 제21권 제1호 개정 전자문서법상 블록체인 기술 관련 쟁점 고찰 정 규 3628
868 2021 제21권 제1호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법정책적 과제 박 진 아, 최 성 환 3596
867 2021 제21권 제1호 이민기금의 설치, 관리 등에 관한 정책안 김 종 세 3615
866 2021 제21권 제1호 소비자정책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박 성 용 3381
865 2021 제21권 제1호 공무원의 행정법상 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 정 윤, 김 형 섭 3577
864 2021 제21권 제1호 ‘모든 국민’이라는 허구적 보편성: 코로나19 재난지원금에서 외국인 배제에 관한 국제인권법적 비판 김 지 혜 3564
863 2021 제21권 제1호 근로관계에서 전자문서의 서면으로서의 효력 - 우리나라와 독일을 중심으로 - 김 기 선 3580
862 2021 제21권 제1호 평생교육의 내용과 평생교육법의 개선방안 이 부 하 3704
861 2021 제21권 제1호 금강산국제관광특구와 라선경제무역지대 노동복지 비교: 노동규정을 중심으로 이 철 수 3549
860 2021 제21권 제1호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CPTPP)에서의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규제에 관한 연구 류 예 리 3807
859 2021 제21권 제1호 일본 저작권등관리사업법의 검토 및 시사점 강 기 봉, 김 상 태 3691
858 2021 제21권 제1호 명예훼손죄에 있어 공연성의 개념 - 대법원 2020.11.19. 선고 2020도5813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김 재 중, 이 훈 3676
857 2020 제20권 제4호 디지털 시대의 도래에 따른 유언방식에 대한 소고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필유언을 중심으로 - 이종덕 4434
856 2020 제20권 제4호 남북경협의 활성화의 전제로써 개성공단 전면중단으로 인한 손해의 전보 가능성에 대한 연구 박신욱, 조재욱 4477
855 2020 제20권 제4호 농어촌상생협력기금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진, 김지석, 김성록 435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