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현실에 적응하는 실사구시의 법학,
다양한 분야 법전공자들의 학제적 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출판년도 2014 발행호수 제14권 제3호 저자 김태계
자료명 사이버테러 범죄 대응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과 대책
개요
≪국문요지≫
우리나라는 IT 세계 최강국이며, UN 평가 전자정부 세계 1위 국가이고, 우리
국민의  대다수가  오늘날  전자기기의  문명혜택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사이버테러범죄로  인하여  현실  공간보다  더  심
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이버테러범죄 발생건수는 연간 10만 건이 넘고, 북한에 의한 사이버테러는 매
년  반복하여  자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버테러범죄에  대비하는  우리나라의  정책은  정부나 정치권
의  단발성  정책으로  인하여  근본적이  해결책을  내  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사이버안전  선진국들의  제도와  법령을  참고로  할  필
요가 있는데, 그 중에도 2001년 9·11 테러를 겪고 난 후 국가의 힘을 집중하여
현실공간의  테러는  물로  사이버공간의  테러에 대하여  법과 제도를  끊임없이  제
정하며 보완하고 수정한 미국의 법과 제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미국의 국
가사이버안전의 총괄관청은 모든 재난이나 테러에 대비하는 국토부와 그 소속의
국가사이버안보센터가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국토안보법과 일정한 시민의 권
리를 강력히 제한 할 수 있는 애국법이 있으며 사이버전에 대비하여 4성 장군을 사령관으로 하는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하여 있으며, 연방정부기관이나 주정부 민간기관과의 조정협력을 위한 대통령 직속의 사이버조정관을 두고 현재의 사이버위협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이버안보에  관한  정책으로  가장  문제점으로  보고  있는  것은  국
가정보원이  그  소속하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두고  국가사이버업무를  총괄하
고  있다는  것이다.  국가정보원의  주된  임무는  국가의  정보와  기밀에  관한  사항
과  대공수사를  담당하고  있으므로, 국가사이버보안업무는 업무 특성상  민·관·군
의  협력이  절실하고 공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국가정보원의  주된
임무와  맞지  않다.  입법을  통하여  세월호  침몰을  계기로  신설되는  미국의  국토
부와 유사한 조직인 국가안전처로 사이버안전업무의 총괄청을 이관하여야 한다.
또한 사이버테러의 위협의 주된 세력이 북한이라고 여러 차례 정부합동조사단
이  발표하였으나  이념적  갈등만  초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세계최고의  사이버
수사력을 보유한 우리나라 경찰 사이버수사기관이 사이버테러범죄에 한하여 독
립된 수사권을 가지고 수사에 임하여야 하며, 아울러 수사기관은 기존의 수사지
휘체계에서  독립된  사이버수사기관임을  요한다.  나아가  평시  사이버법률적용의
사각지대를  규정할  수  있는  사이버기본법의  제정과  현실공간의  계엄과  비교될
수  있는  사이버상의  위기에  대비한  국가사이버위기관리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한편  사이버안보를  위한  국제공조가  절실하며,  국제조약  가입에  걸림돌이  되
고  있는는  현행  실체법과  절차법에  대하여  선진  국가  수준으로  사이버테러범죄
에 대한 구성요건과 절차를 규정하는 법률개정절차를 이행하고 최초의 사이버범
죄국제조약인 부다페스트 협약과 UN의 반사이버범죄 조약에 서명하여야 할 것
이다.



주제어 사이버테러범죄, 국가안전처, 국가사이버위기관리법, 사이버범죄 수사권독립, 부다페스트 사이버범죄조약
다운로드

 kalp14(3)_4-2-김태계.pdf (2.6M) [0]

 
 

연도선택:
   
자료등록 994건
번호 년도 발행호수 제목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714 2018 제18권 제1호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법정책의 연구 - 인권침해의 방지 및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 손영화 4703
713 2018 제18권 제1호 자살예방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이상명 4479
712 2018 제18권 제1호 노인범죄자에 대한 보호처분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선영화,강동욱 4823
711 2018 제18권 제1호 내분비계 장애물질, 환경 호르몬, 인도 환경규제, 비스페놀 A, 노닐 페놀, 프탈레이트, 어린이 제품 반규만 4764
710 2018 제18권 제1호 국회 예산증액에 대한 정부 동의권 정문식 4485
709 2018 제18권 제1호 성별에 따른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와 미연방대법원 조홍석 4494
708 2018 제18권 제1호 생체인식정보와 감시: 수사기관의 얼굴 인식기술을 활용한 신원확인 행위의 법적 근거와 한계에 관한 연구 이성기 4590
707 2017 제17권 제4호 저소득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고찰 -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 이상명 5106
706 2017 제17권 제4호 EU, 미국, 일본의 화학물질관리법 주요 쟁점 비교 연구 이호용,박선아 5325
705 2017 제17권 제4호 EU 및 독일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 현황과 시사점 윤진아 5226
704 2017 제17권 제4호 독일의 출퇴근재해와 교통사고 시 재해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손해의 조정 조성혜 5335
703 2017 제17권 제4호 Hans Jonas의 책임 원칙과 생명공학의 발전 조홍석 5292
702 2017 제17권 제4호 유치권과 점유 - 민사유치권과 상사유치권을 중심으로 - 이현석 5047
701 2017 제17권 제4호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변화와 실무적 개선방안 김성록,김지석 5291
700 2017 제17권 제4호 일본 배우자공제 제도에 관한 고찰 - 일하는 여성의 중립적 세제 및 이전형기초공제의 도입을 중심으로- 이은미 5164
699 2017 제17권 제4호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김상태,조영기 4954
698 2017 제17권 제4호 하구역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운영을 위한 법제화 지원방안 연구 심영규 4987
697 2017 제17권 제4호 정당한 이용자에 의한 보존을 위한 복제에 관한 연구 강기봉 4857
696 2017 제17권 제4호 헌법상 재산권과 민법상 재산권과의 통섭 - 독일 주택재산권법(WEG)을 고찰하며 - 이부하 4965
695 2017 제17권 제3호 일본의 데이트 폭력 문제와 예방에 관한 검토 배상균 5945
694 2017 제17권 제3호 스토킹의 개념과 처벌에 관한 몇 가지 제언 정도희 5370
693 2017 제17권 제3호 중독문제에 관한 형사사법적 개입에 관한 고찰 박은영 5358
692 2017 제17권 제3호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조치의 정당성 - 신체자유의 박탈에 대한 절차보장을 중심으로 - 박득배 5654
691 2017 제17권 제3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에 관한 고찰 이상명 5197
690 2017 제17권 제3호 다문화사회의 헌법적 가치와 사회통합 김종세 5127
689 2017 제17권 제3호 온라인게임 이용시간 제한의 합리적 개선 김종일 4808
688 2017 제17권 제3호 디지털유산 상속 보호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온라인상의 디지털 저작물/유산을 중심으로 - 최현태 4769
687 2017 제17권 제3호 농안법에서 발견되는 도매시장거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신욱,최민식 5265