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2호 저자 조원용
자료명 테러방지법의 입법과정에서 행해진 무제한토론에 대한 헌법학적 고찰
개요

테러방지법의 입법과정에서 행해진 무제한토론에 대한 헌법학적 고찰

A Contemplation on unlimited debate in the process of anti-terrorism law legislation

조 원 용(Won-Yong CHO)*


19대 국회기 말인 20162월 우리는 무제한 토론이라는 국회법상 제도의 실현을 목도했다. ‘테러방지법입법과정에서 행해진 무제한 토론은 191시간동안 지속되었고 전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학자들과 언론은 우리 국회법상 무제한 토론을 미국의 필리버스터(filibuster)와 동일한 제도로 소개하거나 아예 무제한 토론이 아닌 필리버스터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필리버스터와 우리의 무제한 토론은 다르다. 미국의 필리버스터는 명문의 규정에 의하여 인정되는 제도가 아니지만 우리의 무제한 토론은 국회법이라는 명문의 법률에 의해 인정되는 제도이다. 따라서, 무제한 토론 관련 입법과정을 분석해 입법의 목적을 적실히 밝히고 그 입법목적을 중심으로 테러방지법 입법과정에서 실현된 무제한 토론을 헌법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테러방지법 관련 무제한토론은 의회의 다수당의 일방적인 법률안 상정과 처리에 맞서 의회의 소수당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무제한 토론은 국회 입법과정의 효율성이나 다수가 지배하고 의회 다수세력의 의도대로 의사가 결정되어 진다는 민주주의(demos+cracy)다수정’(majority-rule)의 원리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제한 토론이 인정되는 이유는 대의제 의회의 숙의’(deliberation)의 강화를 위해서이다. 이것이 국회법상 인정되는 무제한 토론의 입법목적이고 더 나아가 무제한토론이 헌법학상 인정되는 이유이다. 따라서, 무제한토론이 소위 보여주기식 정치 이벤트에 그친다면 오히려 무제한토론의 입법목적을 왜곡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19대 국회기 말 이루어진 무제한 토론은 국민들에게 감동과 희망을 주었다고 평가된다. 수 십 시간 동안 서서 반대토론을 이어가는 소수자들의 모습에 국민들은 테러방지법에 집중하고 비판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그 뿐이었다. 당시 소수자들이 주장대로 엄청난 문제점을 내포한 테러방지법은 당시 소수자가 다수자가 된 후 1년여가 지난 현 시점에서 단 한 건의 일부개정법률안도 발의되지 않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변두리 법이 되었다.

무제한 토론은 소수자 보호를 위한 제도이지만, 소수자 보호의 목표는 소수의 선호가 다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문제이고 이를 통한 국회입법과정의 목표는 개별 국회의원들의 양심에 따른 공공의 이익이어야 한다. 다수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되는 대의제 합의제 의사결정 기구인 국회에서 소수자 보호가 필요한 이유는 의사일정의 방해가 아니라 소수자의 의견 개진을 통해 소수가 다수가 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우리는 2012년에 무제한 토론이라는 제도를 명문으로 만들었고 2016년에 처음으로 운영해봤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실제 제도 운영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고치고 장점을 극대화 하여 소모적인 무제한 토론이 아닌 생산적인 무제한 토론이 되도록 하는 반성적 성찰이다.


주제어 필리버스터, 무제한토론, 숙의민주주의, 선호의 변경, 본회의 수정안
다운로드

 03.조원용.pdf (422.4K) [0]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826 2020 제20권 제2호 현행 조세범 처벌제도의 개선방안 윤현석 5811
825 2020 제20권 제2호 정당의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이부하 5242
824 2020 제20권 제2호 정보경찰 개혁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정보경찰개혁 입법안을 중심으로 - 송무빈 5589
823 2020 제20권 제2호 의약외품의 안전성 규제와 법정책적 과제 박재윤, 김형섭 5129
822 2020 제20권 제2호 식품접촉재료의 규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 플라스틱 재료를 중심으로 - 조태제 5135
821 2020 제20권 제1호 반려동물의 매매계약 당사자의 자격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김판기.홍진희 7001
820 2020 제20권 제1호 정신질환자 위기관리체계의 이중구속 상황과 입법과제 이용표.박인환 6658
819 2020 제20권 제1호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의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도입ㆍ운용을 위한 법정책적 연구 이동영.최경호.심영규 6509
818 2020 제20권 제1호 교육공무원의 직무적 특성에 따른 「교육공무원법」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노기호 6552
817 2020 제20권 제1호 포괄임금제와 근로시간의 기록ㆍ관리 김기선 6471
816 2020 제20권 제1호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성 검토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효근 6480
815 2020 제20권 제1호 공여국의 이행문제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 오스트롬의 규범분류에 따른 호주와 한국의 ODA 법제 비교 - 이지선 6082
814 2020 제20권 제1호 독일의 블록체인 정책 및 신연방전략에 관한 소고 김형섭 6933
813 2020 제20권 제1호 사법상 환경책임과 공법상 환경책임 - 한·독 법비교를 바탕으로 한 환경훼손책임법 입법론 - 김현준 6422
812 2020 제20권 제1호 독일 경찰제도의 현황과 당면문제 윤진아 7434
811 2020 제20권 제1호 남중국해 중재판결에 대한 재조명 - 중국정부의 입장문건(立?文件)을 중심으로 - 류예리 6345
810 2019 제19권 제4호 정신질환자에 의한 ‘묻지마범죄’의 실태와 대책방안*- 정신건강복지법상 입원제도를 중심으로, 일선 경찰관의… 김한중,강동욱 5989
809 2019 제19권 제4호 농지법상 농지제도의 운영상 몇 가지 고찰 김종세 6116
808 2019 제19권 제4호 초연결사회에서 합리적 규제완화 방안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최정윤,김형섭 6229
807 2019 제19권 제4호 전통시장의 화재보험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박창욱,윤창술 5868
806 2019 제19권 제4호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 따른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한성훈 5233
805 2019 제19권 제4호 모자보건법상 낙태가능결정기간 도입과 부양비 배상 -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 봉영준 5933
804 2019 제19권 제4호 기업집단의 운영과 자회사 개별 법인격 원칙의 수정에 관한 연구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지광운 5838
803 2019 제19권 제4호 '국민선거권' 논의의 2가지 기준: ‘연령’과 ‘의사능력’ 조원용 5322
802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에 헌법적 검토 신정규 5791
801 2019 제19권 제4호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정정원 5320
800 2019 제19권 제4호 게임과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교정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강지명 5333
799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과 한국법정책학회 20년 회고 조형원 521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