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7 발행호수 제17권 제1호 저자 윤진아
자료명 어린이용품에서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에 관한 연구
개요

어린이용품에서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에 관한 연구*

Über das System der Regulierung von EDCs in Produkten für Kinder

윤 진 아(Jin-Ah YOON)**



2011가습기 살균제사건 이후 어린이용 물티슈, 섬유탈취제, 방향제, 치약, 화장품, 영수증 등 여러 생활용품에서 검출되는 유해 화학물질이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신문기사는 유명 회사에서 출시하는 유아·아동용 제품들에서 유해물질이 과다 검출되었다고 보도하였다. 특히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어린이용 모자, 단화, 욕실화 등에서 적게는 기준치의 162, 많게는 442.8배나 검출되었다는 기사는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우리는 이미 1990년대에 일명 환경호르몬이라 불리는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유해성 논란을 경험하였다. 플라스틱, 살충제, 세제, 컵라면 용기, 금속 캔의 내부 코팅소재 등에서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광범위하게 발견되기 시작했고, 이 물질들이 생물체 내에 흡수되어 호르몬이 관여하는 내분비계에 혼란을 일으킨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후 내분비계 교란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이 물질들의 규제방안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나라마다 유해성을 인정하는 기준이 달리 설정되어 규제의 목록과 강도는 나라별로 차이가 난다. 세계적으로 합의된 내분비계 교란물질 목록은 아직도 존재하지 않지만, 각 나라마다 특정 물질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여 가는 경향은 분명히 드러난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규제에서는 개별 물질의 사용을 규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이 물질들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공산품을 규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제까지는 주로 성인을 기준으로 만든 화학물질 및 관련 제품의 관리기준을 갖고 있어, 화학물질 노출에 더욱 취약하고 위험 대처 능력도 미흡한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성인 기준으로 설정된 일반 공산품과는 구별되는 유아나 아동에 맞는 기준 마련을 위해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여러 법에서 산발적으로 규제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관리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했다.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을 통해 유해물질, 특히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규제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어떻게 규제되고 있으며, 이 물질들이 제품 생산에 있어서, 특히 어린이용품 생산에 있어서 어떻게 규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규제는 계속적 연구를 통해 그 유해성이 밝혀지면 그 생산 및 사용의 규제 강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물질의 유해성이 입증된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 다른 물질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U지침에서 볼 수 있듯이 제품의 생산과 관련한 규제는 수입과 수출과 관련한 문제와도 직결되어 있어 제3국에도 영향을 미친다. EU지침은 지침이 정하는 기준을 충족시킨 상품에만 CE표시를 붙이도록 하고 있고, 이 표시가 없는 상품은 유럽시장에 반입 및 판매할 수 없도록 정해 놓고 있다. 이러한 규정들은 우리의 규제기준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


주제어 내분비계 교란물질, 어린이제품, 유해화학물질, 안전기준,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 가소제
다운로드

 03.윤진아(수정).pdf (424.6K) [1]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798 2019 제19권 제3호 법정책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나아갈 방향 송호신 6233
797 2019 제19권 제3호 경기북부지역의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최대호 5674
796 2019 제19권 제3호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김현귀 5194
795 2019 제19권 제3호 낙태죄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의 법정책적 검토 남복현 5501
794 2019 제19권 제3호 통일 관련 법제 개선 방향: 민족과 국가 그리고 조국과 공화국을 중심으로 조원용 6105
793 2019 제19권 제3호 사회과학의 지식융합과 법정책에 관한 소고 최정윤 6283
792 2019 제19권 제3호 유럽사회헌장(ESC)과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에 관한 소고: 사회적 권리에 관한 유럽위원회(ECSR)의 해… 박정원 5541
791 2019 제19권 제3호 교정시설 과밀수용의 해소를 위한 가석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한 6180
790 2019 제19권 제3호 애널리스트의 이익충돌규제 – EU 금융상품시장지침을 중심으로 이기욱 5503
789 2019 제19권 제3호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소성규 5759
788 2019 제19권 제3호 가상화폐의 과세문제 윤현석 6455
787 2019 제19권 제3호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에서 매도인의 조기 인도 및 초과 인도 이도국 5607
786 2019 제19권 제3호 민사소송절차에서 전자문서의 신뢰성 확보에 관하여 - 일본과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신욱, 이덕훈 5963
785 2019 제19권 제3호 경제조항 개헌론 회고와 경제구조의 향방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성승제 4824
784 2019 제19권 제3호 우리나라 도시재생 뉴딜사업 관련 법정책의 방향 성중탁 5430
783 2019 제19권 제3호 난민법 개정방향과 강제송환금지원칙 노동영 5812
782 2019 제19권 제3호 정신장애인의 인권보호를 위한 강박조치의 법적 정당성 확보 필요성 박득배 4127
781 2019 제19권 제3호 입장권재판매 규제법제의 현황과 입법정책적 검토 최유,권채리,석호영 4230
780 2019 제19권 제3호 환경손해의 공․사법적 구제에 관한 연구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정다영 4179
779 2019 제19권 제2호 국회의원 선거구제에 대한 재검토 - 중선거구제의 도입 여부를 중심으로 - 이상명 5364
778 2019 제19권 제2호 공법 영역에서의 스마트컨트랙트 활용의 법적 문제 선지원,김경훈 5699
777 2019 제19권 제2호 화학물질관리법의 규율 체계와 개선방안 김형섭 5304
776 2019 제19권 제2호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사업영역 보호제도 및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제도를 중심… 김병진,우인섭,김성록,김지석 5430
775 2019 제19권 제2호 동산담보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제언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산담보물 관리와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 이현석 5063
774 2019 제19권 제2호 정신장애인의 항정신병약물 복용에 대한 자기결정 경험의 법정책적 함의 이용표 5114
773 2019 제19권 제2호 데이트폭력의 실태와 그 대책방안 - 일선경찰관의 관점에서 - 김한중,강동욱 5005
772 2019 제19권 제2호 인터넷전문은행법을 둘러싼 최근의 몇 가지 쟁점과 과제 -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중심으로 - 김영국 5081
771 2019 제19권 제2호 독일 민법상 환자의 동의권 김성필 534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